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mega-3-fatty acid

검색결과 358건 처리시간 0.027초

First record of a marine microalgal species, Micractinium singularis (Trebouxiophyceae) isolated from Janghang Harbor, Korea

  • Jo, Seung-Woo;Kang, Nam Seon;Chae, Hyunsik;Lee, Jung A;Kim, Kyeong Mi;Yoon, Moongeun;Hong, Ji Won;Yoon, Ho-Sung
    • 환경생물
    • /
    • 제38권1호
    • /
    • pp.61-70
    • /
    • 2020
  • A eukaryotic microalga was isolated from seawater in Janghang Harbor, Korea and its morphological, molecular,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Due to its simple morphology, no distinctive characters were found by morphological observation, such as light microscope or scanning/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S/TEM). However, molecular phylogenetic evidence inferred from the concatenated small subunit (SSU) 18S rRNA and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sequence data indicated that the isolate belonged to the newly described Micractinium singularis. Furthermore, it was clustered with Antarctic Micractinium strains and it also showed a psychrotolerant property, surviving at temperatures as low as 5℃. However, its optimal growth temperatures range from 15℃ to 25℃, indicating that this microalga is a mesophile. Additionall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nalysis showed that the isolate was rich in nutritionally important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ysis (HPLC) revealed that the high-value antioxidant lutein was biosynthesized as an accessory pigment by this microalga, with glucose as the major monosaccharide. Therefore, in this study, a Korean marine M. singularis species was discovered, characterized, and described. It was subsequently added to the national culture collections.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frozen, dry, and wet-aged Hanwoo sirloins

  • Kim, Ji-Han;Jeon, Min-Young;Lee, Chi-H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0호
    • /
    • pp.1621-1629
    • /
    • 2019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sensory and tast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frozen, dry, and wet aged Hanwoo sirloin. Methods: Grade 2 sirloin from 6 Hanwoo steers (about 30 months old) were obtained after 5 days postmortem. Samples were assigned to four groups which were commercial beef (CON, control group), frozen beef (Hanwoo frozen, HF; 40 days in $-18^{\circ}C$ freezer), wet-aged beef (Hanwoo wet-aging, HW; 21 days), and dry-aged beef (Hanwoo dry-aging, HD; 40 days). HW and HD were stored in a $80%{\pm}5%$ relative humidity cooler at $1^{\circ}C$. Results: The HF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cooking loss and expressible drip with significantly higher pH compared to other groups. In addition, protein and fat contents in the HD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other groups (p<0.05). The shear forces in the HW and HD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CON group. The HD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omega-3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compared with other groups. Glutamic acid levels in the HD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those in other groups. Electronic tongue analysis revealed that sourness of the HD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groups, whereas the H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umami, richness, and saltiness compared to other groups (p<0.05). Sensory 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 HW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tenderness, while the HD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chewiness, juic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wet- and dry-aging treatments can effectively improve sensory characteristics, and dry-aging was much more useful to enhance umami tastes and meat quality of 2 grade Hanwoo sirloins.

과메기통조림의 제조 및 특성 3. 토마토페이스트소스첨가 과메기통조림의 제조 및 특성 (Processing and Characteristics of Canned Kwamaegi 3. Processing and Characteristics of Canned Kwamaegi using tomato paste sauce)

  • 박태호;권순재;이인석;이재동;윤문주;백광호;노윤이;공청식;김정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1348-1359
    • /
    • 2013
  • 상온에서 저장이 용이하고 기호도가 우수한 토마토페이스트소스첨가 과메기통조림을 제조하기 위하여 절단한 시판과메기($3cm{\times}2.5cm$ 크기) 90 g을 301-3호관에 넣고 $100^{\circ}C$의 레토르트내에서 10분간 예비 탈기하였다. 상층부의 물을 부어서 버리고 토마토페이스트 소스(토마토페이스트 42%, 식염 2%, 구아검 1%, 물 52%, 물엿 2%, 맛술 1%) 60 g을 넣은 후 이중밀봉기로 탈기, 밀봉하여 $121^{\circ}C$에서 Fo 값이 8-12분이 되도록 살균하여 토마토페이스트소스첨가 과메기통조림을 제조하였으며, 각 살균 조건별로 제조한 시료에 대하여 내용물의 이화학적 성질의 변화 및 관능적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Fo 값이 8-12분이 되도록 살균한 토마토페이스트소스첨가 과메기통조림의 경우 모든 살균조건에서 생균수가 검출되지 않았으며, Fo 값이 증가함에 따라 일반성분 중 수분함량은 감소하였고 조단백질 및 조지방함량은 증가하였다. 살균조건의 차이에 따른 pH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VBN, 아미노질소량 및 조직감은 Fo 값이 증가할수록 그 값이 증가하였으나 TBA 값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색조의 경우 명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 및 황색도는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색차(${\Delta}E$)는 증가하였다. 주요 무기질 성분은 Na, P, K, Ca 및 Mg이었으며 Fo 값의 차이에 따른 함량 변화는 거의 없었다. 총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은 Fo 값이 증가할수록 약간씩 증가하였으며, 총아미노산의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proline, aspartic acid 및 lysine이었으며,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histidine 및 glutamic acid이었다. 관능검사 결과 색조, 냄새, 맛 및 조직감은 Fo 값에 따른 차이가 거의 나지 않았고, 관능검사원들이 관능적 차이를 구별하기 힘들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따라서 살균원가가 가장 저렴하고 상업적 살균 조건에도 만족되는 Fo 값 8분인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식품유래 생리활성소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Bioactive compounds in food for age-associated cognitive decline: A systematic review)

  • 강은영;최봉교;김현경;고광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78-289
    • /
    • 2021
  • 본 연구는 인지기능 개선에 도움이 되는 천연기능성소재를 선발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2020년 10월 06일 기준 문헌검색을 통해 16,184건을 수집하였고 선택 및 배제 기준에 따라 총 27건의 문헌을 선별하였다. 27건 중 ω-3 지방산 관련 논문 12건, 비타민 B군 관련 논문 8건, 비타민 D와 E 관련 논문 각각 1건이었으며, 안세린/카르노신, 베테인, 카페인, 크로뮴, 피소스티그민 관련 논문이 각각 1건이었다. 각 문헌의 비뚤림 위험 평가를 진행한 결과 ω-3 지방산 관련 논문 2건, 비타민 B군 관련 논문 1건, 베테인, 카페인, 피소스티그민 관련 논문의 비뚤림 위험이 '높음'으로 평가되었고, 비뚤림 위험이 높다고 평가된 6건의 논문들을 제외하고 근거수준평가 및 결과분석을 시행하였다. ω-3 지방산 관련 논문은 6-24개월동안 DHA 0.48-2.2 g, EPA 203-720 mg의 용량을 함께 또는 따로 중재하여 총 1,031명의 대상자 중 437명의 유의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경도인지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ω-3 지방산 논문에서는 인지기능영역(공간력, 기억력, 회상력, 언어력)과 인지기능 관련 바이오마커(Aβ-42, APP mRNA)를 개선시키는 등 치매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한 ω-3 지방산 연구에서는 인지기능평가에 대한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비타민 B 관련 논문은 6 또는 24개월 동안 엽산 400-800 ㎍, 비타민 B12 25-500 ㎍, 비타민 B6 20 mg의 용량을 함께 또는 따로 중재하여 총 1,180명의 대상자 중 530명에서 유의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비타민 B군의 섭취는 치매 위험성과 관련된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감소시켰으며, 혈중 ω-3 지방산의 농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에 비타민 D와 E는 인지기능관련 바이오마커(Aβ-42, APP mRNA, PS1 mRNA)를 감소시키고 인지기능평가(WAIS-RC, ADAS-cog) 개선효과를 나타냈으며 안세린/카르노신은 치매척도검사를 개선하였고 크로뮴 섭취는 기억력 부분의 인지기능영역을 유의적으로 개선하였다. 그러나 ω-3 지방산과 비타민 B를 제외한 연구들은 선별된 문헌의 개수가 제한적이며, 개선 효과를 판단할 근거가 부족하였다. 중재 기간 및 용량에 따라 결과를 종합하면, ω-3 지방산은 6개월 이상 DHA 0.48-2.2 g, EPA 203-720 mg의 용량을 복합 또는 DHA 단독으로 중재했을 경우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엽산 400-800 ㎍, 비타민 B12 25-500 ㎍, 비타민 B6 20 mg의 용량을 복합 또는 엽산을 단독으로 6개월 이상 중재할 경우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 감소와 인지능력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외 청년의 라이프스타일과 물질중독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Choices and Substance Addiction in Young Adults)

  • 장세은;윤미은;김진수;김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580-595
    • /
    • 2022
  • 본 연구는 중독의 재발예방(Relapse Prevention, RP) 모형을 적용하여 국내외 청년의 라이프스타일과 물질 중독 유병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자료는 온라인 설문(Depression and Anxiety Assessment Test)으로 수집된 단면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미국과 한국 등 24개국에 거주하는 만 18~24세 청년 9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17.6%가 심각한 물질중독이 있다고 답했으며, 알코올 중독이 11.2%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니코틴 중독 10.3%, 마약중독 8.7% 순이었다. 카이제곱 검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모든 라이프스타일 요인(규칙적인 운동, 미량영양소, 트립토판, 엽산 및 오메가-3 지방산이 함유된 음식 섭취량, 성경읽기, 기도와 같은 영적 활동)과 물질중독(마약, 알코올, 니코틴)의 관련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우울 역시 물질중독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특히 알코올 중독의 위험은 '성경을 안 읽는다'가 '성경을 읽는다'에 비해 9.870배(95% CI: 4.525-21.525)로 가장 높았고, 니코틴 중독과 마약중독의 위험은 하루 미량영양소 섭취량 '1회 미만'이 '5회 이상'에 비해 각각 9.060배(95% CI: 2.726-30.111), 8.642배(95% CI: 2.022-37.378)로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전인적 라이프스타일 개입은 물질중독 예방과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사료내 택사, 겨우살이 및 산수유 생균제 첨가가 비육돈의 생산성 및 면역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Alisma canaliculatum(Alismatis rhizoma), Viscum album (Mistletoe) and Cornus officinalis (Corni fructus) probiotics as feed additives on growth performance and immunity in growing pigs)

  • 김기수;김귀만;지훈;박성욱;양정승;양철주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75-385
    • /
    • 2010
  •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upplementing Alisma canaliculatum, Viscum album and Cornus officinalis probiotics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immune response in growing pig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120 pigs (crossing of Landrace${\times}$Yorkshire and castrated) which were assigned to 5 treatments in 3 replications with 8 pigs per replications. The dietary treatments were NC group (without antibiotics), PC group (basal+Oxytetracycline 50ppm), AC group (basal+A. canaliculatum 0.5%), VA group (basal+V. album 0.5%) and COP group (basal+C. officinalis probiotics 0.5%). The initial body weights of pigs were 35kg on average and the experiment lasted for 9 weeks.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kept in the pens following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hey were provided the diets adequate for grower stage as recommended by NRC (ME:3,265 kcal/kg and CP:16%). COP fed pigs showed lower weight gain up to 6 weeks of age compared to NC group and other groups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The carcass weights of pigs fed VA and COP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NC group (P<0.05), Back fat thicknesses groups fed three different additives were higher than NC group and lower then PC group (P<0.05). Crude fat contents in loin mea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groups fed three different additives while moisture contents of those three groups were higher than other groups (P<0.05).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substance (TBARS) value measured at fresh and $2^{nd}$ weeks was lower in additives fed groups but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treatments (P>0.05). Significantly highest PUFA (16.42g/100g) and ${\omega}$-3 fatty acids (ALA, EPA and DHA) content of meat were observed in COP fed pigs compared to NC group (P>0.05), which might mean that three additives function to enhance serum IgG in pigs. In consequence, it can be suggested that AC, VA and COP may have a potential to replace antibiotics as growth promoter and immune enhancer in the diets for growing pigs.

Resolvin D5, a Lipid Mediator, Inhibits Production of Interleukin-6 and CCL5 Via the ERK-NF-κB Signaling Pathway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THP-1 Cells

  • Chun, Hyun-Woo;Lee, Jintak;Pham, Thu-Huyen;Lee, Jiyon;Yoon, Jae-Hwan;Lee, Jin;Oh, Deok-Kun;Oh, Jaewook;Yoon, Do-Yo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1호
    • /
    • pp.85-92
    • /
    • 2020
  • One of the omega-3 essential fatty acids, docosahexaenoic acid (DHA), is a significant constituent of the cell membrane and the precursor of several potent lipid mediators. These mediators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preventing or treating several diseases. Resolvin D5, an oxidized lipid mediator derived from DHA, has been known to exert anti-inflammatory effects. However, the detailed mechanism underlying these effects has not yet been elucidated in human monocytic THP-1 cell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solvin D5 on inflammation-related signaling pathways, including the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nuclear factor (NF)-κB signaling pathway. Resolvin D5 downregulated the production of interleukin (IL)-6 and chemokine (C-C motif) ligand 5 (CCL5). Additionally, these inhibitory effects were found to be modulated by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and NF-κB in lipopolysaccharide (LPS)-treated THP-1 cells. Resolvin D5 inhibited the LPS-stimulated phosphorylation of ERK and translocation of p65 and p50 into the nucleus, resulting in the inhibition of IL-6 and CCL5 production. These results revealed that resolvin D5 exerts anti-inflammatory effects in LPS-treated THP-1 cells by regulating the phosphorylation of ERK and nuclear translocation of NF-κB.

민들레와 생균제의 첨가가 육계의 성장 및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Dandelion (Taraxzcum coreanum) and Dandelion Fermented Probiotics on Productivity and Meat Quality of Broilers)

  • 오종일;김귀만;고석영;배인휴;이상석;양철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19-327
    • /
    • 2007
  • 본 연구는 민들레와 민들레 발효 생균제의 첨가가 육계의 성장과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Ross broiler 150수로 5처리 6반복 반복당 6수씩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1) 대조구, 2) 항생제 0.005% 첨가구, 3) 황토 1.0% 첨가구, 4) 황토 2.0% 첨가구, 5) 황토 4.0% 첨가구, 6) 황토 8.0% 첨가구로 5처리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전 기간 사양 결과, 증체량은 항생제 첨가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민들레 1.0% 첨가구가 낮은 증체량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사료 섭취량과 사료 요구율에서는 민들레, 민들레 발효 생균제와 대조구에서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P>0.05). HDL cholesterol은 민들레 생균제 0.5 % 첨가구가 높았으며, 민들레 생균제 1.0% 첨가구가 낮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P>0.05). LDL cholesterol은 대조구가 높았으며, 항생제 첨가구가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P>0.05). 도체 내의 여러 가지 지방산 중 oleic acid($C18:1{\omega}9$) 민들레 발효 생균제가 0.1% 첨가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구가 낮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써 민들레와 민들레 발효 생균제를 첨가한 결과, 혈액 콜레스테롤 감소에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생균제를 첨가할 때 고기의 맛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올레인산이 높게 나타나 계육의 맛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