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factory organ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7초

Microscopic research on the olfactory organ of the Far Eastern brook lamprey Lethenteron reissneri (Pisces, Petromyzontidae)

  • Hyun-Tae Kim;Jong-Young Park
    • Applied Microscopy
    • /
    • 제50권
    • /
    • pp.18.1-18.7
    • /
    • 2020
  • The olfactory anatomy and histology of Lethenteron reissneri were researched using a stereo microscope, a light microscope,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s in other lampreys, it shows same characters as follows: i) a single olfactory organ, ii) a single tubular nostril, iii) a single olfactory chamber with gourd-like form, iv) a nasal valve, v) a nasopharyngeal pouch, vi) a sensory epithelium (SE) of continuous distribution, vii) a supporting cells with numerous long cilia, viii) an accessory olfactory organ. However, the description of a pseudostratified columnar layer in the SE and Non SE is a first record, not reported in sea lamprey Petromyzon marinus. In particular, both 19 to 20 lamellae in number and olfactory receptor neuron's quarter ciliary length of the knob diameter differ from those of P. marinus. From these results, it might be considered that the olfactory organ of L. reissneri shows well adaptive structure of a primitive fish to slow flowing water with gravel, pebbles, and sand and a hiding habit into sand bottom at daytime. The lamellar number and neuron's ciliary length may be a meaningful taxonomic character for the class Petromyzonida.

Functional Anatomy and Histology of the Olfactory Organ in Korean Eel Goby, Odontamblyopus lacepedii (Pisces: Gobiidae)

  • Kim, Hyun Tae;Lee, Yong Joo;Park, Jong Young
    • Applied Microscopy
    • /
    • 제48권1호
    • /
    • pp.11-16
    • /
    • 2018
  • For Odontamblyopus lacepedii with small and turbid eyes, the gross structure and histology of the olfactory organ, which is important for its survival and protection of the receptor neuron in estuarial environment and its ecological habit, was investigated using a stereo,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 Externally, the paired olfactory organs with two nostrils are located identically on each side of the snout. These nostrils are positioned at the anterior tip of the upper lip (anterior nostril) and just below eyes covered with the epidermis (posterior nostril). Internally, this is built of an elongated olfactory chamber and two accessory nasal sacs. In histology, the olfactory chamber is elliptical in shape, and lined by the sensory epithelium and the non-sensory epithelium. The sensory epithelium of a pseudostratified layer consists of olfactory receptor neurons, supporting cells, basal cells and lymphatic cells. The non-sensory epithelium of a stratified layer has swollen stratified epithelial cells and mucous cells with acidic and neutral sulfomucin. From these results, we confirmed the olfactory organ of O. lacepedii is adapted to its ecological habit as well as its habitat with burrows at the muddy field with standing and murky waters.

The Olfactory Organ is Activated by a Repelling Pheromone in the Red-spotted Newt Notophthalmus viridescens

  • Park, Daesik;Propper, Catherine R.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6권3호
    • /
    • pp.233-237
    • /
    • 2002
  • The pheromonal repelling response occurs when a combination of female and male pheromones is found to be less attractive to courting males than are female pheromones alone. This repelling response may act to conserve a courting males’reproductive fitness by minimizing ma1e-male competition within a courting group. Recently, a Pheromonal repelling response was first reported for vertebrates in the red-spotted newt, Notophthalmus viride-scens. A male cloacal pheromone, a ∼33 kDa protein, was identified as a repelling pheromone. In this study, to determine whether both the main olfactory epithelium (MOE) and/or the vomeronasal organ (VNO) are activated by the repelling pheromone, we recorded electrical field potentials from both olfactory epithelia while applying the repelling pheromone. The repelling pheromone induced electrical responses from both olfactory organs, and the magnitude of the response was greater in the VNO than in the MOE. Our results suggest that both the VNO and MOE may be involved in the pheromonal repelling response.

한국산 날개망둑 Favonigobius gymnauchen (Pisces, Gobiidae) 후각기관의 해부 및 조직학적 연구 (The Anatomy and Histology of the Olfactory Organ in the Korean Sand Goby Favonigobius gymnauchen (Pisces, Gobiidae))

  • 김현태;김형수;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8-34
    • /
    • 2016
  • 한국산 날개망둑 Favonigobius gymnauchen 후각기관은 2015년 7월과 8월 사이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의 조간대에서 채집된 개체들을 대상으로 실체현미경, 광학현미경 그리고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해부학 및 조직학적 특징들을 조사하였다. 후각기관은 두부 주둥이 위 좌우로 한 쌍이 존재하며, 전비공과 후비공, 한개의 비강, 두 개의 비낭, 후신경, 그리고 후구로 구성되었다. 비강 내 감각상피는 연결성 유형의 분포를 보였으며, 섬모성 감각세포만을 가지고 있었고, 감각세포, 지지세포, 기저세포들로 구성되었다. 비감각상피는 층상상피세포들로 구성되었으며, 표면에 많은 점액공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후각기관의 특징들은 연안지역 조수 웅덩이와 수심이 얕은 조간대의 생태적 서식처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한국산 남방짱뚱어 Scartelaos gigas의 후각기관 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of Peripheral Olfactory Organ in the Korean Mudskipper, Scartelaos gigas (Pisces, Gobiidae))

  • 김현태;이용주;박종성;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81-287
    • /
    • 2014
  • 수중과 육상의 이중적인 생활을 하는 남방짱뚱어 Scartelaos gigas (amphibious mudskipper)의 후각기관을 해부학과 조직학적으로 연구하였다. 그 결과 후각기관은 좌우 한 쌍이 존재하며 각 기관은 한 개의 가느다란 긴관 (an elongated canal)과 사비강과 누비강의 두 개의 비강 (ethmoidal and lacrimal nasal sacs)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각 관의 내벽에 발달한 감각 상피는 3~4개의 섬모를 가지는 감각 수용기 세포 (receptor cell), 지지세포 (supporting cell), 기저세포 (basal cell) 그리고 점액세포 (mucus cell)들로 구성되는 다세포성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반면에 비감각 상피는 감각기를 갖지 않는 주름진 표면만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두 개의 비강은 상피 표면에 점액 방울 (mucin droplet)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남방짱뚱어의 이러한 후각기관의 특징은 생태적 습성과 서식처에 관련된 반수중 생활 (semi-aquatic life)에 적응한 특징으로 사료된다.

섬진자가사리 Liobagrus somjienesis(Siluriformes, Adrianichthyidae) 후각기관의 기능 해부학적 구조 (Functional Anatomy of the Olfactory Organ in the Torrent Catfish, Liobagrus somjinensis(Siluriformes, Amblycipitidae))

  • 김현태;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5-68
    • /
    • 2018
  • 섬진자가사리 Liobagrus somjinensis 후각기관과 서식처 환경 및 생태적 습성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해 실체현미경과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부학적 특징을 묘사하였다. 후각기관은 주둥이 위에 좌우 한 쌍으로 존재하였으며, 전비공, 후비공, 비강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었다. 전비공은 튜브형의 형태로 코수염과 윗입술 끝 사이에 위치하였다. 후비공은 표면과 평평한 유출공으로써 코수염의 기부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었다. 비강은 가로와 방사형으로 배열된 혀 모양의 22~24개의 판으로 구성된 로제트 구조를 보유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섬진자가사리의 후각기관의 기능 해부학적 구조는 여울에서의 은신, 섭식, 야행성의 생활패턴에 연관된 높은 후각의존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돌마자 Microphysogobio yaluensis(Cypriniformes, Cyprinidae) 후각기관의 구조 및 조직학적 특성 연구 (Structure and Histological Characters of the Olfactory Organ in Korean Endemic Fish, Microphysogobio yaluensis (Cypriniformes, Cyprinidae))

  • 김현태;이용주;김형수;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61-166
    • /
    • 2018
  • 한국 고유종 돌마자 Microphysogobio yaluensis의 후각기관과 서식처 및 생태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체 현미경과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구조 및 조직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후각기관은 외부적으로 전비공, 후비공 그리고 비경계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는 22~24개의 후판들과 비선으로 구성되었다. 후판은 감각상피와 비감각상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감각상피는 후감각신경, 지지세포, 기저세포들로 구성되었으며, 비감각상피는 층상상피세포, 비감각섬모세포, 산성과 중성을 갖는 황점액소의 점액세포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후각기관들의 특징들은 돌마자의 높은 후각능력과 의존성 그리고 서식처 환경에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분류학적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붕어 Carassius auratus와 떡붕어 Carassius cuvieri 후각기관의 형태 및 형태계측학적 비교 연구 (Comparative Morphology and Morphometry of the Olfactory Organ of Carassius auratus and Carassius cuvieri (Cypriniformes, Cyprinidae))

  • 김현태;이진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71-17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붕어 Carassius auratus와 떡붕어 C. cuvieri 후각기관의 형태 및 형태계측학적 특징을 실체현미경과 통계프로그램 SPSS를 이용하여 묘사하고 분석하였다. 형태에서 두 종의 후각기관은 외부적으로 반원형의 개방된 전비공, 후비공, 그리고 비경계판으로 구성하며 다수의 후판으로 이루어진 로제트를 보유한 비강 내 구조를 나타냈다. 독립표본 t-검정과 Pearson 상관계수를 이용한 두 종간 체장과 후판의 통계적 분석에서 후판의 개수는 붕어(14~20)가 떡붕어(14~16)보다 더 많았고(P<0.001), 체장대비 후판의 비율 또한 붕어(12.7±0.7%)가 떡붕어(8.2±0.6)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P<0.001). 결과적으로, 주둥이 위쪽의 개방형 비공의 위치와 모양은 외부의 후각 물질의 유입을 방해하는 경계층(boundary layer)의 감소와 연관되는 형태적 적응이며 떡붕어보다 더 작은 체장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수의 붕어 후판은 생존을 위해 더 높은 후각의존도를 반영하는 형태적 전략으로 간주되며 후판 수 차이와 체장대비 비율 차이는 두 종의 새로운 분류학적 형질로 사료된다.

한국산 대륙송사리 Oryzias sinensis(Pisces: Adrianichthyidae) 후각기관의 해부 및 조직화학적 연구 (An Anatomical and Histochemical Study of the Olfactory Organ in Rice-fish Oryzias sinensis(Pisces: Adrianichthyidae) in South Korea)

  • 김현태;이용주;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23-228
    • /
    • 2016
  • 한국산 대륙송사리 Oryzias sinensis의 후각기관을 실체현미경과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해부 및 조직 화학적 특징들을 조사하였다. 전체적 구조에서 후각기관은 두부의 주둥이 위에 한 쌍으로 존재하였으며 다소 떨어져있는 전비공과 후비공, 한 개의 비강, 한 개의 비낭으로 구성되었다. 비강내 상피는 감각상피와 비감각상피층으로 구분되었다. 감각상피는 후감각세포, 지지세포, 기저세포 그리고 공포들로 구성되었다. 비감각상피는 층상상피 세포, 산성과 중성 점액세포들로 구성되었다. 비낭의 상피층은 층상상피세포와 배상세포들로 구성되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대륙송사리의 후각기관의 해부 및 조직화학적 특징들은 농경지에서의 정체되고 오염되어있는 수환경을 반영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System-Wide Expression and Function of Olfactory Receptors in Mammals

  • Oh, S. June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6권1호
    • /
    • pp.2-9
    • /
    • 2018
  • Olfactory receptors (ORs) in mammals are generally considered to function as chemosensors in the olfactory organs of animals. They are membrane proteins that traverse the cytoplasmic membrane seven times and work generally by coupling to heterotrimeric G protein. The OR is a G protein-coupled receptor that binds the guanine nucleotide-binding $G{\alpha}_{olf}$ subunit and the $G{\beta}{\gamma}$ dimer to recognize a wide spectrum of organic compounds in accordance with its cognate ligand. Mammalian ORs were originally identified from the olfactory epithelium of rat. However, it has been recently reported that the expression of ORs is not limited to the olfactory organ. In recent decades, they have been found to be expressed in diverse organs or tissues and even tumors in mammals. In this review, the expression and expected function of olfactory receptors that exist throughout an organism's system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