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tane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4초

UNIFAC 그룹 기여 모델에 의한 n-Octnae+n-Decane 계와 n-Octane+n-Dodecane 계의 인화점 계산 (Flash Point Calculation for n-Octane+n-Decane and n-Octane+n-Dodecane by UNIFAC Group Contribution Model)

  • 하동명;이성진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86-91
    • /
    • 2015
  • The flash point is used to categorize inflammable liquids according to their relative flammability. Such a categorization is important for the safe handl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inflammable liquids. The flash point temperature of two binary liquid mixtures(n-octane+n-decane and n-octane+n-dodecane) has been measured for the entire concentration range using Seta-flash closed cup tester based on the ASTM D3278 method. The closed cup flash point temperature was estimated using the UNIFAC(Universal Functional Activity Coefficient) group contribution model. The experimentally derived flash point was also compared with the predicted flash point from the UNIFAC model. The UNIFAC model is able to estimate the flash point fairly well for n-octane+n-decane mixture and n-octane+n-dodecane mixture.

OCT 플라스미드를 갖는 원유 분해세균에 의한 Octane 분해능 (Octane Biodegradability by Crude Oil4 tilizing Bacteria Carrying OCT Plasmid)

  • 최순영;김창숙;황문옥;민경희;이명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2-87
    • /
    • 1991
  • 원유 분해세균에 의한 원유 분해능을 조사한 결과, Xanthomonas camperstris M12, Xanthomonas sp. M28, Acintobacter lwoffi G1, Klebsiella pneumoniae L25, 그리고 Pseudomonas maltophilia N246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Xanthomonas maltophilia M12, Xanthomonas sp. M28, 그리고 Pseudomonas maltophilia N246 균주 모두 pctane 분해시의 온도는 $30^{\circ}C$에서 최적이었으며, 최적 pH는 X.camperstris M12와 Xanthomonas sp. M28이 7.0-7.5 이었고, P.maltophilia N246이 7.5-9.0이었다. N246 균주의 최적 NaCl농도는 3.0-3.5 이었다. P.maltophilia N246와 X.campestris M12는 모두 플라스미드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N246 균주로 부터 플라스미드를 제거하였을 경우 octane 분해능이 소실되었으므로 이 플라스미드 위에 octane 분해 유전자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 균주이 OTC 플라스미드의 크기는 118kb이었다. 또한, N246 균주는 ampicillin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었다.

  • PDF

Seta flash 장치에 의한 n-Octane + n-Nonane계 및 n-Nonane + n-Decane계의 인화점 결정 (Determination of Flash Point for n-Octane+n-Nonane and n-Nonane+n-Decane Systems by Seta flash Apparatus)

  • 하동명;이성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1-17
    • /
    • 2020
  • 인화성 액체 용액을 안전하게 저장하고 운반하기 위해서는, 인화점 정보를 알고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n-octane+n-nonane 계와 n-nonane+n-decane 계의 인화점을 Seta flash 장치로 측정하였으며, 인화점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한 경험식을 제시한다. 경험식은 n-octane+n-nonane 계와 n-nonane+n-decane 계의 인화점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또한 Unifac 식에 기반을 둔 계산 모델과 비교하였다. Unifac 식을 이용한 예측 결과의 절대평균오차는 n-octane+n-nonane 계의 경우 0.7℃였고, n-nonane+n-decane 계의 경우 0.6℃이었다. 경험식에 의한 예측값의 절대평균오차는 n-octane+n-nonane 계의 경우 0.2℃였고, n-nonane+n-decane 계의 경우 0.4℃이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 제시된 경험식은 매우 만족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n-Propanol과 n-Octane 혼합물의 최소자연발화온도의 예측 (Prediction of Autoignition Temperature of n-Propanol and n-Octane Mixture)

  • 하동명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1-27
    • /
    • 2013
  • 화재 및 폭발 방호를 위해서 문헌에서의 최소자연발화온도 값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 n-Propanol+n-Octane 계의 최소자연발화온도는 ASTM E659 장치를 이용하여 발화지연시간으로부터 측정하였다. 2성분계를 구성하는 n-Propanol과 n-Octane의 측정된 최소자연발화온도는 각 각 $435^{\circ}C$$218^{\circ}C$ 였다. 그리고 두 개의 2성분계에서 측정된 발화지연시간은 제시된 식에 의한 예측된 발화지연시간과 적은 평균절대오차에서 일치하였다.

여러 첨가물의 용매가 Bacillus stearothermophilus가 생산하는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의 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Additives and Solvents on Thermostability of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from Bacillus stearothermophilus)

  • 안중훈;황진봉;김승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68-371
    • /
    • 1991
  • Ethylene glycol, glycerol, sorbitol 그리고 sucrose가 Bacillus stearothermophilus가 생산하는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CGYase)의 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Glycerol, sorbitol 그리고 sucrose가 CGTase의 열안정성에 효과가 있었다. 이 효과는 첨가물의 농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n-Butanol, 1,4-dioxane그리고 n-octane과 같은 유기 용매에서 CGTase의 열안정성을 조사하였다. 1,4-dioxane 과 n-octane은 CGTase의 열안정성을 증가시켰다. 특히, n-octane에서 CGTase를 $75^{\circ}C$에서 90분간 정치시킨 후에도 원래 효소활성의 81를 유지하였다.

  • PDF

정적 연소 조건에서 Octane 단일 연료 액적의 매연 생성 거동에 관한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Soot Formation Behavior of Octane Single Fuel Droplet Under the Constant Volume Combustion Conditions)

  • 임영찬;서현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1권6호
    • /
    • pp.389-395
    • /
    • 2017
  • 본 연구는 정적 연소 조건에서 Octane 단일 연료 액적의 매연 생성 거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동일한 분위기 압력($P_{amb}$) 1.0 atm과 산소 농도($O_2$) 21%, 질소 농도($N_2$) 79% 조건에서 초기 액적 직경($d_0$) 변화에 따른 Octane 액적의 매연 생성 특성 실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Octane 액적 연소 가시화는 초고속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하였고, 분위기 조건은 제어 시스템에 의해 동일한 조건을 유지하였다. Octane 액적 연소 결과, 매연 생성량은 동일한 분위기 조건에서 초기 액적 직경 변화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매연 체적 분율 최댓값($f_{vmax}$)은 $135^{\circ}{\sim}315^{\circ}$ 측정 방향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액적 점화 이후 Igniter의 이동 과정에서 생성된 Soot-tail로 인해 매연 체적분율 결과가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옥탄가 차이가 연소특성 및 차량 성능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Octane-Number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and vehicle performance)

  • 노경하;김정환;이민호;김기호
    • 에너지공학
    • /
    • 제25권3호
    • /
    • pp.41-5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옥탄가에 따른 연소특성 및 차량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옥탄가 차이가 있는 두 연료를 선정하여 연소특성 및 배출가스, 연비, 가속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선, 연소특성 실험을 위해 단기통 엔진을 사용하였으며, 시중에 유통되는 연료 중 옥탄가가 다른 두 연료를 선정하여 수행하였다. 단기통 실험은 각 연료에 맞는 점화시기 및 공연비제어를 통해 점화시기를 점차 진각 시켰을 때 나타나는 연소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그에 따른 출력 및 배출가스, 연소압력 등을 통해 옥탄가에 의한 연소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실제 차량을 통해 옥탄가 차이에 대한 연비 변화를 비교해 보았으며, 가속성 시험을 통해 고성능 요구 구간에 대한 옥탄가의 영향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점화시기를 진각시킴에 따라 높은 옥탄가의 연료가 다소 안정된 연소특성을 보여주었으며, 가속성, 출력시험에서는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두 연료 모두 도심 및 고속도로를 모사한 현행 연비모드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에 따라 현재 판매되고 있는 차량의 운행 조건에서는 고옥탄가 연료가 연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C12E8 비이온 계면활성제 수용액에 의한 탄화수소 오일 혼합물의 가용화 특성에 관한 연구 (Solubilization of Mixture of Hydrocarbon Oils by C12E8 Nonionic Surfactant Solution)

  • 임종주
    • 공업화학
    • /
    • 제19권1호
    • /
    • pp.59-65
    • /
    • 2008
  • 비이온 계면활성제 $C_{12}E_8$ 마이셀에 의한 이성분 탄화수소 오일 혼합물 시스템의 가용화도(equilibrium solubilization capacity)를 $23^{\circ}C$에서 기체 크로마토그래피(G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단일 성분의 탄화수소 오일 가용화도는 탄화수소 오일의 탄소수(ACN)가 증가함에 따라 거의 선형적으로 감소하였다. 한편 탄화수소 오일의 이성분 시스템은 사용한 두 탄화수소 오일의 탄소수(alkane carbon number, ACN) 차이에 따라 선택적 가용화 혹은 비선택적 가용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가용화도 실험을 수행한 n-octane/n-nonane, n-nonane/n-decane과 n-decane/n-undecane 혼합물 시스템과 같이 이성분 탄화수소 혼합물의 탄소수 차이가 1인 경우에는 비선택적(non-selective) 가용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n-octane/n-decane과 n-octane/n-undecane 혼합물 시스템과 같이 탄소수 차이가 1보다 큰 경우에는 선택적(selective) 가용화 경향을 나타내었다.

탄화수소계 연료의 축소반응모델과 가솔린연료의 옥탄가 변화에 따른 자발화 지연시간 (Simplified Reaction Scheme of Hydrocarbon Fuels and Its Application to Autoignition of Gasoline with Different Octane Numbers)

  • 여진구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3-19
    • /
    • 2003
  • Mathematically simplified reaction scheme that simulates autoignitions of the end gases in spark ignition engines has been studied computationally. The five equation model is described, to predict the essential features of hydrocarbon oxidation. This scheme has been calibrated against autoignition delay times measured in rapid compression machines. The rate constants, activation temperatures, Ta, Arrhenius preexponential constants, A, and heats of reaction for stoichiometric n-heptane/air, iso-octane/air, and their mixtures have all been optimised. The optimisation has been guided by Morley's correlation of the ratio of chain branching to linear termination rates with octane number. Comparisons between computed and experimental autoignition delay times have validated the Present simplified reaction scheme and the influences of octane number upon autoignition delay times have been computationally investigated. It has been found that both cool flame and high temperature direct reactions can have an effect on autoignition delay times.

Acute and Subchronic Inhalation Toxicity of n-Octane in Rats

  • Sung, Jae-Hyuck;Choi, Byung-Gil;Kim, Hyeon-Yeong;Baek, Min-Won;Ryu, Hyun-Youl;Kim, Yong-Soon;Choi, Young-Kuk;Yu, Il-Je;Song, Kyung-Seuk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권2호
    • /
    • pp.192-200
    • /
    • 2010
  • Objectives: We have investigated the toxic effects of the inhalation of subchronic and acute levels of n-octane. Methods: The rats were exposed to n-octane of 0, 2.34, 11.68 and 23.36 mg/L (n = 5 rats/group/gender) in an acute inhalation test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TG 403), or to 0, 0.93, 2.62 and 7.48 mg/L (n = 10 rats/group/gender) for a subchronic inhalation test (OECE TG 413), to establish a national chemical management system consistent with the Globally Harmonized Classification System (GHS). Results: Acutely-exposed rats became lethargic but recovered following discontinuation of inhalation. Other clinical symptoms such as change of body weight and autopsy finds were absent. The LC50 for the acute inhalation toxicity of n-octane was determined to exceed 23.36 mg/L and the GHS category was 'not grouping'. Subchronically-treated rats displayed no significant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differences from untreated controls; also, target organs were affected hematologically, biochemically and pathologically. Therefore, the no observable adverse effect level was indicated as exceeding 7.48 mg/L and the GHS category was 'not grouping' for the specific target organ toxicity upon repeated exposure. Conclusion: However, n-octane exposure should be controlled to be below the American Conference of Industrial Hygienists recommendation (300 ppm) to prevent inhalation-related adverse health effects of wor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