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l water separation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9초

전기부상법을 이용한 토양세정 유출수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atment of soil Flushing Effluent Using Electrofloatation)

  • 소정현;최상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7권3호
    • /
    • pp.79-84
    • /
    • 2002
  • 전기분해에 의한 부상현상을 이용하여 토양세정 후 발생되는 유출수 중의 유수를 분리하기 위한 적정 운전조건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전압에 의한 유수분리 효율을 관찰한 결과, 전기분해 1시간 후 3V의 전압만으로도 88% 정도의 효율을 나타내었으며 6V 이상의 전압에서는 90% 정도로 거의 비슷한 효율을 나타내어 대부분의 에멀젼이 분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일조건에서는 전기분해 시간이 길수록 분리효율이 향상되었으며, 전극 간격이 넓어질수록 같은 효율을 얻기 위해 소요되는 전압의 크기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전기분해 시 양극에서는 $OH^-$의 방전으로 발생되는 산소에 의해 산화반응이 일어나며, 음극에서는 $H^+$가 방전되어 발생되는 수소에 의해 환원반응이 일어나 미세한 기포가 형성된다. 유분의 부상분리 현상은 유분의 (-)전하와 전기분해에 의해서 발생되는 양이온의 결합으로 인한 중화반응 및 음극에서 발생되는 미세 수소기포로 인한 부상분리가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전압 및 전기분해 시간이 증가하고 전극 간격이 좁을수록 음극에서 발생되는 미세 기포의 양이 증가되어 부상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극 종류는 구리 > 알루미늄 > 철 > 티타늄 순으로 효율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금속들의 전기전도도 차이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Removal study of As (V), Pb (II), and Cd (II) metal ions from aqueous solution by emulsion liquid membrane

  • Dohare, Rajeev K.;Agarwal, Vishal;Choudhary, Naresh K.;Imdad, Sameer;Singh, Kailash;Agarwal, Madhu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3권4호
    • /
    • pp.201-208
    • /
    • 2022
  • Emulsion Liquid Membrane (ELM) is a prominent technique for the separation of heavy metal ions from wastewater due to the fast extraction and is a single-stage operation of stripping-extraction. The selection of the components (Surfactant and Carrier) of ELM is a very significant step for its preparation. In the ELM technique, the primary water- in-oil (W/O) emulsion is emulsified in water to produce water-in-oil-in-water (W/O/W) emulsion. The water in oil emulsion was prepared by mixing the membrane phase and internal phase. To prepare the membrane phase, the extractant D2EHPA (di-2-ethylhexylphosphoric acid) was used as a mobile carrier, Span-80 as a surfactant, and Paraffin as a diluent. Moreover, the internal (receiving) phase was prepared by dissolving sulphuric acid in water. Di-(2- ethylhexyl) phosphoric acid such as surfactant concentration, carrier concentration, sulphuric acid concentration in the receiving (internal) phase, agitation time (emulsion phase and feed phase), the volume ratio of the membrane phase to the receiving phase, the volume ratio of the external feed phase to the primary water-in-oil emulsion and pH of feed were studied on the percentage extraction of metal ions at 20℃. The results show that it is possible to remove 78% for As(V), 98% for Cd(II), and 99% for Pb(II). Emulsion Liquid Membrane (ELM) is a well-known technique for separating heavy metal ions from wastewater due to the fast extraction and is a single-stage operation of stripping-extraction. The selection of ELM components (Surfactant and Carrier) is a very significant step in its preparation. In the ELM technique, the primary water-in-oil (W/O) emulsion is emulsified to produce water-in-oil-in-water (W/O/W) emulsion. The water in the oil emulsion was prepared by mixing the membrane and internal phases. The extractant D2EHPA (di-2-ethylhexylphosphoric acid) was used as a mobile carrier, Span-80 as a surfactant, and Paraffin as a diluent. Moreover, the internal (receiving) phase was prepared by dissolving sulphuric acid in water. Di-(2-ethylhexyl) phosphoric acid such as surfactant concentration, carrier concentration, sulphuric acid concentration in the receiving (internal) phase, agitation time (emulsion phase and feed phase), the volume ratio of the membrane phase to the receiving phase, the volume ratio of the external feed phase to the primary water-in-oil emulsion and pH of feed were studied on the percentage extraction of metal ions at 20℃. The results show that it is possible to remove 78% for As(V), 98% for Cd(II), and 99% for Pb(II).

물/n-데칸 에멀젼 연료의 제조 및 유변학적 안정성 평가 (Production of Water/n-decane Emulsion Fuel and Evaluation of Rheological Stability)

  • 김혜민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8-1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n-데칸과 물을 혼합한 에멀젼 연료를 제조하고, 연료의 유변학적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에멀젼 연료는 n-데칸과 순수, 유화제로 Span 80을 혼합하여 제조되었다. 연료 내부 물 부피비 및 연료온도 증가는 연료의 상분리를 촉진시키는 요소로 확인되었다. 연료의 물 부피비, 온도 및 제조시간 경과에 따른 유변학적 변화를 관찰하였을 때, 물 부피비가 증가할수록 연료의 비뉴턴 유체거동이 확인되었으며, 온도가 높아질수록 연료 내부 물액적 응집으로 인한 점도감소가 관찰되었다. 낮은 물 부피비에서는 연료 제조시간에 따른 점도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혼합비가 3:7 인 경우 3시간 이후부터 점도의 점진적인 감소가 관찰되었다.

유수분리기용 정전용량형 센서의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Enhancement in the Performance of Capacitive Sensor for Oily Water Separator)

  • 제우성;김경우;권휴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835-1841
    • /
    • 2006
  • 해양환경 규제 MEPC의 규제 강화로 인하여 더욱 정밀하고, 신뢰성을 확보한 빌지분리 센서 시스템이 필요하다. 빌지 분류기를 설계 제작하기 위해서는 기름과 물을 구별하는 정밀한 유수분리 레벨센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정전용량형 레벨센서의 특성 파악을 위해 3차원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레벨센서의 설계시 주요한 설계인자를 추출하였다. 동작회로를 Digital 회로로 구성함으로써, 정전용량형 센서의 원천적인 기생커패시턴스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실험장치를 구성한 후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보면 노이즈에는 강인해졌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추출한 정전용량형 레벨센서의 설계인자를 이용하여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향후에 진행 될 필요성이 있다.

TPH와 6가 크롬으로 오염된 지하수 처리를 위한 실내 실험 (Treatability Study on the Remediation Groundwater Contaminated by TPH Cr6+ : Lab-Scale Experiment)

  • 이규범;장윤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28권3호
    • /
    • pp.332-345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TPH 또는 $Cr^{6+}$이 함유된 오염 지하수의 처리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있다. 오일과 물의 분리, 용존 공기 부유 (DAF), 응고 및 침전, 모래와 활성탄으로 각각 여과를 위한 실험실 규모 테스트가 수행되었다. 총 40 분간의 분리 시간 동안 오일과 물의 분리 시험을 2 회 실시한 결과 TPH 제거율은 90.2 %였다. 높은 농도의 TPH 샘플에 대한 DAF 테스트의 경우, TPH 제거율은 미세 기포 크기의 변화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낮은 TPH 샘플에 대한 테스트는 미세 기포가 작을수록 TPH 제거율이 증가함을 보여준다. DAF 테스트를 위해 응집제를 샘플에 첨가했을 때 TPH 제거율은 12.3 % 증가했다. DAF에 의한 SS 제거율은 $16{\sim}40{\mu}m$에서 97.9 %였으며 미세 기포의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했다. 지하수에서 $Cr^{6+}$의 제거를 평가하기 위해 응집 및 침전 시험을 수행했다. $FeSO_4$ 투여량을 증가하였을때 응집 및 침전 공정에서 $Cr^{6+}$ 제거율이 증가하였다. 필터 매체에서 활성탄의 비율이 높을수록 여과공정에서 TPH 제거율이 증가한다. 여과에 의한 SS 제거율은 DAF 공정 시험 결과와 비슷한 96.7 %였다. 여과 과정은 TPH와 SS 농도가 감소하였다. 모래의 크기가 $425{\sim}850{\mu}m$이고 활성탄과 모래의 비율이 50:50일때 최적의 처리효율을 나타냈다.

2축 회전판형 UF 모듈의 Oil Emulsion 분리 특성 연구 (Study of Two-shaft Rotary Disc UF Module for the Separation of Oil Emulsion)

  • 김제우;노수홍
    • 멤브레인
    • /
    • 제6권4호
    • /
    • pp.219-226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2축 회전판형 한외여과막 모듈의 순수투과율 예측모델과 1% 절삭유의 분리특성 및 투과율 예측모델을 유도하였다. 2축 RDM은 한외여과막(UOP사, 직경 0.22m)을 씌운 같은 크기의 회전판막 20개를 장착한 후 막간격과 각속도($\omega$)에 따른 분리특성을 조사하였다. 2축 RDM의 순수 투과율은 각속도가 41.89rad/s에서 9.95% 감소하여서 1축 RDM의 감소율 3.01%보다 높았다. 2축 RDM은 회전판막이 겹친 부분에서 난류의 발생으로 미끄럼 흐름에 의한 압력 강하는 $(2.5{\omega}r)^{2}$에 비례하였다. 회전판막 간격이 3mm인 $J/J_{o}$(절삭유의 투과율/순수 투과율)는 각속도가 31.42rad/s에서 2.62rad/s로 감소할 때 0.64에서 0.31로 감소하였고 간격이 7mm 일 때의 $J/J_{o}$는 0.64에서 0.27의 감소하여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1축 RDM에 사용된 투과율 예측모델식을 변형하여 유도된 2축 RDM의 모델식은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 PDF

Shearing Conditions on the Interface of a Spherical Water Drop Sinking in Silicone Oil

  • Uemura, Tomomasa;Yamauchi, Makoto
    •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12호
    • /
    • pp.1845-1852
    • /
    • 2001
  • This paper deals with the experiment to obtain quantitative information about conditions of the interface between a water drop and surrounding oil. Velocity distributions in very close region of the interface are measured by introducing a new illumination technique and a telecentric lens. It enables precise measurements of velocity distributions in the close region to the interface. Although the measured velocity distributions exhibit strong influence from the solid wall of an experimental tube, the coincidence of inner and outside velocities on the interface is clearly confirmed for the clean interface. The shearing stresses on the interface, which are proportional to the velocity gradient normal to the interface, clearly show conditions of contaminated interface, which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From front stagnation point to somewhere near a separation point, the distribution of shearing stresses is well coincide with that of the Hadamard's analytical solution, while the distribution on the latter part of the interface sows quite different feature, which is supposed to be strongly influenced by contamination of the surface.

  • PDF

산업폐수중 유화액막에 의한 크롬(VI)의 분리 (Separation of Chromium(VI) Ion in Industrial Waste Water throunh Liquid Surfactant Membrane)

  • 초민승;강안수;우인성;이영순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5-24
    • /
    • 1989
  • The transport of Chromium(Vl) ion from waste water throughl the liquid surfactant membrane containing tri-n-octylamine as a carrier, was analyzed by a slab model and was investigated through experiments. For the experiment of membrane stability, concentrations of surfactant and liquid parafnn oil were analyzed. Extraction eu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observe the effect of system variables, such as stirring speed, concentration of carrier, and NaOH in internal aqueous phase, and concentrations of H$_2$SO$_4$and initial chromium(VI) ion in external aqueous phase at $25^{\circ}C$. It is concluded that the most stable formation of liquid membrane emulsion was obtained when surfactant concentration is above 3 wt. % and liquid parafnn oil concentration is 50 vol. %. The transport of chromium(VI) ion in bacth extractor increased with increasing carrier concentration, the volume ratio of emulsion to external aqueous phases, and initial concentration of chromium(VI) ion under the optimum stirring speed of chromium(VI) ion below 2 ppm. The theoretical equation on the transport of chromium(Vl) ion agreed well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 PDF

전기부상을 이용한 토양세정 유출수 처리에 관한 연구 : 전해질 및 pH의 영향 (A Study on the Treatment of Soil Flushing Effluent Using Electrofloatation : Effects of Electrolyte and pH)

  • 소정현;최상일;조장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8권3호
    • /
    • pp.56-60
    • /
    • 2003
  • 전기분해에 의한 부상현상을 이용하여 유류로 오염된 토양 세정 후 발생되는 유출수 중 유분 등을 분리하기 위한 적정 운전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전기분해 반응조(200${\times}$10${\times}$15cm)를 이용하여 혼합계면활성제($POE_5$ : $POE_{14} $, 1:1) 1%용액에 디젤을 1,000 mg/L 농도로 용해시켜 실험하였다. 양극에는 티타늄 코팅전극, 음극으로는 스테인레스 스틸전극을 이용하였다. 반응시간은 62분(반응 :60분, 부상시간 :2분)이었으며 전압은 6V였다. 전해질 첨가에 의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 전해질을 첨가하였을 경우 첨가하지 않았을 때보다 40% 정도의 효율이 증가하였다. 적정 전해질, 주입농도 및 반응시간을 알아보기 위하여 1N NaCl과 NaOH의 농도를 변화시켜 가면서 실험하였다. NaCl의 경우 더 좋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전해질의 농도는 0.2-1.0%의 농도범위에서 NaCl와 NaOH 모두 농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효율이 증가하였다. 두 전해질 모두 0.4-1.0% 농도 범위에서 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은 20분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