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검색결과 314건 처리시간 0.024초

수예공작 프로그램 적용이 발달장애 아동의 시지각 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rafts Programmes on Visual Perceptual Development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남순;김동현;김희정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41-15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know the effects of craft programmes on the visual perceptual development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ixty children were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y divided into two groups that were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children were subjected at K-Rehabilitation Center and C-child Care Center in Gyeong-Ju for 6 weeks from Feb to Apr (twice a seek, total 12 times) in 2011. The development programmes for the children disabilities are based on occupational therapy, physical therapy, and speech therapy. The intervention of experimental group included occupational therapy based on the craft programmes, physical therapy, and speech therapy. The one of control group included occupational therapy based on function, physical therapy, and speech therapy. The MVPT-3 and K-DTVP-2 were done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to compare visual perceptual development ability and to know the results of the test.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MVPT-3 score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K-DTVP-2 score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The results mean the craft programm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visual perceptual development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가상현실 기반 작업치료프로그램이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의 신체기능 및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on the Physical Function and Learning Capacity of School-Age Intellectual Disability Children)

  • 김고운;오혜원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3-22
    • /
    • 2021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virtual real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on the physical function and learning ability of intellectually disabled school-aged children. Methods : In this study, 20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of school age were randomly and evenly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ith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a virtual real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The study adopted a pretest-posttest design.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2 sessions for six weeks, twice a week, and 50 minutes per session. As measurement tools, BOT-2 and grooved pegboard tests were used to compare physical functio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program, and K-ABC was used to check changes in learning ability. Results : Th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produc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th physical function and learning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 : This study confirmed the value and usefulness of virtual real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as a tool for enhancing the physical function and learning ability of intellectually disabled school-aged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a variety of future studies are encouraged that would further test the effects of th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used here.

국내 장애아동·청소년의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 체계적 고찰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Improve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Systematic Review)

  • 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6-60
    • /
    • 2019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해 아동·청소년 작업치료를 적용한 국내 논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참여자의 진단명, 사용한 평가도구, 중재방법과 그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0년부터 2019년 9월 30일까지 게재된 국내 학술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검색엔진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와 한국학술정보를 사용하였다. 사용한 검색어는 '아동작업치료 & 일상생활', '아동작업치료 & 자조', '아동작업치료 & 자기관리', '아동작업치료 & 작업', '작업치료 & 식사하기', '작업치료 & AMPS(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작업치료 & WeeFIM(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이었다. 결과 : 총 14편을 분석하였고 연구의 질적 수준은 IV, V가 각각 36%로 총 연구의 72%를 차지하였다. 참여자의 진단명은 지적장애가 50%를 차지하였고 뇌성마비를 포함한 뇌병변이 20%이었다. 일상생활활동을 평가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평가도구는 COPM(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으로 36%를 보였고, WeeFIM이 22%, 관찰이 13%이었다. 중재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감각통합치료로 36%이었고, 인지프로그램이 22%이었다. 지적장애 아동에게 자조활동 그룹치료를 적용한 한편의 연구를 제외하고, 모두 중재효과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체계적 고찰방법을 통해 일상생활활동에 대해 작업치료 적용을 알아본 국내의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에서 작업치료 적용을 위한 근거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국내 작업치료의 아동 중재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in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for Children in Korea)

  • 최연우;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5-72
    • /
    • 2022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국제기능장애 건강분류에 따른 국내 작업치료의 아동 중재 연구 실태와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한감각통합학회지,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재활치료과학,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에 2017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게재된 작업치료의 아동 중재 연구 47편을 대상으로, 연구의 근거 수준, 연구 대상자,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Children & Youth Version(ICF-CY)에 따른 중재 목적과 중재 접근법을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의 아동 중재 연구를 분석한 결과, 근거 수준 IV인 연구가 53.19%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53.7%로 가장 많았고, 대상자 진단명에서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와 발달 지연이 각각 14.8%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ICF-CY에 따른 중재 목적은 활동과 참여가 48.9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감각 접근법(sensory approach)을 많이 사용하였다. 결론 : 작업치료분과학회의 Korea Citation Index(KCI)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작업치료의 아동 중재 연구 분석을 통해 최근의 국내 작업치료의 아동 중재 연구 동향과 수준을 분석하였고, 앞으로 작업치료의 발전을 위해 더 질적으로 높은 연구의 형태와 다양한 중재 접근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시운동기술에 관한 아동 작업치료의 체계적 고찰 (Occupational Therapy Strategies for Visual Motor Skills of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 홍은경;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1-72
    • /
    • 2010
  • 목적 : 체계적 고찰을 통해 시운동기술 평가를 위해 사용된 도구, 치료접근방법,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 아동의 시운동 기술에 가장 적합한 치료방법과 평가도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체계적 고찰을 사용하였다. 2001년 1월부터 2010년 6월까지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PubMed을 통하여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는"visual motor and occupational therapy", "visuomotor and occupational therapy"," perception and motor and occupational therapy"이었고, 161개의 논문 중 총 13개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1. 시운동기술 치료가 필요한 대상 진단군은 발달장애아동이 20.00%로 가장 많았고, 글씨쓰기에 문제가 있는 아동이 13.33%이었다. 결과 : 2. 시운동기술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는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DTVP)을 사용한 논문이 33.33%로 가장 많았고,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Motor Integration(VMI)을 사용한 논문이 26.67%이었다. 결과 : 3. 시운동기술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사용된 치료접근방법은 발달적 기술기반 프로그램으로 58.82%를 차지 하였고, 감각통합과 감각기반 치료는 23.53%를 보였다. 결과 : 4. 시운동기술과 관련하여 작업치료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난 경우는 72.73%이었고, 유의하지 않는 경우가 9.09%이었다. 부모 직접적 또는 간접적 접근과 집중행동 치료에서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 : 아동 작업치료에서 시운동기술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는 DTVP와 VMI가 60%를 차지하였고, 70%이 상에서 치료에 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작업수행과 관련된 영역에 대한 작업치료의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학령기 정상아동의 운동 기술 및 자세 조절에 관한 임상관찰 (The Performance of the Clinical Observations of Motor and Postural Skills(COMPS) in School-Aged Normal Children)

  • 김미혜;남궁은영;부경희;심현아;이은숙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7-23
    • /
    • 2003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sensory integration according to age and sex distinction using COMPS for school-aged children and to provide the preparatory data for standardization appropriate for our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Methods : The COMPS was administered to 40 normal children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by 4 occupational therapists. Results : By comparison between age groups, 6 and 7 year olds performed similarly and statistically in all items. Between males and fema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of all items Conclusion : Findings from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COMPS by children followed developmental trends. The COMPS is easy to administer to groups and beneficial to discriminate children with motor problems, and it should be standardized.

  • PDF

아동 가정방문 작업치료서비스 실태와 만족도 조사 (A Study on the Situations and Satisfaction of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for Children)

  • 안현수;오명화;김정자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189-1195
    • /
    • 2012
  • 본 연구는 순천 광양 지역에 거주하는 만18세 미만 아동의 가정방문 작업치료서비스에 대한 실태 및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가정방문 작업치료서비스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과 가정방문치료 시 이용 서비스 종류, 가정방문 작업치료의 총 만족도, 아동에게 도움이 된 사항, 부모나 가정에 도움이 된 사항으로 구분하여 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정방문 작업치료는 장애아동 부모회를 통해서 가장 많이 알게 되었고 가정방문 작업치료에 대한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정부의 체계적이고 안정적이며 지속적인 재활치료 지원사업을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뇌성마비아동을 위한 작업치료에 대한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on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홍은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318-330
    • /
    • 2013
  •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을 통하여 뇌성마비 아동에게 적용한 작업치료의 세부적인 치료 방법과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논문은 2003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출판된 논문이었고, 전자데이터 베이스인 PubMed를 이용하여 검색하였으며, 사용한 검색어는 'occupational therapy' OR 'exercise therapy' 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OR 'splints' OR 'self-help devices' OR 'early intervention(education)' OR 'parents/education' OR 'parents/psychology' OR 'professional family relations' OR 'play and playthings' OR 'upper extremity' AND 'cerebral palsy'이었다. 분석대상논문은 총 18개이었다. 뇌성마비 아동에게 적용한 작업치료 방법은 보조기 26.2%, 부모교육 26.2%, 환경조정 9.6%, 감각운동기능 훈련 19.0%, 일상생활활동 19.0%로 나타났다. 뇌성마비 아동에게 적용한 작업치료의 효과는 보조기 40.0%, 부모교육 42.9%, 환경조정 40.0%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뇌성마비 아동의 작업치료에 있어서 근거를 마련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수면 장애에 대한 국외 작업치료 중재의 체계적 고찰 : 2011년부터 2021년까지 (A Systematic Review of Overseas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Study for Sleep Disorder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2011~2021)

  • 최지은;안선정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95-105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methods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having sleep disorders and evaluate the improvements with intervention effects, based on experimental studies of children with sleep disorders. Methods : Studies published overseas from January 2011 to June 2021 were searched from a total of two databases. Science Direct and OTseeker. The five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age, number, intervention period, intervention type, intervention effect, evaluation tool, research design type, and evidence level. Results :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182, 95 subjects in ther experimental group, and 87 in the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s included weighted blankets, swimming, and sleep education for parents. Ther interventions were found to increase total sleep time, improve mood when waking up, reduce sleep anxiety, reduce sleep time, reduce the number of waking up of during sleep, and reduce sleep resistance behavior. Conclusion : Many people have sleep disorders, with or without disabilities, and the number is gradually increasing. Consequently, research on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re actively conducted in foreign countries, and these interventions have a positive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such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studies are necessary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ith sleep disorders in Korea. In addition, further research on the quality of life of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due to sleep disorders and their methods are required.

MVPT-R을 이용한 한국과 미국 전학령기 아동의 시지각 능력 비교를 위한 기초 연구 (The Foundational Study to Compare the Visual Perceptual Skill by MVPT-R in Korean and American Preschooler)

  • 박성현;박소정;박수희;정혜림;장문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9-56
    • /
    • 2005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dicate the foundational data to standardize MVPT-R for Koreans. Method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21 children ranging in all preschool age from 4 to 6 years residing in Busan and Kyungsangnam-do. It was performed from January 12, 2004 to April 30, 2004. Result : First, similar to American children, as Korean children grow older, the mean raw score of MVPT-R increased. Second, Korean children's mean raw score was higher than that of American children; 3.51 in 4 age, 1.52 in 4.6 age, 2.93 in 5 age, 1.72 in 5.6 age, 1.84 in 6 age and 0.48 in 6.6 age. Third, the mean of PQ(106.57) in Korean children was higher than that of PQ in American children. Fourth, The raw score in Korean children was higher than the raw score in American children in most of the subjects(excluding visual closure subjects). Conclusion : The visual perception skill of Korean children is higher than that of American children. If we apply MVPT-R developed in U.S to Korean children, it will be difficult for Korean children to achieve the adequate results. Therefore, we must use the standardized MVPT-R for Korean that can minimize the differences between American and Korean children's visual perception skil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