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l fence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7초

PIV 계측과 CFD 해석을 통한 오일펜스 만곡부 단면에서의 유동장 특성 (Characteristics of Flow Field at Curved Section of Oil Fence using PIV Measurements and CFD Simulations)

  • 김태호;장덕종;나선철;배재현;김대안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9-37
    • /
    • 2011
  • 유속의 변화에 따른 오일펜스 만곡부 후면의 속도장과 압력장, 와도 및 난류 강도를 계측한 PIV 실험의 결과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유동 경계역의 후면부에서의 흐름 방향이 전면부의 흐름 방향에 가까워지는 현상이 나타났고, 압력 분포의 양상이 달라졌으며 난류도 더욱 불규칙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PIV 실험과 동일 조건으로 수행한 CFD 해석 결과, 후류의 유동 패턴이 0.3m/s이하의 저속인 경우는 PIV 실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유속이 0.4m/s일 때는 오일펜스 자체의 유연성으로 인해 다소 차이가 나타났고, 오일펜스 하단의 압력차로 인한 불규칙한 난류가 수면까지 영향을 주었다.

이중유벽 사이에 가두어진 기름층의 거동특성 (On Oil-Water Interface of Oil Layer Contained in Tandem Oil Fences)

  • 도덕희;현범수;최성환;홍성대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5-34
    • /
    • 2000
  • 이중유벽 사이에 가두어진 기름층과 전방 유벽의 끝에서 발생하는 보오텍스 거동간의 관계를 보기 위하여 파노라마 PIV 기법을 사용하였다. 물-기름 자유경계면 근처의 순간 및 시간평균 경계층 유속분포를 계측하여 경계면 상의 전단응력 도출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기법을 사용하면 자유경계면의 거동이 작거나 규칙적인 경우 경계면상 전단층내 상세 유동구조를 파악하기 충분한 정도의 해상도를 가진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 PDF

해안기름유출사고에 의한 기름확산 예측 방법 연구 (Study on Prediction for Prompt Countermeasures to Oil Spread in Ocean)

  • 김영복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8-112
    • /
    • 2011
  • When oil spills occur in the ocean because of a ship collision or grounding, the oil in the sea will spread to the coastline. To effectively and promptly prevent such an oil spread, the prediction of the direction and speed of the spreading oil must be made. By applying the coastal wave diffusion theory with a consideration of the effects of wind and current, the oil spreading direction and speed can be predicted promptly so that the National Disaster Prevention System can effectively and promptly tak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attack and contamination of the coastline by such oil bands.

이중 유벽 사이의 기름과 물의 계면의 거동 (Behavior of Oil-Water Interface between Tandem Fences)

  • 강관형;이정묵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0-77
    • /
    • 1999
  • 와류에 의한 이중 유벽 사이에 가두어진 기름층과 물의 계면의 교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와류는 전부 유벽의 끝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유동장의 해석을 위하여 포텐셜 유동 가정하에 계면을 와 특이점 분포면(vortex sheet)으로 나타내었다. 계면의 형상은 계면에 유한개의 가상의 입자를 설정한 후 그 위치를 추적하여 추하였다. 입자의 속도는 와 분포면에 의해서 유발되는 속도를 Biot-Savart 적분을 통해 구하고 여기에 이동하는 점와류(point vortex)에서 유발되는 속도를 합하여 구하였다. 시간에 대한 와 분포면상의 와도의 변화는 계면에서의 와도 방정식을 해석하여 구하였다. 여러 조건하에서 계산된 결과를 바탕으로 상당한 파고의 계면파가 전부 유벽 하단에서 발생되는 와류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PDF

유벽에 갇힌 기름층의 조류중 손실에 관한 연구 (Containment Failures of Oil Restricted by Vertical Plates in Current)

  • 송무석;현범수;서정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40-51
    • /
    • 1998
  • 유벽에 의하여 가두어진 오일의 조류중 거동을 회류수조에서 2차원적인 실험설비를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유벽을 적정 깊이의 수직판으로 대치하고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오일과 물과의 경계면 변형을 2 종류의 오일 (콩기름과 경유)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적용된 조건으로 조류의 속도는 10 cm/s - 35 cm/s, 유벽의 깊이는 4 cm 와 8 cm, 그리고 유량은 2 liter - 8 liter 의 변화를 주었다. 다양한 경계면의 거동과 조건에 따른 누유의 손실 방식을 차원해석을 통하여 정리하고 유적누유와 연속누유의 발생 메카니즘을 설명하였다.

  • PDF

절삭가공(切削加工)에 사용(使用)되는 절삭유(切削油)의 농도최적화(濃度最適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Optimiz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Cutting Oil to be used for Cutting)

  • 김규태;김원일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95-102
    • /
    • 2013
  • It is indispensable to modern society metal processing since the industrialized rapidly, but it is a metalworking cutting fluid immediately. In addition, this means selecting a emulsion on the basis of quality criteria processing method, the material of the material, cutting depth, cutting speed, Djourou fence Liang, and surface roughness, cutting oil, the shape of the device based on the emulsion, I will be the structure of the tank, filtration equipment also changes. In particular, acting bacteria is now breeding in response to the passage of time due to metal ion degradation due to heat generated hydraulic fluid leakage, humidity tung, during processing, seep from processing material at the time of processing the water-soluble cutting oil for generating the malodor by dropping significantly the performance of the cutting oil to corruption from, sometimes by introducing various additives to suppress spoilage in advance. In this study, we expect the effect of the cost reduction in the extension of fluid replacement cycle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management apparatus and deep understanding in the management of cutting fluid, the working environment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interest of workers in the production site more than anything I try to become useful for the improvement.

사구울타리 설치 후 해빈과 전사구의 지형 변화 - 신두리 해안사구를 사례로 -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Beach and Foredune by Sand Fences - A Case of Shindu Coastal Dune Area -)

  • 서종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5-93
    • /
    • 2010
  • 2007년 12월에 발생했던 태안 해안 기름유출 사고 직후, 신두 해안사구 전면에 기름 성분이 사구지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물형 사구울타리가 설치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당시에 설치되었던 사구울타리로 인해 나타나는 해빈과 전사구의 지형 변화 특성을 시·공간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사구울타리에서의 지형 변화를 계측한 결과 2007년 12월을 기준으로 할 때 해안 전 지역에서 거의 1m에 달하는 모래가 퇴적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별로는 동계(가을철-봄철)에 퇴적이 우세하게 일어났고, 하계(봄철-가을철)에는 지형변화가 크게 일어나지 않거나 소량의 변화가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지점별로는 전 지역에서 퇴적이 일어났으나 사구지대 북단이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사구울타리가 설치된 후 해빈과 전사구 일대에 다량의 모래가 퇴적되어 교란되었던 지형단면이 자연스럽게 복원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리·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Cyanobacteria와 식물 플랑크톤의 제어 (Control of Cyanobacteria and Phytoplankton Using Physico-chemical Methods)

  • 정원화;전은형;안태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75-84
    • /
    • 2004
  • Loess, PAC, MACF and plants were applied to the control of the phytoplankton bloom in laboratory and in field, In field experiment using oil fence, 5ppm concentration of coagulant(PAC) was observed to be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cyanobacterial bloom, resulting in 90% removal of cyanobacteria and phytoplankton from the water column, hi case of Synedra sp., however, only 50% of biomass decreased with the same PAC concentration. MACF(micro-air bubble coagulation and floating), a kind of physicochemical method, was applied to the column of the Kyongan stream and resulted in over 80% chlorophyll a and 73.5% TP removal, Chlorophyll a and total phosphorus were effectively removed from water body when 2.0 g/L of loess with the particle radius of 125 ${\mu}m$ was inputted. In case of experiments involving plants, big cone pine, gingko, and pine needle were observed to be effective in restraining phytoplankton bloom at 0.5g/200ml level. During a field test done at Kyungan stream, where Microcystis heavily occurred, Pine needle and big cone pine were observed to be effective on suppressing algal growth.

용접·절단 작업시 화재위험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Risk at Welding·Cutting Process)

  • 이성룡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60-6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접 절단기의 작업시 화재위험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에는 인버터 AC/DC TIG 용접기와 인버터 에어프리즈마 절단기가 사용되었다. 용접 절단 작업시 비산되는 불티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작업높이와 입력전류의 변화에 따라 비산된 불티의 크기 및 비산범위를 측정하였다. 또한, 용접 절단기 화재원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가연물 근접방치에 의한 화재위험성을 평가하였다. 가연물로는 건초, 방진막, 우레탄폼, 비닐, 종이, 유류가 사용되었다. 용접 절단 작업시 불티의 온도가 최대 $450^{\circ}C$까지 상승하였다. 2.5 m 높이에서 절단 작업시 불티가 최대 4.7 m까지 비산되었다. 용접 절단 작업시 주위에 가연물이 존재할 경우 비산된 불티에 의해 가연물에 착화되어 화재로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진안 평지리 이팝나무군(천연기념물 제214호)의 생육진단 및 관리방안 (A Study on the Growth Diagnosis and Management Prescription for Population of Retusa Fringe Trees in Pyeongji-ri, Jinan(Natural Monument No. 214))

  • 노재현;오현경;한상엽;최영현;손희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15-127
    • /
    • 2018
  • 천연기념물 제214호 진안 평지리 이팝나무군의 고사(枯死) 및 쇠약(衰弱) 요인의 명확한 진단(診斷)과 처방(處方)을 통한 천연기념물로서의 가치 존속(存續) 방안을 강구하고자 시도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68년 13그루의 천연기념물 지정 이후, 1973년을 시작으로 근년까지 계속적으로 고사가 진행되어 현재는 3주만 생존하고 있다. 특히 2010년 이후 마령초등학교 담장 후퇴 등 정비과정에서 복토된 토양의 일부 제거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고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된다. 둘째, 지정목 중 1 3번 생존목 또한 고사된 가지가 많고, 잎이 왜소하며, 엽량이 적었다. 1번목은 수세가 '극히 불량'하고 다량의 가지가 이미 고사하였으며, 금년에는 단지 2개 가지에서만 개화가 이루어졌으며 엽량 또한 현저히 적은 상태이다. 2번목 또한 '불량'상태로 잎이 작고 엽밀도도 낮으며 수형의 변형이 이루어지는 등 수세가 쇠약한 상태이다. 현존하는 가장 큰 1번목은 논토양으로 추정되는 점질토가 복토되어 있어 우려를 더하고 있다. 셋째, 평지리 이팝나무군의 토성 분석결과, '미사질양토[微砂質壤土, Silt loam(SiL)]'로 밝혀짐에 따라 미사(Silt)의 성분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1번목 북측의 토양산도는 pH 6.6으로 다른 부위의 흙과는 편차가 컸는데 이는 원지반 토양이 아닌 외부에서 반입된 토양으로 복토되었음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유기물함량은 적정범위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보호관리를 위한 시비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진 결과가 반영된 것이라고 판단된다. 넷째, 진안 평지리 이팝나무군의 고사 및 생육 불량의 근본적 원인으로는 복토(覆土)로 인한 심각한 생리저하의 만성적 증후군으로 판단된다. 이는 신규로 식재된 후계목 또한 일부 고사된 것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다섯째, 1차적으로 기존 고사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복토 부분에 대한 점진적 제거가 시급하다. 무엇보다도 근계부에 복토된 점질토양의 제거를 건의한다. 복토부를 제거한 후 굵은 모래로 치환하고 뿌리의 호흡 개선을 위해 유공관을 설치한다. 그리고 고사한 4번 고사목과 5 6번의 고사흔적인 밑둥은 제근하고, 하층식생은 예초한다. 생존목은 상부 고사지를 제거, 수피 이탈부는 외과수술을 시행하는 한편 생장점 아래에서 전정하여 맹아의 발생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지하부 뿌리를 확인하여 부패근 절단 및 토양호흡 개선방안을 마련한다. 근계 전반에 대한 추적 굴취 등으로 썩은 뿌리부를 단근하여 새 뿌리의 발생을 유도한다. 일곱째, 이후 잡초 발생과 답압 억제 그리고 토양 보습효과 유지를 위한 멀칭을 시도한다. 또한 지속적 영양공급을 위한 무기양료 엽면시비 및 영양제 나무주사, 무기양료의 토양관주를 고려한다. 향후 모니터링과 예찰방안을 마련하여 계속적으로 변화상을 체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