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l water separation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8초

Optimization of fish oil extraction from Lophius litulon liver and fatty acid composition analysis

  • Hu, Zhiheng;Chin, Yaoxian;Liu, Jialin;Zhou, Jiaying;Li, Gaoshang;Hu, Lingping;Hu, Yaqi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5권2호
    • /
    • pp.76-89
    • /
    • 2022
  • The Lophius litulon liver was used as raw material for the extraction of fish oil via various extraction methods. The extraction rate by water extraction, potassium hydroxide (KOH) hydrolysis and protease hydrolysis were compared and the results revealed the protease hydrolysis extraction had a higher extraction rate with good protein-lipid separation as observed by optical microscope. Furthermore, subsequent experiments determined neutrase to be the best hydrolytic enzyme in terms of extraction rate and cost. The extraction conditions of neutrase hydrolysis were optimized by single-factor experiment and response surface analysis, and the optimal extraction rate was 58.40 ± 0.25% with the following conditions: enzyme concentration 2,000 IU/g, extraction time 1.0 h, liquid-solid ratio 1.95:1, extraction temperature 40.5℃ and pH 6.5. The fatty acids composition in fish oil from optimized extraction condition was composed of 19.75% saturated fatty acids and 80.25% unsaturated fatty acids. The content of docosahexaenoic acid (DHA) and eicosapentaenoic acid (EPA) were 8.06% and 1.19%, respectively, with the ratio (6.77:1) surpassed to the recommendation in current researches (5:1). The results in this study suggest protease treatment is an efficient method for high-quality fish oil extraction from Lophius litulon liver with a satisfactory ratio of DHA and EPA.

1축 회전판형 UF 모듈의 투과모델 및 Oil Emulsion 분리 특성 (Flux Model of One-shaft Rotary Disc UF Module for the Separation of Oil Emulsion)

  • 김제우;노수홍
    • 멤브레인
    • /
    • 제6권2호
    • /
    • pp.86-95
    • /
    • 1996
  • 본 연구에서는1축 회전판형 한외여과막 모듈의 순수 투과율 예측모델과 기름 에멀션의 분리 특성 및 투과율 예측모델을 유도하였다. 1축 RDM은 한외여과막(UOP사, 직경 0.22m)으로 제작된 회전판막을 장착하여 $25^{\circ}C$에서 압력, 각속도($\omega$), 농도 변화에 따라 분리특성을 조사하였다. 회전판막의 각속도가 0에서 52.36rad/s로 증가할수록 회전판내 유체가 받는 원심력에 의한 압력 강하와 분리막 표면의 미끄럼 흐름에 의한 압력 강하로 순수 투과율은 최대 각속도에서 3.9% 감소하였다. 원심력과 미끄럼 흐름에 의한 압력 강하는 선속도(${\omega}r$)의 자승에 비례하였다. 회전판의 각속도가 52.36에서 2.62rad/s로 감소할 때 5% 절삭유의 투과율은 30.16% 감소하였고 농도가 낮을수록 막회전과 투과율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다. 절삭유의 투과율(J; $kg/m^{2} \cdot s$)은 회전에 의한 압력 강하를 고려한 유효압력차($\Delta P_{T}$ ; Pa), 벌크농도($C_{B}$; %), 선속도($\omega$r; m/s) 등에 영향을 받으며 실험 결과에 저항 모델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식을 유도하였다.

  • PDF

Recovery Process for the Recycling of Waste Carbon Black

  • Lee, Sungoh;Nampyo Kook;Tam Tran;Bangsup Shin;Kim, Myongjun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The 6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East Asian Resources Recycling Technology
    • /
    • pp.215-219
    • /
    • 2001
  • Impurities removal from waste carbon black was carried out to produce high-grade carbon black. A lot of hydrophilic carbon black is produced as a byproduct of the hydrogen production process by flame decomposition of water. Due to its impurity content such as sulphur, iron, ash and etc., it can only be used as low-grade carbon or burnt out. High-grade hydrophilic carbon black is 3-5 times more expensive than oil-based carbon black because of its process difficulties and requires pollutant treatment. Hydrophilic carbon is normally used far conductive materials for batteries, pigment for plastics, electric wire covering, additives for rubber, etc.. In these applications, hydrophilic carbon must maintain its high purity. In this study magnetic separation, froth flotation and ultrasonic treatment were employed to remove impurities from the low-grade hydrophilic carbon black. As results, the ash, iron and sulphur content of product decreased to less than 0.01wt.%, 0.0lwt.% and 0.3wt.% respectively, and the surface area of product was about 930 $m^2$/g.

  • PDF

캔 산업의 전과정평가를 통한 청정생산 적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leaner Production using Life Cycle Assessment in the Can Industry)

  • 구희준;정찬교
    • 청정기술
    • /
    • 제8권4호
    • /
    • pp.205-215
    • /
    • 2002
  • 포장 산업의 발전과 재활용 활성화로 인해 캔 산업은 급속히 성장하였으나 공급과잉에 의해 수익성은 낮아졌다. 그러므로 캔 산업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조공정의 개선을 통해 공정을 최적화하고 또한 환경부담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과정평가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캔 제조공정의 주요이슈를 규명하였다. 그 결과 불량캔을 저감하고 타유를 제거하는 것이 주요이슈로 규명되었다. 도출된 문제점의 개선안으로 정수시설 도입과 살균타유분리시스템 설치, 세척노즐 변경, 초순수 가온시스템 설비를 도입하였다. 개선결과 6.4개월만에 투자비를 회수하며 연간 약 3억원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Photodegradation stability study of PVDF- and PEI-based membranes for oily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 Ong, C.S.;Lau, W.J.;Al-anzi, B.;Ismail, A.F.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8권3호
    • /
    • pp.211-223
    • /
    • 2017
  • In this work, an attempt was made to compare the effects of UV irradiation on the intrinsic and separation properties of membranes made of two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i.e.,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nd polyetherimide (PEI). The changes on membrane structural morphologies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upon UV-A exposure (up to 60 h) were studied by FESEM and FTIR,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cracks and fractures were detected on the PVDF-based membrane surface when the membrane was exposed directly to UV light for up to 60 h. Furthermore, the mechanical strength and thermal stability of irradiated PVDF-based membrane was report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UV exposure time. The PEI membrane surface meanwhile remained almost intact throughout the entire UV irradiation process. Filtration experiments showed that the permeate flux of UV-irradiated PVDF membran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approximately 11 to $16L/m^2.h$ with increasing UV exposure time from zero to 60 h. Oil rejection meanwhile was decreased from 98 to 85%. For the PEI-based membrane, oil rejection of >97% was recorded and its overall structural integrity was marginally affected throughout the entire UV irradiation process. The findings of this work showed that the PEI-based membrane should be considered as the host for photocatalyts incorporation if the membrane was to be used for UV-assisted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대규모의 주정발효 과정에서 생성된 불순물과 그 효율적 분리 (Impurities formed from ethanol fermentation process among different materials and it′s effective separation in large scale)

  • 류병호;김운식;남기두;이인기;하미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371-376
    • /
    • 1986
  • 주정발효공정에서 생성되는 불순물의 분리를 위한 공정개선으로 주정원료별 불순물의 양을 알아보고 이를 super-allospas식 연속증류기에서 집적하여 효율적인 분리를 하였다. 주정발효공정중에 생성되는 불순물 중 methanol은 절간고구마가 가장 많이 생성되었고 그 다음이 타피오카였다. fusel oil중 n-propanol은 쌀, 절간고구마, 옥수수, 쌀보리 및 타피오카의 순서이고 iso-butanol은 타피오카, 옥수수, 쌀, 절간고구마 및 쌀보리의 순서였다. 그리고 iso-amyl alcohol은 타피오카, 쌀. 절간고구마 옥수수, 쌀보리의 순이었다. 한편 supper-allospas식 연속증류기에 의한 fusel oil의 분리시 alcohol함량에 따른 집적율을 보면 n-propanol은 alcohol이 78.25%(v/v)일 때 37.9%. iso-butanol은 alcohol이 68.54% (v/v)일 때 28.6%, n-butanol은 alcohol 50% (v/v)일 때 37.4% iso-amyl alcohol은 alcohol이 50% (v/v)일 때 56.1%의 가장 높은 집적율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집적된 불순물은 side cut 하여 후류탑으로 유입시킨 후 재차 농축하여 탑저부의 붕(plate)에서 fusel oil을 side cut하여 일부는 직접분리하고 나머지는 다시 fusel oil분리기에 넣어 alcohol이 20%(v/v) 되도록 가수하여 분리하였다.

  • PDF

Lithium Dual Complex 그리이스의 합성 및 특성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Lithium Dual Complex Grease)

  • 최웅수;권오관;문탁진;유영홍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1권1호
    • /
    • pp.80-87
    • /
    • 1985
  • 고온에서 화학적역안정성 및 기계적안정성의 섬유구조를 갖기 위해 lithim complex gellant로 정한 지방산과 $LiOH\cdot H_2O$ 및 boric acid의 이차연속검화반응으로 lithium dual complex 그리이스를 합성하였다. complex gellant의 양은 14%(NLGI 2호)가 적정량이었으며, 특히 castor wax를 1.5% 첨가했을때 이상적인 성능을 나타냈다. 이렇게 합성한 그리이스의 유분리성, 산화안정성, 내수성, 혼화안정성, 극압 및 내마모성은 ASTM 및 KS 방법에 준해 시험하였으며, 매우 우수한 특성을 지녔음을 알았다.

전기부상법을 이용한 토양세정 유출수 중 유수분리에 관한 연구

  • 소정현;최상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99-102
    • /
    • 2002
  • 전기분해에 의한 부상현상을 이용하여 토양세정 후 발생되는 유출수 중의 유수를 분리하기 위한 적정 운전조건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전압에 의한 유수분리 효율을 관찰한 결과, 전기분해 1시간 후 3V의 전압만으로도 88% 정도의 제거율을 나타내었으며 6V 이상의 전압에서는 90% 정도로 거의 비슷한 제거율을 나타내어 대부분의 에멀젼이 분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일조건에서는 전기분해 시간이 경과될 수록 분리효율이 향상되었으며, 전극 간격이 넓어질수록 같은 효율을 얻기 위해 소요되는 전압의 크기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전기분해 시 양극에서는 OH$^{-}$의 방전으로 발생되는 산소에 의해 산화반응이 일어나며, 음극에서는 H$^{+}$가 방전되어 발생되는 수소에 의해 환원반응이 일어나며 미세한 기포가 형성된다. 유분의 부상분리 현상은 유분의 (-)charge와 전기분해에 의해서 발생되는 양이온의 결합으로 인한 중화반응 및 음극에서 발생되는 미세 수소기포로 인만 부상분리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전압 및 전기분해 시간이 증가하고 전극 간격이 좁을수록 음극에서 발생되는 미세기포의 양이 증가되어 부상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극 종류는 구리 > 알루미늄 > 철 > 티타늄 순으로 효율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양극으로 사용된 이러한 금속들의 전기전도도 차이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 PDF

植物油 脫臭溜出物의 利用에 關한 硏究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Deodorized Condensates from Vegetable Oils)

  • 김점식
    • 대한화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97-303
    • /
    • 1974
  • 植物油 脫臭溜出物에 함유되어 있는 sterine과 tocopherol의 效率的인 分離精製方法을 검토하였다. 시료를 가열하여 水層과 油層으로 分離하고 油層을 取하여 메틸에스테르화한 후 脂肪酸을 溜去하였다. 殘油分을 비누화하여 불비누화분만을 抽出, 濃縮한 후 메틸알코올에 녹여, 냉각함으로서 sterine을 분리하였다. 위의 母液을 메틸알코올에 녹인 후 $-20^{\circ}C$ 냉각하여 遊離脂肪酸을 제거하고 이온交換樹脂로 처리하여 高濃度의 tocopherol을 얻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 PDF

외국 지중배전케이블의 특성분석 (Characterization of Foreign Undergrounded Distribution Cables)

  • 고정우;오우정;김종은;서광석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8-431
    • /
    • 1997
  • In order to compare with domestic underground distribution cables, the foreign cable which was manufactured in USA, 1982 and has been serviced in field for 13 years was characterized with several tests. Water trees, voids, and convolutions are not found in insulation. In hot oil test, insulation is very clean and there was no separation of insulation and conductor shield. The results of degree of crosslinking, FTIR, and DSC are also usual. Specially, the distribution of OIT is very good,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domestic cables. The content of impurities is relatively small. This cables was manufactured with good state and no extraordinary degradation is foun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