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e Book, One City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 독서운동의 현단계와 전망: '한 책, 한 도시' 운동을 중심으로 (The Present Stage and Prospects of the Reading Campaign in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One Book, One City' Projects)

  • 이용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25
    • /
    • 2006
  • 이 연구는 국내 도서관운동과 독서운동의 지평을 확대하는 차원에서. 최근 국내에서 확산되고 있는 '한 책, 한 도시' 운동을 조명하였다. '한 책, 한 도시' 운동은 최근 수년 간 북미 전역에 확산되었으며, 많은 지역사회에서 성공적인 독서운동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여러 도시가 이러한 독서운동을 다양하게 추진하고 있다. 이 연구는'한 책, 한 도시'운동의 의미와 의의를 살펴보고. 국내 '한 책, 한 도시'운동의 주요 도시별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끝으로 이 연구는 국내 '한 책, 한 도시' 운동의 특징을 규명하고 한국 사회에 맞는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미국의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의 동향과 특성의 분석 (An Analysis of the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One Book, One City' Reading Campaign in the U.S)

  • 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7-44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미국 공공도서관의 주요한 독서운동의 한 형태인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의 성장과 확산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개혁적. 지속적 및 집합적 독서운동으로서의 의의를 평가해보는 것이다. 또한 '한 책' 선정 작가 및 도서의 주제, 장르, 간행연도 등을 분석함으로써 특정한 지역사회가 함께 '한 책'을 읽음으로써 이해하고 달성하고자 하는 문화적, 사회적, 공동체적 목표를 이해하도록 시도한다. 미국국회도서관(LC) 도서 센터 웹사이트의 '한 책' 프로젝트의 지역별 및 작가별 리스트를 분석하고, LC OPAC에서 조사한 '한 책' 선정도서의 서지 레코드를 분석한 결과는 1990년대 이후 간행도서에 대한 선호, 전기 및 전기적 소설의 중요성, 다민족, 다문화 사회의 이해라는 주제의 집중성 등의 특성을 보여준다.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의 사례연구: Seattle Reads (A Case Study of 'One Book, One City' Community Reading Promotion Campaigns: Seattle Reads)

  • 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161-184
    • /
    • 2023
  • 이 연구는 '한 책, 한 도시' 지역사회 독서운동의 원형인 미국 워싱턴 주 시애틀의 'Seattle Reads'의 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1998년 출범한 'Seattle Reads'의 지난 25년간 목표, 선정 책들의 특성 및 주요 행사와 활동을 분석함으로써 'One Book' 독서운동으로서의 현황 및 지향점을 보다 깊게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Seattle Reads'는 한 권의 책을 읽고 토론하면서, 다양한 행사와 프로그램으로 시민들의 참여와 소통을 독려함으로써 성인 대중을 위한 지역사회 독서운동의 원형을 제시하였다. 'Seattle Reads'는 매년 꾸준히 다양한 문화적 및 민족적 배경을 가진 작가들의 책을 읽고 이야기함으로써, 다양성의 이해 및 지역사회 통합을 지향하는, 'One Book' 독서운동으로서의 지속성, 일관성, 자율성 및 독립성이라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의 실행단계별 특성의 분석 -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One Book, One City' Reading Campaign : Case Study of Campaign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 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32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한 책' 독서운동의 실천과정에서 목표의 설정, 책의 선정, 독서와 토론 및 프로그램이라는 네 가지 단계에 초점을 맞추어, 미국의 시애틀, 시카고, 전국대상의 'The Big Read', 우리나라의 서울, 청주 등의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 사례를 검토하였다. '한 책' 독서운동은 대중독서운동으로서 갖는 일반적 특성 및 독서와 토론을 통한 리터리시와 커뮤니케이션 향상이라는 목표를 공유하는 한편, 지역사회의 특성에 따른 개별성과 고유성을 서서히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책'의 선정에 문학고전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으며, 다양한 관전에서 작성된 '한 책'의 독서 및 토론안내서와 프로그램은 문화적 컨텐츠로서 가치가 생겨나고 있다.

'한 권의 책'으로서 『앵무새 죽이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o Kill a Mockingbird As 'One Book')

  • 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115-133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 및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의 'The Big Read(TBR)'에서 Harper Lee의 "앵무새 죽이기"가 보여주는 '한 권의 책(One Book)'으로서의 가치, 이 책을 선정한 지역사회들의 지향점과 다양성 등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 책은 2001년-2014년 사이 86개 '한 책, 한 도시' 프로그램 및 2007년-2015년 사이 138개 TBR 지역사회에서 선정되었다. 많은 지역사회가 용기, 관용, 정의 등 주제로 표현된 인간 존엄성에 대한 공감을 시도하였고, 독서토론, 다양한 프로그램 및 행사로 이 가치를 표현하였다.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의 동향과 의의 -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 (Trend and Significance of 'One Book, One City' Reading Campaign: With a Focus on Cases of Other Countries)

  • 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5-66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확산되고 있는 '한 책, 한 도시' 운동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지역사회의 특성과 결합된 독서 운동으로서의 의미를 고찰하고 전체적인 '한 책' 운동의 현황을 분석하는 것이다. 미국 시애틀의 '시애틀 온 시민이 책한권을 같이 읽는다면, 시카고의 '한 책 한 시카고', 캘리포니아주의 '분노의 포도 읽기' 및 캐나다의 'Canada Reads'의 사례연구를 수행하고 239개 '한 책' 운동의 목표 선정 도서, 토론 지침 및 제반 프로그램의 전반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한 책' 운동은 독서와 토론 중심이지만 다양한 매체와 행사를 결합한 개혁적, 지속적 독서운동이며, 공공도서관과 지역사회의 긴밀한 협조 및 다양성을 반영한 도서 선정, 프로그램의 진행 등으로 성공을 거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과 지역사회의 협력 방안 - '한 책, 한 도시' 운동을 중심으로 - (Collaboration Among Libraries and Communities through 'One Book, One City' Reading Campaign)

  • 이용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5-23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과 지역사회의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최근 국내외에서 확산되고 있는 '한 책, 한 도시' 운동을 통한 지역사회와 공공도서관의 협력 방안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외에서의 '한 책, 한 도시' 운동의 의미와 현황을 조망한 뒤, 도서관과 지역사회의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방안을 첫째, 독서운동의 활성화, 둘째, 도서관 네트워크 구축, 셋째, 민관협력모델 정립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북미에서 '한 책, 한 도시' 운동은 도서관과 지역사회의 협력에 효과적인 매개체로 작용하고 있다. 이 연구는 국내에서도 확산되고 있는 이 운동이 도서관과 지역사회의 협력에 기여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여러 여건과 한계를 점검하였으며 구체적인 발전 방안을 모색하였다.

  • PDF

'한 책, 한 도시' 운동의 현단계와 발전전략 - '원북원부산운동'을 중심으로 - (The Present Stage 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One Book, One City' Campaign: A Case Study of 'One Book One Busan' Project)

  • 이용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47-265
    • /
    • 2008
  •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은 금세기 공공도서관에서 시도된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평가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한 책, 한 도시' 운동의 현단계를 점검하고 이 운동이 정착될 수 있는 실천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부산에서 5년째 시도되고 있는 '원북원부산' 운동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여, 이 운동의 현상과 전개과정에 대해 구체적이고 심층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의 결과, 원북원부산운동은 한국의 대도시 부산에서 지속적으로 전개되어 시민들에게 점차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고 현재 공공도서관 주도로 진행되고 있어 전반적으로 긍정적 효과를 내고는 있으나, 기획 도서선정 프로그램 운영 홍보 등 여러 측면에서 여전히 한계를 가지고 있음이 제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는 한국 사회에 적합한 '한 책, 한 도시' 운동의 발전전략을 제안하였다.

  • PDF

미국의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 선정 책의 현황 분석 (An Analytical Study on the Books Selected in 'One Book, One City' Reading Campaigns in the U.S.A.)

  • 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71-194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에서 선정된 책들의 계량적 특성에 나타난 성장과 변화의 현황을 이해하는 것이다. 1998년부터 2013년 6월까지 15년간 미국의회도서관 도서센터 웹사이트의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의 주별 및 작가별 리스트에 등록된 2,220개 프로그램 선정 책 1,037종을 중심으로 연도별 선정 분포와 변동 추이를 살펴보았다. 선정 책들의 연도별 프로그램 분포, 선호된 책의 연도별 추이, 'Seattle Reads'와 One Book, One Chicago 같은 선도적 '한 책' 프로젝트들이 책 선정에 미친 영향 등을 살펴보았다. 주요한 발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1,037종 중 2개 이상 '한 책' 프로그램 선정 책은 278종(26.8%)이며, 단 1개 프로그램 선정 책은 759종(73.2%)이다; 둘째, 최다 선정 책은 To Kill a Mockingbird (84개 프로그램), Fahrenheit 451 (53개), The Kite Runner (50개)로 나타났다; 셋째, '한 책' 독서운동의 확산에 따라 개별 '한 책' 프로그램의 독자적 책 선정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넷째, 'Seattle Reads'와 'One Book, One Chicago' 선정 책들의 영향은 점차 축소하는 경향이다.

미국의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inuity of 'One Book, One City' Reading Campaign in the U.S.A.)

  • 윤정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5-27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한 책, 한 도시' 지역사회 독서운동 확산의 시기적 특성 및 지속성에 관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2013년 6월까지 미국의회도서관 도서센터 웹사이트에 등록된 584개 '한 책' 프로젝트들의 확산 현황 및 특성을 태동기 (1998년-2001년), 성장기 (2002년-2006년) 및 재도약기 (2007년-현재)의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주요한 '한 책' 프로젝트들의 웹사이트 등을 분석하여 적어도 50개(8.9%) 이상 '한 책' 프로젝트들의 지속성, 특히 초기에 시작된 '한 책' 프로젝트들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지속적인 일부 '한 책' 프로젝트의 새로운 변화 모색 및 'The Big Read' 이니셔티브를 통한 '한 책' 독서운동 모형의 확산 추이는 향후 주목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