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dorant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3초

악취성 유기지방산 성분의 분석기술 (A review of analytical method for volatile fatty acids as designated offensive odorants in Korea)

  • 안지원;김용현;김기현;송희남
    • 분석과학
    • /
    • 제25권2호
    • /
    • pp.91-101
    • /
    • 2012
  • 2010년부터 지정악취물질로 관리 중인 유기지방산은 큰 반응성과 그에 따른 낮은 회수율 등의 문제로 인해, 분석이 난해한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악취공정시험기준에서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유기지방산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알칼리함침필터법과 알칼리흡수용액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지방산의 분석기법을 전반적으로 비교검토하였다. 그러나 이들 지정분석방법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이 쉽지않다는 점을 감안할 때, 유기지방산의 새로운 대안 분석방안으로 고체흡착관-저온농축탈착법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고체흡착관으로 시료를 채취하고 저온농축열탈착기를 이용하여 분석할 경우, 공정시험기준상에 제시한 분석방법들에 비해 상당히 간편하고 검정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방법에 대한 고찰에 덧붙여, 표준시료의 준비, 시료의 채취단계, 최종적인 검출단계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유기지방산의 현장시료를 채취 및 분석하기 위해서, 용기채취법의 적용은 심각한 오차를 수반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채취한 시료의 유기지방산을 분석할 때, GC/FID에 의존할 경우, 여러 가지 간섭 성분의 영향을 배제하기 어렵다. 따라서 유기지방산의 분석에는 GC/MS를 이용하여 정량뿐 아니라 정성적인 부분까지 동시에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황화수소(H2S) 흡착을 위한 금속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활성물질 최적화 및 입상형 흡착제 제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Active Material and Preparation of Granular Adsorbent of Metal Oxide-based Adsorbent for Adsorption of Hydrogen Sulfide (H2S))

  • 최성열;한동희;김성수
    • 공업화학
    • /
    • 제30권4호
    • /
    • pp.460-46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각종 산업시설에서 발생하는 $H_2S$를 처리하기 위하여 금속산화물 기반의 흡착제의 활성물질 최적화 및 입상형 흡착제 제조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적용되는 흡착제는 금속산화물 중 높은 물리화학적 안정성과 비교적 큰 비표면적을 가지는 $TiO_2$를 이용하여 활성물질의 종류와 함량을 다르게 제조하였다. 이러한 흡착제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흡착성능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활성금속 중 대표적인 알칼리 물질인 KI를 첨착한 흡착제의 흡착성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함량과 흡착성능의 관계는 비례하지 않고 volcano plot을 나타냈다. XRD, SEM, BET 분석을 통해 특정 함량 이상부터 활성물질이 표면에 노출됨을 확인하였으며, 비표면적은 $40{\sim}100m^2/g$, 기공의 부피는 $0.1{\sim}0.3cm^3/g$의 기공 특성을 가질 때 흡착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 공정 적용을 위해 흡착제를 입상형으로 성형 또는 세라믹 지지체에 코팅을 진행하였으며, 성형보다는 세라믹 지지체에 흡착제를 코팅하였을 때 우수한 흡착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Lectin histochemistry of the olfactory mucosa of Korean native cattle, Bos taurus coreanae

  • Sungwoong, Jang;Bohye, Kim;Jeongmin, Lee;Sohi, Kang;Joong-Sun, Kim;Jong-Choon, Kim;Sung-Ho, Kim;Taekyun, Shin;Changjong, Moon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3권6호
    • /
    • pp.88.01-88.14
    • /
    • 2022
  • Background: The olfactory mucosa (OM) is crucial for odorant perception in the main olfactory system. The terminal carbohydrates of glycoconjugates influence chemoreception in the olfactory epithelium (OE). Objectives: The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lycoconjugate composition of the OM of Korean native cattle (Hanwoo, Bos taurus coreae) were examined to characterize their morphology and possible functions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Methods: The OM of neonate and adult Korean native cattle was evaluated using histological, immunohistochemical, and lectin histochemical methods. Results: Histologically, the OM in both neonates and adults consists of the olfactory epithelium and the lamina propria. Additionally, using periodic acid Schiff and Alcian blue (pH 2.5), the mucus specificity of the Bowman's gland duct and acini in the lamina propria was determined. Immunohistochemistry demonstrated that mature and immature olfactory sensory neurons of OEs express the olfactory marker protein and growth associated protein-43, respectively. Lectin histochemistry indicated that numerous glycoconjugates, including as N-acetylglucosamine, mannose, galactose, N-acetylgalactosamine, complex type N-glycan, and fucose groups, were expressed at varied levels in the different cell types in the OMs of neonates and adults at varying levels. According to our observations, the cattle possessed a well-developed olfactory system, and the expression patterns of glycoconjugates in neonatal and adult OMs varied considerably. Conclusions: This is the first study to describe the morphological assessment of the OM of Korean native cattle with a focus on lectin histochemistry. The findings suggest that glycoconjugates may play a role in olfactory chemoreception, and that their labeling properties may be closely related to OM development and maturity.

이온교환된 NaY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TBM와 THT의 흡착제거 (Adsorptive Removal of TBM and THT Using Ion-exchanged NaY Zeolites)

  • 정갑순;이석희;천재기;최재욱;우희철
    • 청정기술
    • /
    • 제15권1호
    • /
    • pp.60-66
    • /
    • 2009
  • 천연가스로부터 유기 황 화합물인 THT와 TBM의 흡착 제거를 위해 NaY 제올라이트계를 이용하여 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NaY에 대한 표면의 산-염기적 특성을 변화시키고 흡착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Li, K, Fe, Co, Ni, Cu, Ag 등의 금속이온으로 이온교환하였으며, 이를 부취제 THT와 TBM의 흡착 제거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Cu-NaY, Ag-NaY, NaY에서 다른 물질들에 비해 THT, TBM의 파과흡착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Cu, Ag가 이온교환된 제올라이트의 증가된 산성적 특성 때문에 다른 이온들에 비해 높은 파과흡착량을 나타낸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산량이 Ag-NaY보다 높게 측정된 Cu-NaY의 경우, Cu의 담지량을 조절하였다. 이들 가운데 0.5 M의 질산구리 용액으로 이온교환된 Cu-NaY-0.5가 가장 높은 파과흡착량을 보였으며, THT에 대해 1.85 mmol-S/g, TBM에 대해 0.78 mmol-S/g을 각각 나타내었다. 그리고 THT의 탈착 활성화에너지는 NaY, Cu-NaY-0.5 두 물질에 대하여 큰 차이가 없었으며, TBM의 탈착 활성화에너지의 경우 Cu-NaY-0.5 흡착제에서 NaY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Comparative Quality Traits, Flavor Compounds, and Metabolite Profile of Korean Native Black Goat Meat

  • Shine Htet Aung;Edirisinghe Dewage Nalaka Sandun Abeyrathne;Md. Altaf Hossain;Doo Yeon Jung;Hyun Cheol Kim;Cheorun Jo;Ki-Chang Nam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639-658
    • /
    • 2023
  • Although goat meat has several health benefits than other red meats but comsumers reluctant it due to its unpleasant flavo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odorant of goat meat as well as compare the quality traits of meat regarding sex status. The loin meats [non-castrated male (NCM), castrated male (CM), and female (FM)] were collected and stored at 4℃ in a laboratory refrigerator and analyzed on the 1st, 5th, and 8th consecutive days. The moisture content was the lowest and the protein content was highest in FM (p<0.05). Fat and ash content in NCM and FM were similar while lowest in CM. The CIE 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CM,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CIE a* and CIE b* within groups at initial day. The color intensity increased on the 5th storage day and decreased again after the 8th storage day, except in NCM. NCM displayed the highest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value (p<0.05), whereas CM displayed a higher pH value than other groups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Indole levels were the highest in NCM (0.031 mg/kg); however, skatole level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all treatments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between NCM and CM (p>0.05), wherea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FM (p<0.05). Most of the water-soluble metabolit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xes. Overall, sex status effects on quality properties of meat and castration can improve the overall sensory acceptance by reducing goaty flavor of Korean native black goat me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