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eic acid

검색결과 1,478건 처리시간 0.032초

서남해안 검정콩들의 단백질과 지방산 조성변이 (Seed Protein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Black Seeded Soybeans Collected From Southwestern Islands)

  • 권병선;신정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40-243
    • /
    • 2002
  • 서남해안 부근의 섬에서 재배되고 있는 재래종 검정콩 유전자원 45품종(135점)의 조단백,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조단백 함량 변이는 34.70-44.20%(평균 40.75%),지방산 조성 변이는 palmitic acid에서 9.00-14.40%(평균 11.41%) stearic acid에서 2.90-5.00%(평균 3.93%), oleic acid에서 22.25-26.50%(평균 22.75%), linoleic acid에서 50.30-57.20% (평균 53.55%), linolenic acid에서 6.70-11.20%(평균 8.35%)의 변이를 보였다. 지방산에 대한 유전력은 oleic acid에서는 높았으나 stearic acid와 linolenic acid에서는 낮았으며 palmitic acid, linoleic acid는 조단백의 유전력과 같은 경향으로 중정도 이었다. 형질상호간의 상관 계수에서 조단백은 oleic acid와는 고도의 유의차로 정의 상관을, linoleic acid와는 고도의 유의 차로 부의 상관을 보였고 기타의 지방산간에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Oleic Acid 내성균주로부터 Tylosin 생산 (Tylosin Production by Mutant Resistant to Oleic Acid)

  • 최두복;;문옥란;윤미란;지성남;신대윤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60-364
    • /
    • 2005
  • Streptomyces fradiae로부터 Tylosin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지방산 내성균주을 분리 했다. 여러 지방산중에서 oleic acid 1.6 g/l 이상이 첨가될 때 세포 성장이 완전히 저해 되었다. 그러나 oleic arid 1.2 g/l에서 얻어진 TM-224-1 균주는 최대 균체농도와 tylosin 생산이 얻어졌다. 또한 oleic acid 소비속도는 parent strain 비해 3.8배 증가했다. Oleic acid 내성균주, TM-224-1 균주와 parent strain을 이용해서 jar fermentor에서 균체농도, tylosin 생산, 그리고 rapeseed oil 소비를 표준조건하에 5일동안 비교하였다. TM-224-1 균주을 이용할 경우 균체 농도는 초기에 parent strain비해 증가했으나 배양중반부터는 감소하기 시작했다. rapeseed oil 소비의 경우는 거의 비슷했다. 그러나 Tylosin 생산 수율은 parent strain 비해 약 3.2배 증가했다.

한국 토양균중 Esterase 저해제 검색 및 분리에 관한 연구(제 2 보) Streptomyces Strain DMC-498 균주의 저해성분 및 관련 지질의 분리 (Studies on Screening and Isolation of Esterase Inhibitors from Soil Microorganisms (II). Isolation of Inhibitors and Associated Lipids from Streptomyces Strain DMC-498)

  • 이승정;김하원;곽진환;심미자;허영근;김성원;최응칠;김병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181-189
    • /
    • 1987
  • 한국 토양균 중에서 esterase 저해제를 생산하는 균주인 Streptomyces strain DMC-498을 oatmeal yeast extract 배지에서 3일간 액내 배양하였을 때 최고의 저해작용을 나타내었으며 균사체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저해제를 분리하였다. linoleic acid가 저해작용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50% 저해작용을 나타내는 linoleic acid의 양은 $0.045\;\mu\textrm{g}/ml$이었다. 활성이 보다 큰 compound A는 분자량이 500 이상이며 산소를 2개이상 함유하고 있는 환상구조의 지방족 화합물로 생각된다. 이것을 상경적 저해작용을 나타내었다. DMC-498 균주가 함유하는 지질의 주성분은 isostearic acid, isostearic acid methyl ester, linoleic acid methyl ester 및 oleic acid methyl ester이었다.

  • PDF

Unambiguous Evidence for Phase Transitions of Oleic Acid in Pure Liquid State by Near-Infrared Spectroscopy and Pricipan Comaonent Analysis

  • Nobuya Yokochi;Makio Iwahashi;Masao Suzuki;Yukihiro Ozaki
    • Near Infrared Analysis
    • /
    • 제1권2호
    • /
    • pp.21-27
    • /
    • 2000
  • Temperature-dependent changes in near-infrared (NIR) spectra have been measured for oleic acid, and nonanoic acid in the pure liquid state. Particular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5400-4800 cm$\^$-1/ region where a number of combination bands appear. The NIR spectra of oleic acid show that a band at 5303 cm$\^$-1/ increases with temperature while that at 5270 cm/sup-1/ decreases. It ha been found from their second derivative spectra that these spectral changes take place stepwisely with two break points at 30 and 53$\^{C}$, which correspond to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s oleic acid reported previously.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 has been carried out for the NIR spectra of oleic acid in the 5400-4800 cm$\^$-1/ region measured over a temperature range of 15-80$\^{C}$. core plots of the first and second principal components (PCs) show that the NIR spectra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he spectra measure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15-30$\^{C}$, those in the range of 31-53$\^{C}$, and those in the range of 54-80$\^{C}$. These temperature ranges correspond to those for quasi-smectic liquid crystal, disordered liquid crystal, and isotropic liquid of oleic acid in the pure liquid state. In other words, PCA provides unambiguous evidence for the phase transitions. similar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for petroselinic acid and nonanoic acid in the pure liquid states, but they do not show any evidence for phase transitions.

현미와 백미의 극성지질의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olar Lipids Composition in Brown Rice and Milled Rice)

  • 이희자;이현주;변시명;김형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62-268
    • /
    • 1989
  • 다수계 품종인 남풍, 밀양 23호와 일반계 품종인 화성, 진흥을 각각 현미, 백미, 겨로 구분하여 준비한 12가지 시료에서 추출한 극성지질의 조성을 TLC로 분별 정량하였고, 지방산 조성을 GC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당지질은 TLC 상에 6가지가 분리되었으며, esterified steryl glycosides(ESG) 함량이 가장 높고, monogalactosyl diglycerides(MGDG) 와 steryl glycosides(SG) 함량은 다음으로 둘은 비슷한 값이었다. 현미와 백미 그리고 겨의 ESG함량은 51.05%, 47.88%, 50.76%로 별 차이가 없었으며, MGDG는 겨에서 높았고, SG, cerebrosides(CB), digalactosyl diglycerides(DGDG)는 현미와 백미에 비해 낮았다. 2. 인지질은 TLC 상에서 7가지가 분리되었고 이중 phosphatidyl cholines(PC)와 phosphatidyl serines(PS)는 겹쳐져서 나타났으며, 한가지의 확인할 수 없는 물질이 있었다. 인지질 조성은 PC+PS가 가장 함량이 많았으며, 현미중의 PC+PS가 62.08%로 가장 높았다. 다음이 PE로 시료 군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3. 당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현미와 백미에서는 총 지질, 중성지질의 조성과는 달리 palmitic acid의 함량이 30.84%, 34.13%로 매우 높아서 linoleic acid 함량과 비슷하였고 oleic acid 함량이 23.11%, 18.11%로 매우 낮았다. 이와 달리 겨는 oleic acid함량이 가장 높고 다음이 linoleic acid 그리고 Palmitic acid 였다. 4.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현미의 경우 linoleic acid 함량이 39.20%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oleic acid로 34.04% 였으며, palmitic acid는 22.60%였다. 백미는 linoleic acid 함량이 40.55%로 가장 높고, 다음이 palmitic acid였으며, oleic acid는 현미와는 달리 함량이 낮았다. 한편 겨는 현미, 백미와는 달리 남풍, 화성, 진흥에서 myristic acid 함량이 각각 37.53%, 44.20%, 45.42%로 가장 높고 linoleic, oleic, palmitic acid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밀양 23호 겨만이 oleic, linoleic acid 함량이 비슷하게 37% 정도였고, palmitic acid 20.52%, myristic acid가 2.02%로 현미, 백미의 조성 비율과 비슷하였다.

  • PDF

Flavobacterium sp. Strain DS5에 의한 Oleic Acid로부터 산화불포화 지방산의 생산 및 분석 (Production and Analysis of Oxygenated Unsaturated Fatty Acids from Oleic Acid by Flavobacterium sp. Strain DS5)

  • 송병섭;한남수;이봉희;;김범수
    • KSBB Journal
    • /
    • 제24권1호
    • /
    • pp.41-46
    • /
    • 2009
  • 식물성 오일은 다양한 생물제품 생산에 적합한 저가의 원료이다. 식물성 오일의 주성분인 oleic acid와 linoleic acid와 같은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콩기름의 경우 각각 22%와 55%, 옥수수기름의 경우 26%와 60%, 유채기름의 경우 61%와 21%에 달한다. Hydroxy나 keto group으로 치환된 불포화 지방산들은 다른 지방산에 비해 높은 점도와 반응성 등의 특별한 화학적 특성 때문에 가소제, 계면활성제, 윤활유, 세제 등에 사용되는 유용한 산업 화합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Flavobacterium sp. strain DS5 (NRRL B-14859)를 oleic acid로부터 중간생성물로서 10-hydroxystearic acid (10-HSA)를 거쳐 10-ketostearic acid (10-KSA)로의 전환에 이용하였다. 두 개의 생물전환 생성물인 10-KSA와 10-HSA는 GC, GC-MS, $^1H-NMR$, $^{13}C-NMR$을 이용하여 정량 및 정성분석을 수행하였다. 플라스크 배양에서 10-KSA와 10-HSA의 최대 생산량은 각각 3.4 g/L와 0.5 g/L 이었다. 10-KSA 생산을 위한 최적 glucose 농도 yeast extract 농도, oleic acid 첨가시간, 첨가부피는 각각 20 g/L 이하, 5 g/L 이상, 접종 후 18 h, 0.3 ml/50 ml 이었다.

한우에 있어서 생식기관액 중 지방산 조성과 조성율 (Fatty Acid constituents and Relative Compositions of Reproductive Tract Fluids in Korean Native Cows)

  • 신원집;정진우;최광수;신수길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7-156
    • /
    • 2000
  • To investigate fatty acid constituents and relative compositions in the fluid of the follicles, oviducts, uterine body and uterine body in Korean native cow, the fluids of the reproductive tract were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 The samples were taken from various reproductive tract of 23 Korean native cows. q. Caprylic acid (C8:0), myristic acid(C14:0), palmitic acid(C16:0), palmitoleic acid(C16:1), stearic acid(C18:0), oleic acid(C18:1), linoleic acid(C18:2), arachidonic acid(C20:4) were found in the reproductive tracts of the cows, which made 8 kinds of fatty acid in total. 2. Palmitic acid, oleic acid, stearic acid were predominant with 35.67%, 24.98% and 17.52%, respectively. while low levels of fatty acids(<5%) were myristic acid, palmitoleic acid and caprylic acid with 1.75%, 1.28% and 2.69%, respectively. 3. Two kind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linoleic acid arachidonic acid were found in the reproductive tracts of cows. 4. Palmitic acid among saturated fatty acids and oleic acid among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the highest level in all of the reproductive tracts. 5. The Highest level of arachidonic acid was found in the uterine horn. 6. The sum of the palmitic acid and oleic acid were 61.72%, 63.72%, 57.66% and 57.65% for the fluid of follicle, oviduct, uterine horn and uterine body of the cows, respectively. 7. The relative compositions of palmitic acid, palmitoleic acid and caprylic acid were higher during the luteal phase than during the follicular phase. 8. The relative compositions of arachidonic acid was higher during the follicular phase in the fluid of uterine horn and uterine body of the cows. 9. The long chain fatty acid, the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and linoleic acidshowed higher relative compositions during the follicular phase(86.49%∼95.51%) than during the luteal phase(85.64%∼88.93%).

  • PDF

유채 지방산조성 개량육종에 관한 연구 - 제 16 보 유채 시비수준이 유지함량 및 지방산조성에 미치는 영향- (Breeding for Improvement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Rapeseed Brassica napus L. XVI. Effect of Fertilizer level on the Oi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Rapeseed)

  • 권병선;이정일;김상곤;채영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98-202
    • /
    • 1984
  • 답리작과 전작 유채재배에서 지방산조성이 개량된 품종을 공시하여 시비량을 달리했을 때의 토양화학적 성질, 종실의 유분함량 및 지방산조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분함량은 전작재배에서보다 답리작재배에서 높았고 지방산조성에서는 Palmitic. Linoleic. Linolenic acid함량은 답리작재배에서 높았으며 Stearic과 Oleic acid는 전작재배에서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2. 질소시용은 많을수록 함유율이 증가하는 경향이나 15kg/10a 이상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으며 인산과 가리는 모두 증가할수록 함유율이 증가하였다. 3.양질 지방산인 Oleic+Linoleic acid의 함량은 답리작보다는 전작재배의 경우 평균 2∼5% 더 높아서 유질이며 우수하였다. 4. Oleic acid와 Linoleic acid 함량은 질소의 증시에 의해 증가하는 경향이며 인산과 가리에서는 전작인 경우 8kg/10a까지는 증가하나 그 이상에서는 감소하였으며 답리작에서는 인산, 가리의 증시효과가 없었다.

  • PDF

Talc로 충전된 폴리프로필렌의 기계적 물성 : 커플링제 효과 (Mechanical Properties of Talc-Filled Polypropylene : Coupling Agent Effect)

  • 김주성;최미애;박태욱;김덕준
    • 폴리머
    • /
    • 제24권6호
    • /
    • pp.770-776
    • /
    • 2000
  • 비반응성 커플링제기 도입에 따라 talc가 충전된 폴리프로필렌의 기계적, 열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커플링제로서 stearic acid와 이와 화학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ole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커플링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talc로 충전된 폴리프로필렌의 인장강도, 굴곡강도, 충격강도 및 열적안정성, 용융전이점 등을 측정, 분석하였다. 인장강도와 굴곡강도는 커플링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커플링제의 도입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talc 대비 3 wt%의 농도에서 최대값을 보였다. 인장강도와 굴곡강도에서는 oleic acid로 처리한 시편의 강도가 stearic acid로 처리한 시편의 강도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충격강도에서는 그 반대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전자주사현미경 (SEM)을 이용하여 각 시편의 모폴로지를 관찰함으로써 이러한 결과에 대한 원인을 유추해 보았다.

  • PDF

서울 지역 중화 요리점의 탕수육 및 튀김유의 품질 측정 (Quality Test of the Sweet-and-Sour Porks and Deep-Frying Oil from the Chinese Restaurants in Seoul)

  • 김효진;설성련;이기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36-542
    • /
    • 2010
  •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중화 요리점들로부터 탕수육과 튀김유를 각각 수거하여 지방 함량과 지방산 조성, 트랜스 지방산 함량 및 산가를 비교 분석한 후 탕수육 및 튀김유의 품질을 측정하였다. 탕수육 20종 시료의 총 지방 함량은 평균 14.65%로 측정되었으며, 주요 지방산은 평균적으로 linoleic acid($C_{18:2}$)는 38.13%, oleic acid($C_{18:1}$)는 30.07%, palmitic acid ($C_{16:0}$)는 17.14%의 순으로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총 불포화지방산은 평균 70.79%, 포화지방산은 평균 23.47%로 측정되었다. 탕수육 시료 중 6번, 7번, 9번, 16번, 17번 시료를 제외하고 linoleic acid, oleic acid, stearic acid의 순으로 많았으며, 이 세 개의 지방산이 85.38~87.27%를 점유하였다. 반면에, 7번, 9번 시료의 지방산 조성을 살펴보면 oleic acid(평균 41.88%), palmitic acid(평균 23.46%), linoleic acid(평균 15.22%)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16번, 17번 시료의 지방산 조성을 살펴보면 oleic acid(평균 34.83%), linoleic acid(평균 28.68%), palmitic acid(평균 20.21%)의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특히, 6번 시료는 palmitic acid가 40.70%로 높게 함유하고 있었으며, 총 포화지방산 함량은 49.26%, 총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50.05%를 나타내었다. 15종의 튀김유의 주요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palmitic acid는 11.65~20.28%, oleic acid는 23.54~26.32%, linoleic acid는 43.82~52.55%, stearic acid는 3.98~5.29%로 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탕수육 시료와 튀김유 각 100 g당 함유되어 있는 트랜스 지방산의 함량은 0.24 g와 0.98 g 이하로 각각 적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모든 시료는 식품공전상 튀김유의 산가 규격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