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ular lens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3초

시력 보정용 렌즈의 품질 개선방향 (For Improvement in Quality of a Lens for Sight Revision)

  • 정맹식;김홍선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67-179
    • /
    • 1998
  • 현재 렌즈제조업체의 실정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기술이나 기계설비, 투자가 위축되어 있으나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좀더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 제품의 신임도는 무엇보다 관리기술과 품질검사가 중요한데 외관검사와 내관검사는 육안이 아닌 현미경과 컴퓨터를 이용하여 과학적으로 해야하며, 강도검사는 자동차유리강도검사와 마찬가지로 안경렌즈의 파손시 신체에 부상이 없도록 해야 한다. 또한 안경렌즈의 원재료는 기술수준의 미비로 인해 모두 수입되고 있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이 가능한 연구기관을 설립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해야한다.

  • PDF

Effects of Various Laser Wavelengths and Power Densities on the Ocular Damage in Pigmented Rats

  • Chung, Phil-Sang;Shin, Jang-In;Chang, Moo-Hwan;Chang, So-Young;Kang, Jung-Wook;Hwang, Hee-Jun;Ahn, Jin-Chul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73-178
    • /
    • 2008
  • With the widespread use of laser in medical and industrial settings, the incidence of laser injury to the ocular continues to grow among workers involved in handling lase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ocular damages after irradiation with various laser wavelengths and power density. Ocular of pigmented rats was irradiated with $CO_2$ laser, 1064 nm Nd:YAG laser, and 532 nm diode laser. We observed damage of cornea, lens, and retina using slit lamp microscope and funduscopy. H&E staining of histopathology were applied to study the specimens. The higher exposure ($200mW/cm^2$, 10 sec) with $CO_2$ laser resulted in severe damage at the cornea. For the 1064 nm Nd:YAG laser, the higher exposure than $10mW/cm^2$ (10 sec) resulted in damage at the cornea and lens. Further, with the 532 nm diode laser, retinal lesions were induced when $10mW/cm^2$ (0.25 sec) was delivered to the eye. Theses results suggest that the ocular damages are different from various laser wavelength and power density.

  • PDF

일반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와 2주 교체용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 착용에 따른 임상성능 비교 (Comparison of the Clinical Effect after Wearing Conventional and 2-Weeks Cosmetic Tinted Contact Lens)

  • 김창진;김재민;김현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26
    • /
    • 2009
  • 목적: 재질과 제조공법이 다른 일반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와 2주 교체용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 착용에 따른 눈에서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20대 남녀 대학생 35명을 대상으로 우안에는 2주 교체용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 좌안에는 일반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를 2달 동안 매일착용 방식으로 착용시킨 후, 각각 렌즈 착용 1일 후와 2달 후에 하루 렌즈 착용시간 중 5시간 이내와 5시간 이후의 자각적 증상, 타각적 증상, 각막두께를 조사하였다. 또한 착용 전과, 착용 후의 타각적 증상의 변화와 각막두께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렌즈 착용 1일후, 2달 후의 자각적 증상 중에서 주된 불편함은 양안 모두 건조감, 충혈, 이물감, 가려움이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항목에서 우안보다 좌안에서 자각적 증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착용시간 중 5시간 이내와 이후의 자각적 증상은 착용 1일 후와 2달 후 우안과 좌안 모두 충혈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00). 타각적 증상은 렌즈 착용 전에는 양 안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착용 2달 후 일반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좌안에서 윤부충혈(p=0.000), 구결막충혈(p=0.012)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렌즈 착용에 따른 타각적 증상의 변화를 비교해본 결과 우안에서는 검결막충혈, 각막염색, 결막염색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좌안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므로 일반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가 눈에 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막두께는 렌즈 착용 후 우안은 약 $5{\mu}m$(p=0.001), 좌안은 약 $7{\mu}m$(p=0.004) 증가하여 양안 모두 착용 전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샌드위치 공법으로 제조된 Dk/t가 높은 교체용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는 착용에 따른 눈에서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보다 건강하고 안전하게 시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2군 줌 복사기 렌즈계의 광학적 성능 (A study on the Optical Properties of two component zoom copier lens system)

  • 지택상;임현선;김봉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9-125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설계된 2군 zoom 복사기 렌즈계를 선택하여 광학적 성능을 계산하고 분석하여 보았다. 이 렌즈계는 유한 물점에 대한 zoom 렌즈계로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무한 물점에 대한 카메라 zoom 렌즈와는 달리, 고정된 물체와 상면사이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제한된 이동영역을 갖게 된다. 광학계의 배율은 횡배율로서 -1.41~0.64의 확대, 축소된 상을 얻을 수가 있고 f/12의 값과 약 $20^{\circ}$의 시야를 확보하고 있다. 이 2군 zoom 복사기 렌즈계는 카메라 렌즈가 갖는 f/2.8에 비하여 비록 어둡고 해상력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으나, 전방 또는 후방에 보조군을 추가함에 의하여 보다 나은 수차보정과 large aperture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 PDF

한국 진도견의 안과질환에 관한 연구 (A Survey of Ophthalmic Diseases in Korean Jindo dogs)

  • 서강문;장광호;정종태;연성찬;이계웅;남치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15-225
    • /
    • 2001
  • This study presented the results of ophthalmic examinations performed on 545 Korean Jindo dogs. The most prevalent ocular variation within normal limits was hyoid vessel remnant (12.7%) and prominence of lens suture was also noticed (1.7%). The most common ocular diseases were retinal scars (6.8%), focal cataract (4.6%) and persistent pupillary membrane (4.2%). Inherited ocular diseases found in this study were persistent pupillary membrane (4.2%), persistent hyperplastic primary vitreous (0.6%), retinal dysplasia (0.6%), entropion (0.4%) and progressive retinal atrophy (0.4%). The prevalence of ocular diseases was higher in Male than in Female and proportionately higher in the older dogs. The most prevalence was shown in white coat color dogs. The fundus color changes according to the age was not related in coat colors and shown same pattern.

  • PDF

20대 한국여성의 콘택트 렌즈 착용자에 대한 각막 굴절력과 곡률반경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the Corneal Diopter Power and Corneal Radius on the Contact Lens Wear of the Korean Female in the Twenties Age)

  • 김덕훈;황선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27-131
    • /
    • 1997
  • An analysis on the corneal diopter power and corneal radius has been carried out the Korean female in the twenties 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ost contact lens wears have the early stage of the twenties age, but the increase of aging have a decrease. The mean corneal diopter power on the right eye have 44.04 diopter, but left eye have 43.92 diopter. The mean of corneal radius on the right eye have the 7.66 mm, but left eye have the 7.69 mm. As a results, In increasing of the age, Most mean corneal diopter power have increase, but the mean of corneal radius have not change.

  • PDF

안경렌즈의 광학적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cal Properties of Eye-glasses)

  • 임현선;지택상;김봉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1-43
    • /
    • 1997
  • Multi coating과 no coating으로 처리된 국산 안경렌즈와 외국산 안경렌즈를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과율을 조사하였다. No Coating된 렌즈는 약 93%의 투과율을 나타내었으며, Coating된 렌즈는 대부분 98% 이상의 투과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외국 한 회사의 제품은 전 영역에 걸쳐 투과율이 균일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안와 및 안부속기 종양의 방사선치료에서 백내장의 예방을 위한 렌즈보호 장치의 효용성 (Efficacy of Lens Shielding Device to Prevent Cataract with Radiotherapy for Orbit or Ocular Adnexal Tumor)

  • 조정근;조현상;한태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139-144
    • /
    • 2007
  • 안와 림프종의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인 방사선 치료는 안구 질환의 증가로 인해 계속 늘어나는 추세이다. 항암화학요법과 치료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치료 및 예후가 좋아지고는 있지만 백내장, 안구건조, 망막병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와 림프종의 방사선치료 시 백내장 발생의 방어수단으로써 Lens Shielding Device(이하 LSD)를 고안 제작하였고 이의 제작방법과 방사선 차폐 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안구 표면에 해당하는 깊이에서 TLD의 측정결과는 3개의 평균값이 5.7%로 나타났고 관심부위인 수정체의 위치에서는 TLD 4.2%, markus chamber 5.1%의 선량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안와에 발생한 림프종의 방사선 치료로 인한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제작한 LSD는 치료 중 조사받게 되는 총 30Gy의 선량 중에서 5%에 해당하는 약 1.5Gy의 방사선량만이 수정체와 각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백내장의 역치선량인 2Gy와 임상적으로 백내장이 발생된다고 보고된 5Gy보다 적은 선량이 조사됨을 알 수 있었다. 방사선 치료 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부작용의 예방에 유용한 기구임을 확인하였고 환자의 안구와 일치되도록 개인별로 제작하여 착용 시 이물감에 의한 불편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료 시 고정 또한 매우 용이함을 검증하였다.

Treatment outcome and risk analysis for cataract after radiotherapy of localized ocular adnexal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 lymphoma

  • Park, Hee Hyun;Lee, Sea-Won;Sung, Soo Yoon;Choi, Byung Ock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5권3호
    • /
    • pp.249-256
    • /
    • 2017
  • Purpose: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sults of radiotherapy for localized ocular adnexal MALT lymphoma (OAML)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of cataract. Methods: Sixty-seven patients with stage IE OAML treated with radiotherapy at Seoul St. Mary's Hospital from 2001 to 2016 were included. Median treatment dose was 30 Gy. Lens protection was done in 52 (76%) patients. Radiation therapy (RT) extent was as follows: superficial (82.1%), tumor mass (4.5%), and entire orbital socket (13.4%). The risk factors for symptomatic cataract were analyzed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Results: Median follow-up time was 50.9 months (range, 1.9 to 149.4 months). All patients were alive at the time of analysis. There were 7 recurrences and there was no local recurrence. Median time to recurrence was 40.4 months. There were 14 cases of symptomatic cataract. Dose >30 Gy had hazard ratio of 3.47 for cataract (p = 0.026). Omitting lens protection showed hazard ratio of 4.10 (p = 0.008). Conclusions: RT achieves excellent local control of ocular MALT lymphoma. Consideration of RT-related factors such as lens protection and radiation dose at the stage of RT planning may reduce the risk of RT-induced cataract after radiotherapy.

비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에 의한 눈의 구면수차 변화 (Change of Spherical Aberration with Aspheric Soft Contact Lens Wear)

  • 김정미;문미영;김영철;이군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65-372
    • /
    • 2012
  • 목적: 구면수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설계된 비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시킨 후 눈에서 변화된 고위수차와 구면수차를 분석하였다. 방법: 50명의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SDD(Soflens Daily Disposable, Bausch+Lomb) 비구면 렌즈를 착용시킨 후 Wave-Scan Wavefront$^{TM}$ aberrometer (VISX, Santa Clara, CA, USA)를 이용하여 눈 전체의 고위수차와 구면수차를 4 mm의 동공크기를 기준으로 측정하였고, 구면수차 변화량은 착용한 비구면 렌즈의 약도, 중도, 고도의 도수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밝은 조명(photopic)과 어두운(mesopic) 조명상태에서 대비도를 가지는 시력표(100%와 20%)를 이용하여 시력 검사를 하였고 OPTEC 6500 Vision Tester$^{(R)}$(Stereo Optical Co., Inc., Chicago, USA)를 사용하여 밝은 조명(photopic)과 어두운(mesopic)조명 상태의 대비감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은 산동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단안으로 시행하였다. 결과: SDD 비구면 렌즈를 착용한 경우 눈의 전체고위수차는 나안 상태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01), 구면수차는 상당히 감소하여 0에 근접하는 경향을 보였다(p<0.001). SDD 렌즈 도수에 따라 전체고위수차 변화량(r= 0.237, p=0.018)과 구면수차 변화량(r=0.324, p=0.001)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밝은 조명상태에서 100% 및 20% 대비도 시력은 각각 $-0.063{\pm}0.062$$0.119{\pm}0.060$으로 나타났고, 어두운 조명상태에서 100% 및 20% 대비도 시력은 $-0.003{\pm}0.063$$0.198{\pm}0.067$으로 측정되었다. 밝은 조명상태와 어두운 조명상태에서 대비감도는 각각 $3.095{\pm}0.068$$3.087{\pm}0.074$로 나타났다. 결론: 구면수차를 제어한 비구면 디자인의 소프렌 소프트렌즈(SDD)는 눈의 전체 고위수차와 구면수차를 감소시키고 눈의 구면수차를 보정하면서 시력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