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der Nursing Student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19초

성분 헌혈자가 혈소판 반출시 지각하는 불편감 (The Perceived Discomfort of Plateletpheresis Donors)

  • 김상돌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77-587
    • /
    • 1997
  • Purpose : To collect and interpret basic data involving the discomfort level of platelet donors and to see which nursing interventions would help make plateletpheresis more comfortable. Methods : Using "the Platelet Donor's Discomfort Scal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herself and reviewed by an expert panel, the severity of discomfort as well as factor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is discomfort were analyzed. This scale contained 59 items and each item was scored by the 4-point Likert manner. Between March 1, 1996 and May 31, 1996, 500 platelet donors(16 years of age and older)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were factor analysis, t-test, and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of the platelet donor's discomfort scale was 130, range 69-207, possible score ranging from 59-236. 2. The platelet donor's discomfort scale had psychological, environmental, physical, and time-related factors. The time- related factor was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iscomfort. 3. In looking at the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discomfort scores, the 16-20 age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ratings than those of the 26-30 age group. The students' group had higher scores than the soldier's group, and those who used the V-50, MCS -3P, or the PCS Plus machines had higher scores than those who used the COBE Spectra machine(P<.05, respectively), 4. In relation to the physical factor of the discomfort score, the youngest group felt significantly more discomfort, the student's group had a higher score than the soldier's group, and those who used the V-50, MCS-3P, or or the PCS Plus machines had higher scores than those who used the COBE Spectra machine(P<.05, respectively). 5. The time related factor of the discomfort score had the highest scores in every variable, howeve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between any of the variables(P>.05). Conclusion :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can be oserved that the time-related factor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discomfort. The age and job of the donor, as well as the type of machine used,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predicting the level of discomfort, regardless of psychological, environmental, and physical factors. This data could be used to determine nursing interventions that would relieve some of the discomfort of patients, as well as donors, undergoing plateletpheresis. Furthermore, consideration of the donor's time, introduction of a platelet donor pool system, publicity and education about platelet donation are required.

  • PDF

노인의 의미 있는 활동에 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Meaningful Activity Experience of the Elderly)

  • 황혜정;강경희;김두리;장경희;김광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45-52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노년기 의미 있는 활동의 요인을 분석할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최종연구대상은 65세 이상 11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student t-test와 one-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노인의 의미 있는 활동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나는 가족과 함께 하는 일(활동)이 보람 있다고 생각 한다'가 3.95±0.6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노인의 의미 있는 활동에 미치는 요인은 1.2.3단계 각각 거주지(서울)(β=-.308, p=.002), (β=-.330, p=<.001), (β=-.281, p=<.001)로 나타났고. 2단계에서 연령(β=-.215, p=.026) 나타나 노인의 의미 있는 활동에 미치는 요인은 거주지(서울)와 연령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앞으로 노년기 의미 있는 활동을 위해서는 지역을 고려하여 연소노인(65-74세) 대상으로 한 가족과 함께 하는 일(활동)이면서 대화 및 의사소통에 우선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추후 노년기 의미 있는 활동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체계적인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국내 결핵환자 발생 현황 고찰(2010-2018)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Tuberculosis Patients in Korea(2010-2018))

  • 김원순;박창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021-1030
    • /
    • 2021
  • 국내 결핵 환자 관리의 방안을 모색하고 결핵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10년부터 2018년까지 통계청과 질병관리본부의 결핵 환자 통계 연보와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의 GLOBAL Tuberculosis Report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국내 결핵 환자 현황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결핵 환자 발생 현황 결과는, 2018년 33,796명(65.9%), 신환자는 2018년 26,433명(51.5%)으로 약 21.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결핵 환자치료 현황은 과거 치료결과 불명확은 2018년 655명으로 2014년 대비 약 16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결핵환자 발생률은 10에서 14세는 2018년 1.8%, 15세에서 19세는 15.0%로 고등학생의 결핵 발생률이 높았다. 넷째, 나이별 결핵 환자 발생률을 보면 60대 이상의 대상자가 60% 이상의 결핵 유병률을 보였으며 특히 80세 이상의 노인결핵 환자가 증가하였다. 다섯째, 성별 결핵 환자발생률 현황은 2010년 대비 2018년에 남성이 여성보다 1.4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전국적으로 결핵 유병률은 전남 1,419명(75.6%)이 가장 높았고, 세종 99명(33.4%)이 가장 낮았다. 일곱째, 국내 외국인 환자 수는 2012년 1,510명으로 지속적으로 늘어나 2016년에는 2,569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결핵 재발자, 고등학생, 60세 이상의 연령층, 80세 이상의 노인, 군대 등의 남성 집단, 외국인 대상의 신속하고 정확한 결핵 조기 검진정책과 관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