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l water separation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33초

Water/Oil 분리를 위한 정밀여과용 $TiO_2$ 세라믹막의 제조 (Preparation of $TiO_2$ Microfiltration Membranes for Water/Oil Separation)

  • 한상욱;최세영;현상훈;조철구;하호관;강환규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5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67-67
    • /
    • 1995
  • Metal-working lubricants, metal-finishing bath wastes, mechanical oil-water emlsion 등과 같은 공업 폐수들은 보통 0.1 $\mu$m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oil-in-water 에멀젼이 약 2 wt% 정도 포함되어 있어, oil의 함량이 30 wt% 이상이 되도록 농축시킨다면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정밀여과막이나 한외여과막으로 oil을 분리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압출성형법으로 제조한 튜브형 다공성 $\alpha-Al_2O_3$ 담체(평균 기공 크기 = 0.7 $\mu$m, 길이:200,600mm, 직경:8mm, 두께:0.8mm) 위에 슬립 캐스팅법을 이용하여 TiO$_2$ 막을 코팅한 후 925$\circ$C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정밀여과용 세라믹 막을 제조하였다.

  • PDF

Experimental determination of liquid entry pressure (LEP) in vacuum membrane distillation for oily wastewaters

  • Racz, Gabor;Kerker, Steffen;Schmitz, Oliver;Schnabel, Benjamin;Kovacs, Zoltan;Vatai, Gyula;Ebrahimi, Mehrdad;Czermak, Peter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6권3호
    • /
    • pp.237-249
    • /
    • 2015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a laboratory scale vacuum membrane distillation system to produce pure water from model oil in water emulsion. Experimental determination of liquid entry pressure (LEP) of a commercial Durapore$^{TM}$ GVPH flat sheet membrane using model emulsions in various oil concentrations has been carried out. Two different methods of liquid entry pressure determination - a frequently used, so-called static and a novel dynamic method - have been investigated. In case of static method, LEP value was found to be 2.3 bar. No significant effect of oil content on LEP was detected up to 3200 ppm. In contrast, LEP values determined with dynamic method showed strong dependence on the oil concentration of the feed and decreased from 2.0 bar to a spontaneous wetting at 0.2 bar in the range 0-250 ppm, respectively. Vacuum membrane distillation tests were also performed. The separation performance is evaluated in terms of flux behavior, total organic carbon removal and droplet size distribution of the feed and final retentate. No significant effect of oil content on the flux was found ($5.05{\pm}0.31kgm^{-2}h^{-1}$) up to 250 ppm, where a spontaneous wetting occurred. High separation performance was achieved along with the increasing oil concentration between 93.4-97.0%.

해상유출유의 분산모델링에 대한 응집효과 (The Effect of Coagulation for Dispersion Modelling of Spilled Oil)

  • 설동관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4-52
    • /
    • 2000
  • The dispersion of surface oil is generally described as a break-up of oil slick into small oil droplets. These small droplets are subjected to turbulence and vertical circulation so that it can be entrained into subsurface. Sometimes they tend to be submerged into sea bottom permanently. The diameter of oil droplets is a critical parameter to determine their behavioral characteristics under water surface. At the same time the variations of droplet stability depends on the weathering of it. That is why the weathered oil has different mechanism from the unweathered one. The variability of physical properties of oil including viscosity and density contribute to interfere with effective separation of oil and emulsion droplets in water. Also in the presence of interactions among the droplets there are coalescing or coagulating effects on the dispersion process of droplets.

  • PDF

디젤자동차의 저공해형 연료공급장치 개발 I (유화연료의 특성 및 분무거동) (Development of the low Emission type Fuel Feeding System for Diesel Automobile I (Characteristics and Spray of Emulsified Fuel))

  • 조성철;윤면근;류정인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8-16
    • /
    • 1997
  • Ta investigate characteristics and spray of emulsified fuet we are mixed water with diesel oil using ultrasonic energy fuel feeding system. Separation ratio of emulsified fuel was shown good condition that of water content is small and longer ultrasonic energy adding time. Viscosity of emulsified fuel increased 79% with addition to water content and surface tension increased 1.6% in comparision to pure diesel oil. The SMD of emulsified fuel adding ultrasonic energy decreased with 3% in comparision to pure diesel oil. With increasing 5, 10% water content the SMD decreased 15.6, 20.1% in comparision to pure diesel oil. The mind-explosion was investigated with 4step.

  • PDF

접촉분해경유로부터 산화황화합물의 분리에 관한 추출용매의 영향 (Effect of Extraction Solvent on the Separation of Sulfur Components in Light Cycle Oil)

  • 박수진;정광은;채호정;김철웅;정순용;구기갑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5호
    • /
    • pp.965-970
    • /
    • 2008
  • 접촉분해경유의 산화반응후 포함된 산화황화합물을 분리하기위해 다양한 용매를 사용하여 용매추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용매로는 극성을 가진 물, N-메틸피놀리논, 에틸아세테이트, 디메틸포름아마이드, 이소프로필알코올,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등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접촉분해경유와 용매와의 층분리는 적절한 양의 물을 첨가한 경우에 이루어졌으며, 물과 N-메틸피놀리논을 혼합한 혼합용매가 접촉분해경유로부터 산화황화합물의 선택적인 분리에 가장 적절하였다. 또한 접촉분해경유로부터 황화합물을 99.5% 이상으로 제거하기 위해선, 4단 정도의 평형추출이 필요하였다.

Pseudomonas aeruginosa KS47에 의한 절삭유의 생물학적 분해 (Biodegradation of Cutting Oil by Pseudomonas aeruginosa KS47)

  • 김란희;이상섭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2-28
    • /
    • 2008
  • 본 실험은 생분해가 어려운 절삭유를 단일 균주에 의해 생물학적 처리를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절삭유, 절삭폐유로부터 호기 균주 81개를 분리하여 이중 절삭유 분해능이 가장 높은 균주로, 48시간 내에 90.4%를 제거한(초기농도 699.1 mg/L) KS47을 선별하였다. KS47은 형태학적, 생리 화학적, 16S rDNA 염기서열, 그리고 지방산 분석을 통해 Pseudomonas aeruginosa로 동정되었다. P. aeruginosa KS47은 절삭유를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성장 할 수 있었으며, 절삭유 분해시, 최적 분해 조건은 1.5 g/L(wet weight), pH 7.0, $30^{\circ}C$이었다. 최적 조건 하에서 절삭유의 제거능을 본 결과, 1,060 mg/L의 절삭유를 12시간 내에 83.7% 제거함을 확인하였다.

평행판식 유수분리기에서 분리판실의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ow Characteristics for the Plate Chamber in Type of Oily Parallel Plate Water Separator)

  • 김준효;한원희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4-72
    • /
    • 2001
  • According to the regulation of IMO, oil discharge from ships is allowed under 15ppm only and an oil filtering equipment is essential. However, for large ships using heavy fuel oil of over S.G 0.98 and viscosity 380cSt and system oil, it has been in difficulty to process with existing filtering type of oily water separator. A parallel plate type oily water separator which is one of gravity type separators can be used as an assistant equipment for the oil filtering system to meet the present IMO standard of 15 ppm, because it is an efficient method in dealing with a large amount of rich oil with high specific gravity. This work is focused on the fundamental investig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plate type oily water separator by visualization method and PIV(Particle Image Velocimetry) measurement to acquire multi-point velocity data simultaneousl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space of the plates acts a significant role in separating process and it was found that an important point to minimize a vortex flow is to flow a large amount of fluid in space of the plates in order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separation.

  • PDF

오일 속 미세입자 및 수분분리를 위한 청정기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purifying system to separate minute solid particles and water in oil)

  • 김용근;최윤환;문명준;이연원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1권1호
    • /
    • pp.44-4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선박 엔진 오일을 여과하는 검증된 기술인 원심정화기(Centrifugal Filter)를 이용하여 수분배출 구조를 설계하고 적용함으로써, 원심 청정기 시스템(Centrifugal Purifier System)을 개발하고자 한다. 선박엔진에서 윤활 및 냉각을 담당하는 오일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미세입자 슬러지가 증가하고 때로는 수분의 유입에 따라 원래의 기능을 담당할 수 없게 되어 엔진내부에 치명적인 기계적 손상을 초래한다. 따라서 수분 제거 원리 고안 및 검증, 적절한 배출 구조 설계를 연구하였으며, 개발된 제품은 공인시험을 통해 유효함을 검증하였다. 이는 실제 선박에서 절실히 필요한 엔진 오일의 수명 연장 및 폐오일 감소, 기계 부품 손상 저감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자성 분리를 이용한 해상 유류오염제어에 사용되는 유화제를 제거하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연구 (Innovative Technology for Removal of Dispersants used in Oil Spill Remediation Using the Magnetic Separation)

  • 천찬란;박재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79-688
    • /
    • 2000
  • 최근 해상유류오염사고시 사용되는 유화제는 해안으로 이동하여 또 다른 수질오염의 원인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자성을 띠고 있는 흡착제를 이용하여 해수 속에 잔류하는 유화제를 제거하는 기술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자성을 띠는 흡착제로서 마그네타이트와 마그헤마이트를 이용하였고, 대표적인 유화제 성분으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SDDBS (Sodium dodecylbenzene sulfonic acid)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Triton X-100 (t-octylphenoxypoly-ethoxyethanol)을 사용하였다. 실험은 두 흡착제의 유화제에 대한 흡착 평형시간과 흡착능에 대한 회분식 실험과 모의 실제 상황에서 흡착제가 영구자석이나 전자석에 의해 수거되는 양상을 알아보기 위한 수조실험으로 나누어 이루어졌다. 마그헤마이트는 계면활성제의 종류와 사용된 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제거효율이 일정하게 나타나는데 비해 마그네타이트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대해 선택적으로 고효율을 보이고 있고, 이온이 존재하는 해수보다는 증류수의 경우가 높은 효율을 보이고 있다. 미그네타이트의 흡착메커니즘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고, 마그헤마이트의 경우는 정전기적 인력과 함께 흡착능을 향상시키는 구조적 특정과 표면상태의 특성으로 설명되어진다. 수조실험에서는 흡착이 이루어진 후 자석에 의한 회수는 100%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두 흡착제와 사석에 의한 유화제 제거방법이 실제 해상에서 적용되었을 때 유화제를 짧은 시간 내에 고효율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