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dium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산(韓國産) 미기록(未記錄) 흰가루병균(病菌) Oidium oxalidis에 대하여 (Oidium oxalidis, a Powdery Mildew Fungus New to Korea)

  • 신현동;라용준
    • 한국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3-34
    • /
    • 1983
  • 흰가루병(病)에 감염(感染)된 괭이밥(Oxalis corniculata L.)을 1982년(年) 6월(月) 수원(水原)에서 다수(多數) 채집(採集)하였다. 병원균(病原菌)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을 검경(檢鏡)한 결과(結果), 한국산(韓國産) 미기록(未記錄) 흰가루병균(病菌)인 Oidium oxalidis McAlp.로 동정(同定)되었다. 이병식물(罹病植物)은 10월말경(月末頃) 거의 고사(枯死)하였으며, 이 병원균(病原菌)의 완전세대(完全世代)는 관찰(觀察)되지 않았다.

  • PDF

Oidium sp.에 의한 스타티스 흰가루병 발생 (Occurrence of Powdery Mildew on Statice (Limonium shinuatum) Caused by Oidium sp. in Korea)

  • 권진혁;강수웅;김정수;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5-78
    • /
    • 2001
  • 2000년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창원화훼시험장 스타티스포장에서 흰가루병이 발생하여 병원균의 형태, 병원성, 분류학적인 특성을 조사를 하였다. 병징은 이병엽 앞뒷면과 잎자루, 줄기에 전형적인 흰가루 모양의 균총이 많이 형성되었고, 병징이 심하게 진전될 경우 잎에 황화되고 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되며 결국 말라죽는다. 병반부에서 분생포자, 분생자병이 형성되었다. 분생포자는 분생자병의 끝에 형성되고 단상으로 원통형 또는 장타원형의 무색, 단포이다. 크기는 25.3{\sim}49.4{\times}12.3{\sim}17.2{\mu}m$이며, Fibrosin body는 없었다. 부착기는 손바닥 또는 가느다란 실모양이었다. 분생자병은 $2{\sim}4$개의 격막으로 되어있고 길이는 $65.7{\sim}124.8{\mu}m$이었다. Foot cell은 원통형이었다. 포장에서나 접종시 나타난 이병엽 병반부에서 자낭각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본 병원균은 Oidium sp.에 의한 스타티스 흰가루병으로 동정되었으므로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새로운 병으로 보고한다.

  • PDF

Oidium sp.에 의한 잠두 흰가루병 발생 (Powdery Mildew on Broad Bean (Vicia faba) Caused by Oidium sp. in Korea)

  • 권진혁;강수웅;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7권2호
    • /
    • pp.120-122
    • /
    • 2001
  • 2001년 5월 하순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잠두 재배포장에서 흰가루병이 발생하여 병징과 병원균의 형태등을 조사하였다. 병징은 이병및 앞 뒷면과 잎자루에 전형적인 흰가루 모양의 균총이 많이 형성되었고, 잎이 황화되고 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되며 결국 말라죽는다. 분생포자는 분생자병의 끝에 형성되고 단상으로 원통형의 무색, 단포이다. 크기는 29~45$\times$13~23 um(평균. 36~18 um)이며, Fibrosin body는 없었다 분생자병은 3~4개의 격막으로 되어있고, 크기는 28~100$\times$6~l0 um(평균. 70~8 um)이었으며, Foot cell의 크기는 28~53$\times$7~10 um(평균. 39$\times$8 um)이었다. 부착기는 가느다란 실모양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Oidium sp.에 의한 잠두 횐가루병으로 동정되었기에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새로운 병으로 보고한다.

  • PDF

Oidium sp.에 의한 풀협죽도 흰가루병 발생 (Powdery Mildew on Phlox Caused by Oidium sp. in Korea)

  • 권진혁;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0-52
    • /
    • 2003
  • 2002년 경남 하동군 청암면 풀협죽도에서 흰가루병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병징은 잎과 줄기등 식물체 전부분에 발생을 하며 병든 잎에 전형적인 흰가루 모양의 균총이 많이 형성하고, 심하게 진전될 경우 잎이 황화되고 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말라죽었다. 병반부에 분생포자, 분생자병이 많이 형성되었다. 분생포자는 분생자병의 끝에 단상으로 형성되고 원통형의 무색, 단포였다. 크기는 $24{\sim}39{\times}12{\sim}23{\mu}m$이며, fibrosin body는 없었다. 분생자병은 $2{\sim}4$개의 격막으로 되어있고 크기는 $112{\sim}225{\mu}m$었다. 부착기는 가느다란 실모양이었다. 병반부에서 자낭각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본 병원균은 Oidium sp.에 의한 풀협죽도 흰가루병으로 동정되었으며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새로운 병으로 보고한다.

강원도(江原道)에서 채집(採集)한 흰가루병균(病菌)과 기주식물(寄主植物) (Powdery Mildew Fungi and Their Host Plants from Kangwon Province)

  • 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9-246
    • /
    • 1994
  • 1989년부터 1993년까지 5년간 강원도지방에서 횐가루병균에 감염된 246종의 식물을 채집하였는데, 이는 강원도에서 알려진 피자식물 1,475종의 약 16.7%에 해당한다. 흰가루병균은 12속(屬) 83종(種)이 동정(同定)되었는데, Arthrocladiella 속이 1종, Blumeria 속이 1종, Cystotheca 속이 1종, Erysiphe 속이 25종, Leveillula 속이 1종, Microsphaera 속이 17종, Phyllactinia 속이 7종, Podosphaera 속이 3종, Sawadaia 속이 3종, Sphaerotheca 속이 9종, Uncinula 속이 10종, Uncinuliella 속이 2종 등 12속 80종이었으며, 무성세대명만 확인된 Oidium 속은 3종이었다. 각 기주식물은 대개 1종의 흰가루병균에 감염당하였으나, 물오리나무에서는 3종의 흰가루병균이 확인되었고, 갈참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뽕나무, 찔레꽃, 방가지똥 및 이고들빼기에서는 2종의 흰가루병균이 확인되었다. 한편 무궁화에서 채집된 흰가루병균은 지금까지 무궁화속 식물에서 알려진 5종의 흰가루병균과 다른 형태학적 특징을 나타내어 별도로 기재하였으며, 국화과(科)에 속하는 쇠서나물, 미역취, 큰방가지똥, 방가지똥, 그리고 이고들빼기에서 채집된 흰가루병균은 이들 식물에서 기보고된 몇몇 Oidium spp.와 비교하여 형태학적 특징을 검토하였다. 이 보고로 우리나라의 흰가루병 기주식물은 총 333종으로 늘어났으며, 총 피자식물의 약 11.4%에 해당된다.

  • PDF

Inhibitive Effect of Fuyuziphine isolated from Plant (Pittapapra) (Fumaria indica) on Spore Germination of Some Fungi

  • Pandey, M. B.;Singh, Ashok K.;Singh, Anil K.;Singh, U. P.
    • Mycobiology
    • /
    • 제35권3호
    • /
    • pp.157-158
    • /
    • 2007
  • The alkaloid fuyuziphine was isolated from the whole plant of Fumaria indica. It had inhibitive effect against spore germination of some plant pathogenic fungi (Collectotrichum sp., C. gloeosporioides, C. falcatum, Curvularia maculans, C. lunata, Erysiphe cichoracearum, Helminthosporium pennisetti, Oidium erysiphoides, Ustilago cynodontis, Alternaria chieranthi, A. mel-ongenae, A. brassicicola and A. solam). Curvularia lunata, Oidium erysiphoides, Alternaria brassicicola and A. solani did not germinate at 750 and 1000 ppm and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 falcatum, Curvularia maculans were inhibited at 1000 ppm for 24 hr incubation. Germination of most fungi was significantly inhibited at $100{\sim}750ppm$.

한국에서 흰가루병에 대한 중복기생균 Ampelomyces quisqualis의 새로운 기주 (New Hosts of Ampelomyces quisqualis Hyperparasite to Powdery Mildew in Korea)

  • 이상엽;김용기;김홍기;신현동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183-190
    • /
    • 2007
  • 우리나라에서 1994년부터 2004년까지 73 식물체의 흰가루병균으로부터 중복기생균 Ampelomyces quisqualis를 308 균주 분리하였다. 그중에서 A. quisqualis의 새로운 균기주(mycohost)와 식물기주(plant host)는 38 식물체에서 흰가루병균 8 속(Erysiphe, Sphaerotheca, Microsphaera, Phyllactinia, Podosphaera, Uncinula, Uncinuliella, Oidium) 13종이 발견되었다. A. quisqualis의 새로 발견된 기주는 어수리의 흰가루병균(Erysiphe heraclei), 꽃향유의 흰가루병균(E. hommae), 콩의 흰가루병균(E. glycines), 싸리의 흰가루병균(E. lespedezae), 모시물퉁이의 흰가루병균(E. pileae), 녹두의 흰가루병균(E. pisi), 토대황과 소리쟁이의 흰가루병균(E. polygoni), 쑥의 흰가루병균(Golovinomyce artemisiae), 삼잎국화의 흰가루병균(G. cichoracearum), 꼭두서니의 흰가루병균(G. rubiae), 쥐오줌풀, 가는잎왕고들빼기, 두메담배풀, 흰까실쑥부쟁이, 수세미오이, 씀바귀, 풀협죽도, 도깨비바늘과, 담쟁이덩굴의 흰가루병균(Oidium sp.), 갈참나무의 흰가루병균(Microsphaera alphitoides), 댕댕이덩굴의 흰가루병균(M. pseudolonicerae), 쥐똥나무의 흰가루병균(Podosphaera sp.), 딸기의 흰가루병균(Sphaerotheca aphanisi), 물봉선의 흰가루병균(S. balsaminae), 국수호박, 쥬키니호박, 단호박, 관상용호박, 곰취, 가지, 박, 참외, 깨풀, 코스모스와 참취의 흰가루병균(S. fusca), 찔레꽃의 흰가루병균(Uncinuliella simulans)과 배롱나무의 흰가루병균(Uncinula australiana)이다.

Lasiodiplodia theobromae is a Mycoparasite of a Powdery Mildew Pathogen

  • Kumar, P. Sreerama;Singh, Leena
    • Mycobiology
    • /
    • 제37권4호
    • /
    • pp.308-309
    • /
    • 2009
  • Powdery mildews on over 40 plants in Bangalore were screened during July-December of 2003~2008. Isolates from mycoparasitised Oidium caesalpiniacearum of Bauhinia purpurea comprised Lasiodiplodia theobromae, in addition to Ampelomyces quisqualis. Koch's postulates were satisfied to establish the mycoparasitism of L. theobromae. This is the first report that L. theobromae acts as a mycoparasite of a powdery mildew.

엽연초(葉煙草) 인공(人工) 숙성중(熟成中)의 미생물(微生物)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microorganisms during the tobacco fermentation)

  • 양차범;전재근;김재훈;배효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7권
    • /
    • pp.53-58
    • /
    • 1966
  • 엽연초인공숙성(葉煙草人工熟成)에 관여(關與)하는 미생물(微生物)들을 분리(分離)하고 분리균주(分離菌株)에 대(對)하여 배양(培養), 형태(形態), 생리(生理) 및 회수화물(灰水化物) 발효시험(醱酵試驗)을 행(行)하고 이 결과(結果)들로부터 이들 미생물군(微生物群)을 각각(各各) Asperfillus gavus, A. restrictus, A. nidulans, A. awamori, Oidium sp. Edmundmasonia Sp. spicaria Sp. Bacillus subtilis, B. subtilis var aterrimus, B. licheniformis Flaavobacterium harrisonii, Aerobacter aerogenes으로 동정(同定)하였다. 그리고 이들 균주중(菌株中)에서 발효전기간(醱酵全期間)에 걸쳐, 관여(關與)한 것으는 Aspergillus flavus, A. restriclus.,와 Bacillus subtilis, B. licheniformis이었고 이 곰팡과, 세균(細菌)은 각각(各各) 14, 7 일간(日間)에 최고분포(最高分布)를 이루었으며 기후(其後)에는 뚜렷한 분포(分布)의 변화(變化)를 보이지 않았다.

  • PDF

먹물버섯 Coprinellus congregatus에서 분열자를 사용한 형질전환 (Genetic Transformation of a Mushroom Forming Fungus Coprinellus congregatus to an Antibiotic Resistance Using Oidia Instead of Protoplast Generation)

  • 박남미;김동식;최형태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59-61
    • /
    • 2006
  • 먹물버섯의 하나인 Coprinellus congregatus를 대상으로 유전자의 도입을 위한 형질전환실험에서 원형질체를 생성하지 않고 분열자 (oidium)를 사용하는 방법을 확립하였다. 분열자는 20일 이상된 CKMM 한천배지에서 생성되며, 이를 밤샘배양으로 발아를 촉진시킨 상태에서 전기천공방법으로 항생물질 basta에 대한 형질전환을 수행한 결과 10-20 형질전환체/${\mu}g$ DNA의 수율로 형질전환체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 형질전환체들은 도입된 벡터가 염색체 상에 삽입되어 유전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