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l-spill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21초

Application of Bimodal Histogram Method to Oil Spill Detection from a Satellite Synthetic Aperture Radar Image

  • Kim, Tae-Sung;Park, Kyung-Ae;Lee, Min-Sun;Park, Jae-Jin;Hong, Sungwook;Kim, Kum-Lan;Chang, Eunmi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45-655
    • /
    • 2013
  • As one of segmentation techniques for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image with oil spill, we applied a bimodal histogram method to discriminate oil pixels from non-oil pixels. The threshold of each moving window was objectively determined using the two peaks in the histogram distribution of backscattering coefficients from ENVISAT ASAR image. To reduce the effect of wind speed on oil spill detection, we selected ASAR image which satisfied a limit of wind speeds for successful detection. Overall, a commonly used adaptive threshold method has been applied with a subjectively-determined single threshold. In contrast, the bimodal histogram method utilized herein produces a variety of thresholds objectively for each moving window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atistical distribution of backscattering coefficients. Comparison between the two methods revealed that the bimodal histogram method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performance when compared to the adaptive threshold method, except for around the edges of dark oil spots. Thus, we anticipate that the objective method based on the bimodality of oil slicks may also be applicable to the detection of oil spills from other SAR imagery.

태안 허베이스피리트호 원유 유출사고가 대형저서동물군집에 미치는 초기영향 (The Early Impacts of the 'Hebei Spirit' Oil Spill on the Macrozoobenthic Communities in the Subtidal Area Around Tae-an, Western Coast of Korea)

  • 서진영;박소현;신현출;임현식;최진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6권3호
    • /
    • pp.139-146
    • /
    • 2011
  • 본 연구는 충남 태안에서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 유류유출 사고 직후 유류오염이 대형저서동물 군집에 미치는 초기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고, 10일 후인 2007년 12윌 18일부터 22일까지 72개 정점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고 주변 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228종, 서식밀도는 561 개체 $m^{-2}$였으며, 생물량은 39.7 gww $m^{-2}$였다. 본 연구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를 보인 대형저서동물은 단각류의 Ampelisca sp.였다. 그러나 이 종은 유류 오염에 민감한 종으로 유류오염의 직접적 영향을 받았던 만리포 주변 해역에서는 전혀 출현하지 않았다. 반면 기회주의적 다모류에 속하는 얼굴갯지렁이류의 Prionospio bocki, Prionospio cirrifera가 만리포 주변 해역에서 우점하게 나타나는 등 유류오염에 의한 징후가 나타났다. 또한 유류사고 직전에 수행된 연구 결과들에 비해 서식밀도 및 생물량 조성이 크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일부 해사채취해역에 위치한 정점들에서는 유류사고 전후의 군집조성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기상악화시 우리나라 서해안의 효율적인 방제방법 고찰 (Study on Efficient Response Skill in the Yellow Sea Coast of Korea under Bad Weather)

  • 윤종휘;국승기;문정환;장하용;국은미;하민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02-403
    • /
    • 2010
  • 지난 2007년 서해안에서 발생한 Hebei Spirit 호 기름유출사고는 국가방제능력 2만톤 확보, 유출확산 시뮬레이션, 방제선 및 방제장비 등의 대비를 무색하게 할 만큼 엄청난 환경적 경제적 피해를 발생시켰다. 사고에 따른 피해가 사고시 기상 및 해역조건과 더불어 기름유출사고로 인하여 해상에서 방제활동에 초점이 맞춰진 현재 방제방법의 한계를 알아보고 우리나라 서해안에서의 효율적인 방제활동 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 PDF

보호지역 관리정책 수립을 위한 국민 환경의식 및 실천 행동수준 분석 -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사고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Protection Behavior to Establish Protected Area Management - Focused on Hebei Spirit Oil Spill -)

  • 심규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2호
    • /
    • pp.259-265
    • /
    • 2012
  • 본 연구는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사고 이후 일반 국민의 환경의식과 환경보호를 위한 실천행동수준 분석을 통해 보호지역 관리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1년 5월부터 6월까지 5대 광역시(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에서 일반 국민 987명을 대상으로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태안해안국립공원을 유류유출사고로 인한 피해복구지역으로 인지하거나, 자원봉사활동, 환경보호 및 보존 단체 및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 등과 같은 환경적 관심이 있을수록 환경에 대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생물학적 보전과 이용의 균형을 고려한 보호지역 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류피해지역 어장환경 개선사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An Analysis on Economic Effectiveness of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in Oil Spill Damaged Fishing Grounds)

  • 김홍식;전형주;김도훈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6호
    • /
    • pp.1781-1791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iveness on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that has been implemented in five fishing grounds of Taean-gun which had been damaged by the Hebei Spirit oil spill accident. In the analysis, first, this study performed the survey on residents perceptions about the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Second, the cost-benefit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conomic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The survey results of residents perceptions indicated that the damage of oil spill was considerable in the target areas. It also showed that residents wanted to continue the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nd the levels of project satisfaction were quitely high. The economic results showed that 3 areas(Woong-do, Wang-san, and Dang-mi) would have positive values of NPV and B/C ratio, but the other(Nu-dong) would have negative values. The findings of this analysis could be used as the base data for increasing operational efficiency of future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해양정보기반 방제지원시스템 프로토타입 구축에 관한 연구 (Prototype Development of Marine Information based Supporting System for Oil Spill Response)

  • 김혜진;이문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82-192
    • /
    • 2008
  • 효율적인 방제전략 수립 지원시스템 개발의 일환으로 환경민감정보 기반의 유출유 확산예측 시스템과 피해위험도 예측시스템을 연계하여 인천-대산해역을 대상으로 해양오염 방제지원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유출유 확산예측시스템에서는 실시간 바람과 실시간 해수유동을 기반으로 유출유의 이동을 계산하고, 유출유 특성에 따라 해상 유출유의 풍화작용을 모델링하여 유출유의 잔류량 및 확산분포를 계산하였다. 유출유 확산예측의 실시간 바람은 국립환경과학원의 실시간 기상모델 결과를 ftp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연계하여 활용하며, 실시간 해수유동으로서 조류는 수치모델결과와 검조소 관측결과의 결합을 통해 실시간 조석을 예측하는 CHARRY(Current by Harmonic Response to the Reference Yardstick)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하고, 실시간 취송류는 바람과 취송류간의 상관관계와 반응함수를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실시간 해수유동을 따라 이동하면서 풍화되는 유출유의 풍화작용은 유출유 특성에 따라 결정된 감소율을 적용하여 모델링하였다. 본 시스템은 GIS 기술을 이용하여 해양 정보를 ESI(Environmental Sensitivity Index) 및 방제자원 정보와 통합하고 종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방제전략 수립을 지원할 수 있다.

  • PDF

미생물제제의 해상유출유 분해 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Bioremediation Agents to degrade the spilled oils on waters)

  • 임재동;윤종휘;김인수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73-79
    • /
    • 2004
  • 해상에서의 대형 유류유출 사고 발생으로 인한 유류오염은 해양 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극 최종적으로는 인간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해안을 접한 많은 나라들은 방제기술 향상을 위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유류 제거는 몇몇 국가에서 2차적인 방제방법이나 다른 방제 방법의 대안으로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향후 유류사고 발생시 적용을 위해 미생물제제의 분해 효과와 영향을 실험실 규모의 실험을 통해 찾아보았다. 본 논문에서 유출유에 대한 미생물제제의 효과와 효율은 단기적으로 실험실에서 행해진 실험의 결과이므로 실제와는 많은 차이가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차후에는 장기적인 현장실험을 통한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유출유의 방제 가능성을 찾아보아야 할 것이다.

  • PDF

유류사고 이후 안면도 연안 해수 및 퇴적물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오염에 관한 연구 (Pollu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Seawater and Marine Sediments from Anmyundo Coastal Area after Oil Spill)

  • 이완석;박승윤;김평중;전상백;안경호;최용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421-1430
    • /
    • 2010
  •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were investigated in seawater and marine sediment from Anmyundo coastal area after oil spill. The concentrations of total PAHs in surface and bottom of seawater at August were 31.1 to 142.6 ng/L and 5.9 to 50.9 ng/L in August and November,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PAHs in sediment were 21.0 to 102.9 ng/g D.W. and 32.3 to 57.4 ng/g D.W. in August and November, respectively. PAHs concentrations in seawater and sediment in August were higher than those in November about 2.5 and 1.4 times, respectively. Diagnostic ratio (PhA/AnT and FluA/Pyr) were investigated to identify source of PAHs in seawater and sediment. The PAHs in seawater originated from pyrolytic source and those in sediment originated from pyrolytic and petrogenic source. The glass, wood and coal origin was higher than petroleum origin on the combustion origin of PAHs in seawater and sediment. The seawater of Anmyundo costal area recovered from oil spill, but the sediments of that were weakly influenced by oil spill until now. Because this area is developed many fishing grounds, demanded Long Term Environmental Monitoring Program (LTEMP). The concentrations of PAHs on depth of sediments were investigated at station 8 and 10. The concentrations of PAHs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depth.

여수 유류유출사고 방제작업자의 건강영향평가 (Health Effect Assessment on Cleanup Workers of an Oil Spill in Yeosu)

  • 김근배;강택신;윤미라;조혜정;주영경;유승도;이보은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385-395
    • /
    • 2016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exposure to VOCs and PAHs and the health effects on volunteers who participated in an oil spill cleanup in Yeosu. Methods: Atmospheric VOCs were evaluated in the vicinity of the accident site and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to identify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acute health symptoms of clean-up workers seven days after the accident. The levels of metabolites of VOCs (t,t-MA, HA, PGA, MA, MHA) and PAHs (2-NAP, 1-OHP, 2-HF, 1-HPH), oxidative stress markers (TABARS, 8-OHdG) in the urine of workers were analyzed. Their correlation was determin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AS ver. 9.4. Results: Although the concentration of atmospheric VOCs in the residential areas were low at the time of survey, the levels of VOCs and PAHs metabolites in clean-up worker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fter clean-up activities. The levels of urinary VOC and PAH metabolit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clean-up compared to those measured before participation.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concentrations were also increased an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ose of metabolites of benzene.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oil spill clean-up activities affect exposure to VOCs and PAHs and the health of clean-up workers.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check-ups of participants in oil spill cleaning work.

유류유출시 사회경제적 영향평가 제도 연구 (A Study on Socio-economic Impact Assessment System for Marine Oil Spill)

  • 이문숙;권석재;박세헌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9-55
    • /
    • 2010
  • 해상에서 유류유출사고가 발생하면 해양생태계 파괴 뿐 아니라 바다에 의존하여 삶을 영위하는 인간에게 사회경제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크다. 법률(해양환경관리법)에서는 유류유출시 해양오염영향조사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사회경제적 영향을 평가하기에는 법률상 조사 항목이 구체적이지 못하고, 세부항목 간 중복 등의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법률상 해양오염영향조사 시스템 중 사회경제 분야의 조사를 중심으로 문제점을 진단하고, 사회경제적 영향평가의 범주와 지표를 개발하여 제도적 개선의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