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dontoblast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8초

체외에서 배양된 구강 내 정상세포에 불화나트륨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dium fluoride on oral normal cell cultured in vitro)

  • 최별보라;김다혜;김지영;박상례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71-477
    • /
    • 2016
  • Objectives: Fluoride is widely used in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dental ca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iological effects of Sodium fluoride on the proliferation of oral normal cell in vitro(MDPC-23, HaCaT, HGF-1 cells). Methods: The proliferation of normal cells and the cyto-skeletal change of normal cells were assessed by WST-1 assay and F-actin stain assa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s of the resulting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dow 12.0). Results: The sodium fluoride(0-12 mM) treatment decreased the cell viability in a dose and time dependent manner: HaCaT(6 h): $100{\pm}0$, $98{\pm}0.39$, $82{\pm}2.68$, $75{\pm}0.83$, $69{\pm}1$, $67{\pm}1.42%$(p<0.005); HaCaT(24 h): $100{\pm}0$, $98{\pm}1.85$, $54{\pm}0.64$, $43{\pm}0.4$, $38{\pm}0.32$, $36{\pm}0.13%$(p<0.006), MDPC-23(6 h): $100{\pm}0$, $93{\pm}1.48$, $85{\pm}0.28$, $82{\pm}1.58$, $79{\pm}1.48$, $76{\pm}1.93%$(p<0.009); MDPC-23(24 h): $100{\pm}0$, $91{\pm}1.26$, $58{\pm}0.65$, $49{\pm}1$, $44{\pm}0.74$, $2{\pm}0.05%$(p<0.005), HGF-1(6 h): $100{\pm}0$, $97{\pm}2.93$, $89{\pm}5$, $71{\pm}5.42$, $58{\pm}4.82$, $43{\pm}3.47%$(p<0.009); HGF-1(24 h): $100{\pm}0$, $97{\pm}2.05$, $73{\pm}1.73$, $22{\pm}1.61$, $14{\pm}1.73$, $7{\pm}0.85%$(p<0.005). Thus, changes in cell morphology and disruption of filamentous(F)-actin organization were observed in higher concentra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gher concentrations of fluoride lead to a reduce the number of cells and morphology change of normal cell.

Protein microarray를 이용한 APin-단백질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PIN-PROTEIN INTERACTIONS USING PROTEIN MICROARRAY)

  • 박주철;박선화;김흥중;박종태;윤성호;김지웅;이태연;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5호
    • /
    • pp.459-468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법랑모세포 분화과정에서 APin의 기능을 알아보고자 APin-protein microarray를 시행한 후 치아발생과 관련이 있는 MEF2, Aurora kinase A, BMPR-IB와 EF-hand calcium binding protein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MV-APin construct를 transfection하여 APin의 과발현을 유도한 경우에는 MEF2와 Aurora kinase A 둘 모두에서 발현이 현저히 감소한 반면에, APin의 발현억제를 유도한 경우에는 둘 모두 변화가 없었다. 2. APin의 과발현을 유도한 경우에는 BMPR-IB와 EF-hand calcium binding protein 모두에서 발현이 크게 증가한 반면, APin을 발현억제 시킨 경우에는 BMPR-IB는 변화가 없었고, EF-hand calcium binding protein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위의 결과들로 보아 APin 단백질은 MEF2, Aurora kinase A, BMPR-IB, EF-hand calcium binding protein과 상호작용하여 법랑모세포의 분화와 석회화 과정 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흰쥐 치수에서 Er:YAG laser에 의한 노출손상에 따른 조직학적 변화 및 CGRP 단백질의 발현 (A HISTOLOGICAL CHANGES AND CGRP EXPRESSION AFTER EXPOSURE INJURY BY ER:YAG LASER IN DENTAL PULP OF RAT)

  • 양재호;박종태;김규탁;김상봉;이난영;이상호;김흥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17
    • /
    • 2008
  • 본 연구는 Er:YAG laser에 의한 치수의 초기 조직반응과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 함유 신경섬유의 발현을 비교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Er:YAG laser와 conventional bur를 이용하여 상악 제1대구치의 교합면에 와동을 형성하였다. 와동형성 후 48시간 후에 조직을 처리하여 hematoxylin-eosin 염색과 CGRP 면역조직화학을 시행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onventional bur를 이용하여 삭제한 경우, 상아질 바닥면은 균열이 없는 평면의 균일한 모양을 보였으며, Er:YAG laser의 경우에는 상아질의 면은 bur에 비해서 파동형의 불규칙적인 형태와 바닥면에서 상아세관의 주행방향을 따라 미세한 균열을 보였다. 2. Er:YAG laser에 의해 손상 받은 치수에서는 혈관확장과 노출된 치수의 손상부위를 따라 bur에서 손상 받은 치수보다 더 많은 염증세포의 침윤과 상아모세포층의 파괴를 보였다. 3. 노출손상 후에 치수신경 말단에서 CGRP 발현은 bur와 laser군 모두에서 손상을 받지 않은 정상 치수에 비해서 증가된 양상을 보였으며, 그 증가된 정도는 laser의 경우에서 더 강하였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Er:YAG laser가 치수손상을 최소화하여 적용되면 치아우식 제거와 와동형성과 같은 여러 수복치료 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과잉치 치수 세포의 계대별 석회화 비교 (Comparison of Mineralization in Each Passage of Dental Pulp Stem Cells from Supernumerary Tooth)

  • 신지선;김종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50-357
    • /
    • 2017
  • 본 연구는 상악 정중과잉치에서 얻은 치수유래 줄기세포(human dental pulp stem cells from supernumerary tooth, sDPSCs)를 대상으로 분화능의 변화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신 병력이 없는 6세 남자아이 상악 중절치와 측절치 사이에 매복 된 과잉치를 발치하여 sDPSCs를 얻었다. 세포들을 16계대까지 배양하였고, 1 - 8계대는 Young군으로 9 - 16계대는 Old군으로 나누었다. 각 계대 배양에 소요된 시간은 Young군에서는 $2.25{\pm}0.46$일, Old군에서는 $3.25{\pm}0.46$일을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각 계대 별로 세포 형태를 관찰하고 분화를 유도한 후 Alizarin-red solution 염색을 통해 골모세포(odontoblast)로 분화되는 정도를 관찰하였다. 1, 8, 9계대에서 분화제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의 형태에서는 방추형의 섬유모세포와 유사한 길쭉한 형태로 과립(nodule)이 적었지만, 16계대에서는 세포의 크기가 커지고 넓적한 형태로 변하고 과립도 많아졌다. 1계대는 분화 7일부터 과립이 관찰되며, 8계대에서는 14일 동안 분화제를 처리한 후 과립이 명확히 관찰되었다. 그러나 9계대 이후에서는 과립의 빈도가 상당히 감소되었다. ARS 염색에서는 1, 8계대는 진한 붉은색으로 염색되었으나, 9, 16계대는 염색이 옅게 되었다. 이를 통해 sDPSCs는 8계대 이전의 세포를 줄기세포의 원천으로 우선 고려하는 것이 좋다고 사료된다.

Ferric sulfate를 이용한 치수절단술 후 성견 치수의 조직반응에 관한 연구 (A HISTOPATHOLOGIC STUDY ON THE PULPAL RESPONSE IN DOGS AFTER PULPOTOMY WITH FERRIC SULFATE)

  • 이창섭;임철승;박주철;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33-343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견 치아에서 ferric sulfate로 치수절단술을 시행하고 상부 이장재의 영향을 최소화한 후에 잔존 치수 조직 반응을 formocresol을 사용한 군과 조직병리학적으로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생후 $6\sim7$개월, 체중 $10\sim12Kg$ 정도의 성견 5마리의 전치 40개에 5급 와동을 형성하여 치수절단술을 시행하였다. 치수를 formocresol과 ferric sulfate를 이용하여 복조를 시행하고 IRM으로 밀봉하였다. 실험동물은 3일,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 후에 관류 고정하여 희생되었으며, 표본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Ferric sulfate군과 formocresol군 모두에서 치수절단술 후에 염증 반응을 보였지만 ferric sulfate군에서 현저히 감소된 염증 양상과 빠른 치수조직 회복소견을 보였다. 2. Ferric sulfate군에서 치수절단술 후 치수 측벽의 상아모세포의 배열 양상은 초기에는 치관부 1/3에 불규칙한 배열양상을 나타내었지만 2주 후부터는 대체로 회복된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formocresol군에서는 불규칙한 배열양상이 실험기간 동안 지속되었다. 3. 치근을 따라 넓고 길게 형성된 수복상아질층이 formocresol군 8주의 1개 치아에서 나타났으며 상아질교의 형성은 ferric sulfate군 8주의 2개 치아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치과용 가칠(假漆)이 치수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병리조직학적 연구 (A Histopathological Study of Pulpal Reactions to Dental Varnishes in Dogs' Teeth)

  • 임두영;이정석;이종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69-179
    • /
    • 198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 of dental varnish applied with fluoride to dental pulp by comparing the groups of commercial fluoride product $Duraphat^{(R)}$, $Copalite^{(R)}$ after 1 Mole sodium fluoride application, Cavity $Sealer^{(R)}$ after 1 Mole sodium fluoride application with the control group not applied the dental varnish. After Cl V Cavity form was prepared on the buccal surface of the crowns with the total 75 teeth by using 5 dogs, average weight of 13.2Kg, dental varnish and silver analgram were placed. This study was performed by 3, 7, 21, 28, 56 days each. The dogs were sacrificed to extract the teeth, cut at the apical one fourth, and prepared histologic examination by fixing with 10% buffered formalin perfusion at sacrifice and decalcification in 10% nitric acid. The specimens were embedded in paraffin,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and serially sectioned with 6 ${\mu}$width each. Microscopic evaluation of serial sections at the various time periods among the different group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1. In the control group, the marked change of the odontoblastic layer was showed on the 3 days group, and it was decreased gradually. Healing response, such as hyperplasia, was seen on the 28 days group and it was continued to the 56 days group. 2.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Cavity $Sealer,^{(R)}$ a slight hemorrhage was seen in the odontoblastic layer on the 3 days group, and the healing response with the hyperplasia of the odontoblast was showed on the 21, 28 days group. It was completely healed on the 56 days group. 3. In the Duraphat R group, a slight hemorrhage showed on the 3 days group and the disarrangement of the Odontoblastic layer was seen on the 7, 21, 28 days group. Odontoblasts showed hyperplasia on the 28 days group, and healed completely on the 56 days group. 4. In the $Copalite^{(R)}$ group, the 7 days group showed remarkable hemorrhage in the odontoblastic layer and stroma, and also it showed reticular degeneration with the disarrangement of the odontoblastic layer and congestion. Each group showed disarrangement. Healing ability of this group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but less than that of the $Duraphat^{(R)}$ and Cavity $Sealer^{(R)}$ group.

  • PDF

치아 우식증에 따른 치수내 유전자 발현 변화에 관한 분석 (GENE EXPRESSION ANALYSIS OF THE DENTAL PULP IN HEALTHY AND CARIES TEETH)

  • 오소희;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75-287
    • /
    • 2010
  • 치아 우식증은 범발성 질환이고 이에 대한 생체반응은 단순하지 않으며 질병 과정과 숙주의 활성 모두를 반영하는 복합적인 반응이다. 이러한 반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질병의 세포학적, 분자학적인 면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임상적으로 건강한 치아와 우식이 진행된 치아로부터 얻어진 치수 안의 유전자 발현을 규명하고 우식 병소에서 일어나는 치유 및 재생에 관계되는 분자와 면역 세포들 사이의 분자 생화학적 상호작용을 규명하기 위해서 우식치아와 건전치아의 치수를 이용하여 cDNA 미세배열(microarray) 분석과 역전사효소 중합효소 연쇄반응 (RT-PCR) 분석, 그리고 면역화학염색법 (immunohistochemistry)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DNA 미세배열 분석 결과, 건전치아군인 대조군에서는 143개의 유전자가, 우식치아군인 실험군에서는 377개의 유전자가 1.6배이상 발현되었다. 2. 역전사효소 중합효소 연쇄반응 분석에서 14개의 유전자를 선택하였고 cDNA 미세배열 분석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3. TGF-${\beta}1$의 면역조직화학적 관찰 결과, 건전치에 비해 우식치의 상아모세포와 치수에서 특히 강하게 발현되었다.

치아발생 과정 중에 Ki-67, 싸이클린 A, 싸이클린 D1의 발현양상 (Expression Patterns of Ki-67, Cyclin A, and Cyclin D1 during Tooth Development)

  • 권혁제;윤경식;정한성
    • 해부∙생물인류학
    • /
    • 제26권1호
    • /
    • pp.41-49
    • /
    • 2013
  • 치아발생 및 형태형성 과정에서 치아상피와 치아간엽을 구성하는 세포는 동적인 세포주기의 변화가 일어난다. 현재까지 세포증식은 치아발생에 중요한 현상으로 알려져 있지만, 치아발생 중에 일어나는 복잡한 분자적 기전과 연관해서 세포주기의 각 시기가 어떻게 관여하는지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치아발생 기전과 세포주기의 시기의 변화와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치아발생 과정에서 일어나는 형태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싹시기, 모자시기, 종시기의 쥐 앞니 및 어금니 치배를 헤마톡실린-에오신으로 염색하여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세포주기 시기의 표지자인 Ki-67, 싸이클린 A, 싸이클린 D1의 발현양상을 관찰하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싹시기, 모자시기, 종시기에서 증식하는 세포들은 Ki-67과 싸이클린 A를 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싸이클린 D1은 앞니의 상아질모세포 및 모자시기의 사기질결절에서 특이적인 발현을 보였으며, 이곳에서는 Ki-67이나 싸이클린 A가 발현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치아발생 중 각 주요 시기에서 세포주기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이는 치아발생에 관여하는 기전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지금까지의 앞니의 사기질모세포 및 사기질결절의 특성에 대한 지식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백서의 실험적 치아이동시 열충격 단백의 발현 (The Expression of Heat Shock Protein in the Experimental Tooth Movement in Rats)

  • 유동환;김은철;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2호통권85호
    • /
    • pp.249-259
    • /
    • 2001
  • 치주인대가 외과적 혹은 병리적으로 손상을 입은 후 재생이나 수복을 위해 체계화된 특정 단백 성분이 합성되고 증식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바, 치주인대에서의 열충격 단백(heat shock protein, HSP)의 발생과 역할에 대하여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염증 반응 및 치유 과정으로 여겨지고 있는 치아이동 및 그에 따른 치주조직 변화에서도 열충격 단백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견인력에 의한 치아이동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열충격단백의 발현 정도 및 분포 변화를 알아보고자, Sprague-Dawley계 백서 27마리를 대조군(3마리)과 실험군(24마리)으로 나누었으며, 실험군은 견인력(75g)을 가한 후 12시간, 1일, 4일, 7일, 14일, 28일이 경과한 후 각각 4마리씩 희생시켜, HSP47, HSP70의 발현 정도 및 분포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조군의 HSP47의 발현은 HSP70보다 전반적으로 많았는데, 치은, 상아질, 백악질에서 경미하였지만, 치주인대와 치조골에서 약양성의 발현을 보였다. 2. 실험군의 상아질, 백악질, 상아모세포에서의 HSP47, HSP70은 견인력 적용 기간에 관계없이 대조군과 큰 차이 없이 경미하거나 약양성의 발현을 보였다. 3. 실험군의 HSP47은 4일째의 치주인대 및 치조골에서 가장 많은 발현을 보였다가 이후 감소되었는데 전반적으로 견인측보다 압박측에서 많은 경향을 보였다. 4. HSP70의 발현은 교정력을 가한 12시간째부터 치수, 치주인대 내의 모세혈관 부위에서 증가하기 시작해 4일째에 가장 많았으며 견인측보다 압박측에서 많았다. 5. 실험군의 치조골에서 HSP70의 발현은 대조군과 유사하게 경미하였다.

  • PDF

직접치수복조재에 따른 비글견 치수의 조직반응에 대한 연구 (PULP RESPONSE OF BEAGLE DOG TO DIRECT PULP CAPPING MATERIALS: HISTOLOGICAL STUDY)

  • 배지현;김영균;윤필영;조병훈;최용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1호
    • /
    • pp.5-1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인위적으로 노출시킨 비글견의 치수조직을 기존의 수산화칼슘제재와 MTA, 접착성 레진, 광중합형 수산화칼슘제재를 사용하여 직접치수복조한 후 각 재료에 따른 치수의 반응을 광학현미경 하에서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여 비교분석하였다. 2마리 비글견의 36개 치아를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치수를 노출시키고 노출된 치수에 치수복조재를 적용한 후 와동은 복합레진으로 충전하여 직접치수복조술을 시행하였다: (1)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 $ProRoot^{(R)}$ MTA, Dentsply, Tulsa, USA), (2) Clearfil SE Bond (Dentin adhesive system: Kuraray, Osaka, Japan), (3) Ultra-Blend (Photopolymerized Calcium hydroxide: Ultradent, South Jordan, USA), (4) Dycal (Quick setting Calcium hydroxide: LD Caulk Co., Milford, USA). 희생전 90일, 30일, 7일 전에 각 복조재별로 3개씩의 와동을 충전하였고 비글견을 희생시키고 조직시편을 제작하였다. 시편을 H&E 염색 후 광학 현미경으로 치수염증반응과 경조직 형성 정도를 관찰하였다. MTA 군은 초기에는 경조직 형성이 관찰되지 않고 치수조직의 위축과 부분괴사가 관찰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경조직 형성이 관찰되었다. Clearfil SE Bond군은 초기에 염증세포의 침윤과 치수세포의 괴사를 관찰할 수 있었고 시간이 지날수록 치수 세포의 괴사가 더욱 진행한 양상을 보였다. Ultra-blend 군과 Dycal 군은 MTA 군과 비슷하게 초기에는 경조직 형성을 보이지 않고 중등도의 염증반응이 관찰되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경조직 형성이 관찰되었다. MTA, 수산화칼슘제재와 광중합 수산화칼슘제재는 초기의 치수염증반응 이후 조상아세포층, 상아질교 형성을 보여 직접치수복조재로 적당하였으며, 접착성 레진은 심한 염증반응과 치수 조직의 괴사 양상을 보여 직접치수복조재로 부적당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