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ff-flavor from kimchi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3초

포장김치의 저장성에 미치는 폴리에틸렌 필름의 표면처리 효과 (Effects of Surface Treatment with Polyethylene Film on Shelf-life of Packaged Kimchi)

  • 이명예;김미경;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6-141
    • /
    • 2003
  • 포장김치의 표면처리가 김치의 pH, 산도, 총균수, 젖산균수, 표면갈변도 및 이미, 이취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표면처리는 포장김치표면에 70% 에탄올을 1회 분무한것과 김치표면에 PE-film(두께 0.04mm)을 부착한 것으로 나누어 행하였으며, 1$0^{\circ}C$에서 저장하였다. 무처리와 에탄올을 분무한 경우는 저장 15째에 pH가 4.0수준에 도달하였으나 PE-film을 처리한 경우는 21일째까지도 pH가 4.0 이상을 유지하였다. 산도의 경우도 pH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어 PE-film을 처리함으로서 김치의 숙성이 지연되었다. PE-film처리군의 총균수는 무처리와 에탄을 처리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았으나 젖산균수는 오히려 높았다. 무처리와 에탄올 처리구간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김치의 표피조직을 관찰한 결과 무처리와 에탄을 처리군은 배추 세포조직의 형태가 거의 파괴되었으나 PE- film 처리군은 세포형태가 안정되게 유지되었다. 무처리와 에탄을 처리군은 저장 12일째부터 표면갈변과 이미이취가 발생하였으나 PE-film 처리군은 저장 21일째까지도 나타나지 않았다.

토하젓 첨가 배추김치의 숙성 중 한국인과 일본인의 관능적 특성 평가 (Sensory Evaluations of Characteristics in Toha-Jeot Added Cabbage Kimchi during the Fermentation by Koreans and Japanese)

  • 박영희;이성숙;정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32-43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oha-jeot added cabbage kimchi by Koreans and Japanese. The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for the following 9 items such as color, savory taste, carbonated taste, sour taste, hot taste, salty taste, off flavor,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Sensory evaluation of kimchi was tested by Koreans or Japanese whose ages vary from 30 to 50 years old and each group had 25~30 evaluators. Kimchi at different stages of fermentation day 0, 10 and 18th was evaluated. Saltiness of kimchi was 1.5~2.1% through the fermentation period and pH of kimchis was decreased from pH 5.4~5.6 to 4.3~4.4 during the fermentation. The sensory evaluation of Toha-jeot added cabbage kimchi by Koran and Japanese showed the differences in evaluation as the fermentation proceeded. The color,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of Toha-jeot added cabbage kimchi fermentation for 10th days was scored significantly high by Korean group while the score for the savory taste was increased as the fermentation proceeded. The hot taste preference of Toha-jeot added cabbage kimchi fermented 18th days scored significantly high and also increased as the fermentation proceeded by Japanese group. The overall preference of Toha-jeot added cabbage kimchi by Japanese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cabbage kimchi tested at 10 and 18th days fermentation.

  • PDF

Effect of Inorganic Nanocomposite Based Liners on Deodorization of Kimchi

  • Chung, Kwon;Park, Hyun Jin;Shin, Yang Jai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55-62
    • /
    • 2021
  • This study aims to reduce the rancid odor generated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of kimchi by inserting zinc oxide (ZnO) into an inorganic porous material with a high surface area to decompose or adsorb the fermentation odor. ZnO activated by the presence of moisture exhibits decomposition of rancid odors. Mixed with Titanium dioxide (TiO2), a photocatalyst. To manufacture the packaging liner used in this study, NaOH, ZnCl2, and TiO2 powder were placed in a tank with diatomite and water. The sludge obtained via a hydrothermal ultrasonication synthesis was sintered in an oven. After being pin-milled and melt-blended, the powders were mixed with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LDPE) to make a masterbatch (M/B), which was further used to manufacture liners. A gas detector (GasTiger 2000) was used to investigate the total amount of sulfur compounds during fermentation and determine the reduction rate of the odor-causing compounds. The packaging liner cross-section and surface were investigat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SEM-EDS) to observe the adsorption of sulfur compounds. A variety of sulfur compounds associated with the perceived unpleasant odor of kimchi were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For the analyses, kimchi was homogenized at room temperature and divided into several sample dishes. The performance of the liner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total area of the GC-MS signals of major off-flavor sulfur compounds during the five days of fermentation at 20℃. As a result, Nano-grade inorganic compound liners reduced the sulfur content by 67 % on average, compared to ordinary polyethylene (PE) foam liners. Afterwards SEM-EDS was used to analyze the sulfur content adsorbed by the lin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trongly suggest that decomposition and adsorption of the odor-generating compounds occur more effectively in the newly-developed inorganic nanocomposite liners.

혼합 스타터를 이용한 묵은지의 제조 및 발효 특성 (Produc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keunji with a Mixed Starter)

  • 김효주;신현경;양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1467-1474
    • /
    • 2013
  • 묵은지 발효에 적합한 종균 발효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묵은지에서 분리한 유산균과 효모를 단일 또는 혼합 상태로 김치에 첨가하여 발효시킨 후 관능평가를 시행하여 묵은지 풍미에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낸 유산균 ML17과 효모 MY7을 혼합 스타터로 선정하였다. 묵은지 스타터 균주는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균주동정 결과에 따라 Lactobacillus curvatus ML17과 Saccharomyces servazzii MY7로 명명되었다. 혼합 스타터를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한 후 $10^{\circ}C$에서 7일 동안 1차 발효한 후, $-1^{\circ}C$에서 90일까지 숙성시키면서 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대조구 김치에 비하여 스타터 김치의 pH 저하 및 산도의 증가가 빠르게 진행되어 발효 90일 후에는 1년 숙성 묵은지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물성 변화에서 김치의 경도는 전체 발효기간 동안 스타터 김치가 더 높은 경도 값을 유지하면서 아삭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미생물 균총 변화에서 총균수와 유산균수는 발효 30일에 최대 균수를 나타내었으며,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발효 90일에는 스타터 김치의 총균수와 유산균수가 대조구 김치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효모수는 첨가된 스타터에 의하여 스타터 김치가 대조구 김치보다 전체 발효기간 동안 높은 균수를 유지하였다. 유산균과 효모 스타터는 발효 90일 동안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여 발효 종균으로서의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유기산 함량은 스타터 김치에서 lactic acid와 citric acid의 함량이 대조구 김치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 스타터 김치는 1년 숙성 묵은지와 유사한 묵은지 맛과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토하젓 첨가 갓김치의 숙성 중 관능적 특성 평가 - 전남지역 일부 한국인과 일본인을 대상으로 - (Sensory Evaluations of Characteristics in Toha-Jeot Added Mustard Leaf Kimchi during the Fermentation - By Koreans and Japanese in Jeonnam Province -)

  • 박영희;이성숙;정난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5-3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oha-jeot added mustard leaf kimchi by Koreans and Japanese in Jeonnam Province. The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for the following 9 items such as color, savory taste, carbonated taste, sour taste, hot taste, salty taste, off flavor,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The test was done by the group of kimchi was tested by Koreans or Japanese with the age from 30 to 50 years, and each group contained 20~25 evaluators. Kimchi at different stages of fermentation day 0, 10 and 18th during fermentation at $4^{\circ}C$ for 4weeks was evaluated.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saltiness of kimchi was 2.25~1.77% and pH of kimchis was decreased from pH 5.6~5.8 to 4.2~4.6. The score for the sour tast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of Toha-jeot added mustard leaf kimch increased as the fermentation proceeded in Japanese group. The overall preference of Korean and Japanese groups for Toha-jeot added mustard leaf kimchi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mustard leaf kimchi tested at 10th and 18th days fermentation.

  • PDF

우리나라 김치의 포장과 저장방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ackaging and Preservation of Kimchi)

  • 이양희;양익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3권3호
    • /
    • pp.207-218
    • /
    • 1970
  • 우리나라 김치의 공업적 생산에 이바지 하고저 본 연구에서는 김치의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포장방법과 제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는 저장방법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1. Panel test의 결과 우리나라 사람들의 식성은 김치의 적정산도가 젖산으로서 0.4%부터 0.75% 사이에 있을 때를 가식범위로 하고 있으며 최적 성숙시기는 0.5%부근임을 알았다. 그런데 냉장이나 방부제 사용의 경우에는 포장 후에도 제품의 성숙이 미약하게나마 계속되므로 이를 감안하여 적정산도 0.45% 정도인 약간 미숙한 시기가 포장적기라 할 수 있다. 저온 가열살균 방법을 이용할 경우는 성숙이 순간적으로 정지되므로 적정산도 0.5%의 시기가 최적 포장적기라 할수 있다. 2. Polyethylene, polypropylene 및 polycello의 3종의 포장 재료중 polyethylene은 대체로 양호한편이나 작업 및 취급 도중 포장의 파열이 빈번하고 김치 냄새의 일산이 심한 것이 단점이며 , polypropylene은 전자 보다는 훨씬 우수하며 포장이 강인 하고 투명도도 좋으나 역시 냄새의 일산이 다소 있었다. polycello는 물리적인 특성면에 있어서는 거의 이상적인 재료이지만 가격이 비싼 것이 단점이었다. 그리고 김치포장시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는 0.08mm가 가장 적당하였다. 3. 냉동방법에 의한 김치 저장은 장기간 제품을 산패없이 보존할 수는 있으나 해동시 배추 조직으로부터의 탈수 현상이 일어나 김치의 texture가 불량하게 되므로 적당한 방법이라 할 수 없었다. 4. 냉장방법은 김치의 신선도를 오랫동안 잘 유지시키는 데에 있어서는 가장 좋은 방법이었다. 냉장온도는 $0^{\circ}C$가 최적이었고 3개월 정도의 저장이 가능하였다. 5. 방부제에 의한 김치의 저장은 대체로 큰 효과를 얻을 수 없었는데 사용한 방부제 중에서는 potassium sorbate가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에 의한 저장 가능 기간은 $20^{\circ}C$에서 4일 $30^{\circ}C$에서 2일 정도이었다. 6. 저온 가열 살균 방법에 있어서는 제품의 크기 및 두께가 열 침투에 크게 영향을 미쳐 살균정도를 좌우하였다. 얻어진 결과로서는 1.5cm 정도의 포장 두께에서 $65^{\circ}C$, 20분간의 가열 살균이 최적이며 이렇게 처리된 김치는 신선도가 별로 손상되지 않고 실온에서 1개월정도 저장이 가능하였다. 7. 병합처리 방법으로는 방법으로는 방부제와 저온 가열 처리의 복합방법, 방부제와 냉장의 복합방법, 그리고 열처리와 냉장의 복합방법을 실험하였는데 앞의 두 방법은 별로 처리 효과가 없었으나 세번째 방법은 상당히 좋은 효과가 있어 가열처리 후 상온에 저장하였을 때 일어나는 조직의 점진적인 변화가 방지될 뿐더러 냉장만을 적용할때 오는 발효의 진행을 중지시켜 4개월 이상 김치를 신선하게 유지시킬 수 있었다. 이때 가열처리 조건은 $65^{\circ}C$에서 20분간이었으며 냉장온도는 $4^{\circ}C$였다.

  • PDF

흑마늘 첨가 김치 양념소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Kimchi Seasoning with Black Garlic)

  • 이경행;윤영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5-180
    • /
    • 2017
  • To enhance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reduce the off-flavor of garlic in the Kimchi, we manufactured the Kimchi seasoning replaced with 25~75% black garlic instead of raw garlic and measured the contents of antioxida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e polyphenol compound content was $270.91{\mu}g/mL$ in the control and $278.18{\sim}305.75{\mu}g/mL$ in the Kimchi seasoning with black garlic. The polyphenol compound content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black garlic in the Kimchi seasoning. The polyphenol compound contents gradually decreased during storage period. The flavonoid compound content was 26.18 mg% in the control and 26.80~38.72 mg% in the Kimchi seasoning replaced with 25~75% black garlic. The flavonoid compound content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black garlic. The flavonoid content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polyphenol compounds during storage periods. In the case of DPPH electron donating abilities, DPPH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the control was 84.82%, which showed a lower antioxidative activity than the Kimchi seasoning replaced with black garlic. The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f the Kimchi seasoning replaced with black garlic were increased as the amount of black garlic was increased. In the lipid peroxidation test, the control showed no lipid peroxidation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Kimchi seasoning replaced with black garlic also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during storage as in the control. However, it showed lower activity than the control. Reducing power was higher in the Kimchi seasoning replaced with black garlic than in the control. The higher the ratio of black garlic, the higher the reducing power.

인삼을 첨가한 김치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 냉장보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Ginseng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 송태희;김상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1-88
    • /
    • 1991
  • 김치에 인삼 2% 및 4%를 첨가하여 $4^{\circ}C$에서 50일간 저장하면서 숙성기간별로 pH, 산도, 염도와 환원당의 변화를 관찰하고, Instron에 의한 경도 측정, HPLC에 의한 유기산 분석 및 관능검사로 그의 품질특성을 연구하였다. 1. 시료김치는 세군 모두 전기간에 걸려 약 2.3% 정도의 염도를 유지했다. 2. 인삼첨가군이 대조군보다 pH가 높고 산도가 낮으며 Instron에 의한 경도도 높게 나타나고 발효중 lactic acid와 acetic acid의 함량이 적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인삼첨가로 김치의 가식기간 연장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3. 관능적 품질특성 평가에서 감칠맛과 탄산미가 높고 쓴맛과 이취가 적었던 인삼 2% 첨가군이 전체적인 취식특성이 좋게 평가되었으며 4%군도 대조군에 비해 좋게 평가된 것으로 보아 인삼의 첨가가 김치의 기호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특히 숙성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대조군과 인삼첨가군들 간의 취식특성에 차이를 나타내며 발효후기의 이취를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서 인삼을 김치에 첨가함으로써 기호성이 우수하고 가식기간의 연장효과를 얻을 수 있는 김치를 제조할 수 있었으며, 인삼첨가군 사이의 유의적인 차가 없는 것으로 보아 인삼 2%군이 경제성 및 기호성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pplication of Baechu-Kimchi Powder and GABA-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or the Production of Functional Fermented Sausages

  • Yu, Hyun-Hee;Yoon, Gun Hee;Choi, Ji Hun;Kang, Ki Moon;Hwang, Han-Joo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804-812
    • /
    • 201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 new type of fermented sausage manufactured by incorporating Baechu-kimchi powder and gamma-aminobutyric acid (GABA)-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LAB). The LAB count was at the maximum level by day nine of ripening in inoculated sausages, accompanied by a rapid decrease in the pH. The addition of kimchi powder decreased the lightness ($L^*$) and increased the redness ($a^*$) and, yellowness ($b^*$) values, while also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hardness and chewiness of the sausage (p<0.05). Moreover, although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values increased in all samples during the study period, this increase was lower in the kimchi-treated samples, indicating a reduction in lipid oxidation. Overall, our results show that the addition of Baechu-kimchi powder to sausages reduced the off-flavor properties and improved the taste profile of the fermented sausage in sensory evaluations. The GABA content of all fermented sausages increased from 17.42-25.14 mg/kg on the third day of fermentation to 60.95-61.47 mg/kg on the thirtieth da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Baechu-kimchi powder and GABA-producing LAB could be functional materials in fermented sausage to improve quality characteristics.

전분질첨가 김치의 숙성중 총 Vitamin C와 환원당 함량의 변화 (Changes in the Contents of Total Vitamin C and Reducing Sugars of Starchy Pastes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이귀주;한정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01-206
    • /
    • 1998
  • 전분풀의 첨가가 김치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세 종류의 김치, 즉 대조군, 밀가루풀 첨가군, 찹쌀풀 첨가군을 1$0^{\circ}C$에서 2주간 저장하면서 발효 중 pH, 산도, 총 vitamin C 함량, 환원당함량 및 김치의 관능검사를 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전분풀을 첨가한군들이 대조군보다 빠른 감소를 보였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산도는 밀가루풀 첨가군, 찹쌀풀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여 전분풀의 첨가가 김치 발효를 촉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찹쌀풀 첨가군보다는 밀가루풀 첨가군에서 산도가 더 빨리 증가되었다. pH 4.0~4.5의 숙성 적기라고 여겨지는 발효 5일째에 총 비타민 C함량은 대조군이21.3~25 mg%, 밀가루풀 첨가군이 21.4~22.2 mg%, 찹쌀풀 첨가군은 19.4~20.4 mg%로 대조군>밀가루풀 첨가군>찹쌀풀 첨가군 순으로 높았으나 발효 말기에는 대조군의 잔존량이 가장 적었다. 김치액의 환원당 함량은 대조군>밀가루풀 첨가군>찹쌀풀 첨가군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최적숙기 인 발효 5일째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이취와 신맛이 가장 적게 나타난 찹쌀풀 첨가군이 전체적인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숙성이 빨리 진행된 밀가루풀 첨가군은 가장 선호도가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