• 제목/요약/키워드: Online Participation

검색결과 438건 처리시간 0.024초

약학대학 학생들의 교과외활동 현황 평가 및 동기에 대한 분석 (Evaluation of Pharmacy Students' Level of Involvement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Analysis of Their Motivations)

  • 최미나;김수지;임성실;이윤정
    • 약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154-162
    • /
    • 2016
  • Extracurricular activities are voluntary participations that students engage in outside of classroom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Korean pharmacy students' degree of involvement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motivations behind participation, and influences from those engagements. The study was performed as a voluntary online survey to pharmacy students in four pharmacy schools in Korea and a total of 188 students participated. Sixty-one percent and 34% of students reported that they were involved in at least one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school, and out-of-school, respectively. Areas with most involvements were arts/music/sports (73%), followed by volunteer activities (31%). Thirty two percent responded that they have been involved in research internships, followed by 15% and 10% in pharmaceutical company and community pharmacy internships, respectively. For motivations behind involvement, students indicated that their involvement was for hobby (72%) and networking (38%). In conclusion, while Korean pharmacy students actively engage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range of activities was limited in scope, and most students were involved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s hobbies rather than for career exploration. Opportunities for student involvement in various pharmacy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internships in the pharmacy work setting would provide valuable experiences for pharmacy students in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as a pharmacist.

소셜미디어 활용수준이 국가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Media Utilization on Country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 박성택;김기홍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127-138
    • /
    • 2013
  • 소셜네트워크 시대가 도래하였다. 소셜미디어는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 경험 등을 서로 공유하고 참여하기 위해 개방된 미디어를 뜻한다. 이러한 소셜미디어는 기존의 미디어를 대체할만큼 위협적이며, 새로운 소통도구로서도 각광을 받고 있다. 글로벌 시대에서는 국가이미지가 국가의 새로운 경쟁력의 원천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의 활용수준이 국가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자 하며, 소셜미디어의 활용수준을 활용량과 활용범위로 나누어서 분석을 하였다. 또한 국가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활용량은 국가이미지, 국민이미지, 정치이미지에 영향을 미치고 활용범위는 경제이미지, 국민이미지, 정치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상광고 유형별 디지털 이용자의 댓글 내용분석에 관한 연구: 바이럴 동영상 광고와 케이블 방송광고를 중심으로 (A Content Analysis of Digital Audience Replies to Video Advertising Types: Focused on Viral Video and Cable Broadcasting Advertisement)

  • 지원배;김운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303-131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영상광고에 대한 디지털 이용자의 반응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은 온라인 광고 시청자가 영상광고의 주 유형인 바이럴 동영상 광고와 케이블 방송광고에 대한 댓글이다. 내용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이럴 동영상 광고가 케이블 방송광고에 비해 광고댓글 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상광고 유형에 따라 광고 길이를 제외한 광고댓글 속성요인(댓글방향, 반응유형, 반응영역)에서 바이럴 동영상 광고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감성적인 반응과 핵심적 속성 반응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지털 이용자의 성별 특성에 따라 댓글길이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장문이 더 많으며,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이성적인 반응과 핵심적 속성반응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모전을 통한 집단지성 기반의 협업적 디지털 스토리텔링 (Collaborative Digital Storytelling based on Collective Intelligence through Contest)

  • 유은순;박승보;이연호;조근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20-128
    • /
    • 2010
  • 웹의 발전과 디지털 기술의 등장으로 정보 소비자에 머물렀던 대중들이 미디어 이용을 통해 콘텐츠를 생산하고 공유하면서 정보 제공자로 거듭나고 있다. 이처럼 개인 욕구 기반의 콘텐츠가 증가함에 따라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제작하기 위한 환경과 기술에 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하지만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기존의 저작도구와 환경은 개인 창작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다른 사용자들의 참여와 협업이 어렵고 콘텐츠의 공유와 재활용에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공모전을 통해 집단지성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협업적 디지털 스토리텔링 제작 절차를 참가자들에게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협업 기반의 저작도구를 개발하여 웹 사이트를 통해 참가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온라인에서 콘텐츠가 제작될 수 있도록 물질적 환경을 마련하였다. 또한 콘텐츠 결과물뿐만 아니라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참가자들의 협업 과정도 고려함으로써 기존의 공모전과도 차별성을 두었다.

Job Satisfaction among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ionals in India: A Case Study

  • Pandita, Ramesh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5권1호
    • /
    • pp.47-64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mong the practicing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professionals in India. Some of the key variables studied include salary, work environment, professional position, working hours, location, employee participation in administrative matters, recognition, and advancement. Scope: The study is limited to LIS professionals in India; howeve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some degree of commonality among LIS professionals across the world. Methodology/Approach: The study has been purely undertaken by analyzing the primary data collected from practicing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across India by circulating an online questionnaire, using Google services and by posting the link on various social groups and other social networking sites such as Groups, Facebook, LinkedIn, discussion forums, and e-mails. Findings: Responses were generated across 20 states and union territories of the country, representing 88.15% territory of India. Of the total responses generated, 72.88% are males and 27.12% females. From the data analysis it emerged that every third library professional in India enters in to LIS profession by chance and not by choice, as 35.59% respondents expressed that they landed in the LIS profession by chance and 60.45% by choice. More than 77% respondents have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change their present employer, if given better opportunity. More than 80% professionals either fully or partly agree that most of the LIS professionals across India are dissatisfied with their employers. All these and many more areas have been explored, which reflect the aspects of job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among LIS professionals in India.

태그 네트워크를 이용한 개인화 북마크 추천시스템 (Personalized Bookmark Recommendation System Using Tag Network)

  • 엄태영;김우주;박상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81-195
    • /
    • 2010
  • 웹 2.0을 이끌어가는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는 일반 개인 사용자의 참여와 공유는 블로그,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 집단지성, 소셜 북마크(Social Bookmark), 태깅(Tagging)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 중에서 소셜 북마크는 개인이 사용하는 북마크를 웹에 추가하여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람들이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북마크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이다. 딜리셔스(Delicious.com)는 소셜 북마크 서비스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으며, 북마크에 사용자들이 붙인 태그를 이용하여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논문은 북마크 검색에 대해 개인화된 검색결과를 추천하기 위하여 사용자 태그를 기반으로 하여 딜리셔스가 제공하는 북마크들의 순위를 재순위화 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또한 태그유사도를 기반으로 한 태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검색어에 의미적으로 유사한 다른 태그들도 순위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실험을 통하여 딜리셔스가 제시하는 순위에 비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의 재순위화 결과가 사용자들에게 더 만족스러우며 정확성도 높음을 확인하였다.

개별화 수업체제를 활용한 학급단위 학습지원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lass-based Learning Support System Using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Theory)

  • 김연중;전우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99-110
    • /
    • 2010
  • 현재 학교의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 간 학습 능력의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과정에서는 개별 학습과 수준별 학습을 권장한다. 그러나 교사가 단위 수업 시간 안에 수준별 개별학습을 진행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Keller의 개별화수업체제 이론을 활용한 온라인 환경의 학습지원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학급 단위의 학습지원시스템으로, 수시로 실시되는 형성평가를 위해 실용성에 중심을 두었다. 학습자는 교실의 제한된 상황에서 벗어나 자신의 속도에 맞게 학습할 수 있으며, 반복 학습을 통해 궁극적으로 완전학습 도달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온라인 학습의 중요한 요소인 자기주도적 참여를 위하여 학습 동기를 높일 수 있는 제도들을 적용하였다. 본 시스템을 개발하여 적용한 결과, 교사는 형성평가를 실시하는 데 드는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었고, 학생들은 자신의 상황에 맞는 유동적 학습과 반복 학습을 통해 목표 도달의 성취감을 경험할 수 있었다.

  • PDF

자궁경부암 검진에 대한 한국 여성의 인식 연구 (The Study on Korea Women's Recognition on Cervical Cancer Screening)

  • 김재우;강정규;김성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7호
    • /
    • pp.337-34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2016년 1월부터 검진연령이 만 20세까지 확대된 자궁경부암 검진에 대한 한국 여성의 연령대별 인식을 체계적으로 조사하는 것이다. 자료는 2017년 7월 26일부터 31일까지 온라인 설문 조사를 수행하여 총 332명의 설문응답을 수집하였다. 332부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현행 자궁경부암 검진사업에 대해 116명(34.9%)만이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대다수의 응답자인 298명(89.8%)은 수검의도가 있었지만, 실제 검진경험이 있는 사람은 209명(63.0%)으로 낮았다. 따라서 검진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 및 홍보를 통해 수검률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

환자안전에 대한 의료서비스 소비자의 인식 조사 (Healthcare Service Consumer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 김정은;이남주;장선미;김영미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133-140
    • /
    • 201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in healthcare services regarding patient safety. Methods: The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based on the Senior Empowerment and Advocacy in Patient Safety (SEAPS) questionnaire, which was designed to assess patient safety health beliefs.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a convenient sample of 302 adults participated in total.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Cronbach's ${\alpha}$) was 0.758 in attitude (ATT), 0.546 in out-come efficacy (OE), 0.757 in self-efficacy (SE), and 0.703 in behaviors (BEH). Results: The average patient safety awareness score of the healthcare service consumers was 2.72 (ATT), 2.91 (OE), 2.87 (SE), and 2.27 (BEH). Our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TT, BEH, or SE by gender, age, or education level. However, in OE and the total score of the four subsca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age and gender. Correlations were identified between BEH and SE (r=0.409, p<.01), BEH and OE (r=0.202, p<.01), ATT and SE (r=0.358, p<.01), and OE and SE (r=0.241, p<.01). Conclusion: This study measured consumer perspectives concerning patient safety. The findings demonstrate the need for developing a measurement tool to assess consumer'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onsidering Korean healthcare system and cultural context.

  • PDF

일반인의 환자안전활동 경험, 환자안전인식 및 환자참여 의지 간의 관계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atient Safety Activity Experience, Patient Safety Perception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General Population)

  • 신선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405-415
    • /
    • 2020
  • 본 연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환자안전활동 경험, 환자안전인식 및 환자참여 의지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수행하였다. 또한, 일반인의 환자안전 참여를 증가시키기 위한 환자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9년 11월에 온라인 설문을 통해 195명의 단면 조사를 수행하였다. 대상자는 최근 1년 이내에 종합 병원에 입원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으로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PROCESS Macro (Model 4)를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환자안전활동 경험은 환자안전인식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고, 환자안전인식은 환자참여 의지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환자안전인식은 환자안전활동 경험과 환자참여 의지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일반인의 환자참여 의지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의료기관에서 수행하는 환자안전활동에 대한 홍보와 교육을 통해 환자안전인식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