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upational medicine

검색결과 2,410건 처리시간 0.028초

비색법과 HPLC 법에 의한 요중 δ-Aminolevulinic acid의 측정치 비교 (Measurement of δ-Aminolevulinic Acid in Urine by Fluorometric HPLC and Colorimetric Methods)

  • 안규동;연유용;이병국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7-24
    • /
    • 1994
  • 연폭로자에 있어서 연에 의한 생물학적 영향을 평가하는데는 요중 ${\delta}$-ALA 배설량이 아주 좋은 지표로 이용된다. 현재 이것은 Ehrlich's reagent와 ALA-pyrrole의 증색반응으로 측정하는 비색법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aminoacetone 같은 ALA 유사물질에 의하여 요중 배설량이 과다하게 측정된다. 한편 최근 개발된 fluorometric HPLC에 의한 요중 ${\delta}$-ALA 배설량의 분석은 아주 예민하고도 특이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혈중연과 다른 연폭로 지표를 측정하여 연폭로 수준이 다른 117명의 피검자에서 비색법과 HPLC 법에 의한 ${\delta}$-ALA 배설량을 측정하여 두 방법 간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도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색법에 의한 요중의 ${\delta}$-ALA 배설량은 HPLC 법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2.15배, 혈중연 $20{\mu}g/dl$ 이하에서 2.47배, $21-40{\mu}g/dl$에서 2.53배, $41{\mu}g/dl$ 이상에서는 1.86배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2. 비색법에 의한 요중 ${\delta}$-ALA 배설량과 혈중연 및 혈중 ZPP 농도와의 상관은 0.571, 0.629였으며, HPLC 법은 0.610, 0.637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p<0.01). 3. 비색법과 HPLC 법에 의한 요중 ${\delta}$-ALA 배설량 간의 상관은 0.848 이었으며, 요비중으로 보정하였을 때는 0.852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4. HPLC 법에 의한 요중 ${\delta}$-ALA 배설량을 종속변수로 하고 비색버버을 독립변수로 하였을 때 희기방정식은 (ALA-UHP)=-0.245+0.536 (ALA-UCO)(p<0.0001)였으며, 요비중 1.024로 보정하였을 때의 희기방정식은 (SP ALA-UHP)=-0.525+0.599 (SP ALA-UCO)(p<0.0001)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에서 현행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에서 연중독 진단을 행하는 경우 HPLC로 요중 ${\delta}$-ALA 배설량을 측정한다면 연중독 진단 기준의 개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쌀겨 추출물의 항암효과(in vitro) 및 항알레르기 효과 (Anticancer (in vitro) and Antiallergy Effects of Rice Bran Extracts)

  • 최현임;예은주;김수정;배만종;이성태;박정은;박은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297-1303
    • /
    • 2006
  • 본 연구는 쌀겨의 사람유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in vitro)와 사람유래 비만세포주(HMC-1)의 활성 억제효과 및 흰쥐 복강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Hep3B와 HeLa 세포에 대한 형태변화는 쌀겨의 물 추출물과 60% 에탄을 추출물 처리군 모두 농도에 비례하여 암세포의 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시료를 고농도로 처리할수록 사멸세포 형태인 원형의 세포 수가 증가하였다. Hep3B 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능은 쌀겨 물 추출물이 60% 에탄을 추출물보다 높았고, $100{\mu}g/mL$$1,000{\mu}g/mL$ 농도에서 물 추출물이 60% 에탄을 추출물보다 각각 20%, 55% 더 높은 효과가 있었다. HeLa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능은 쌀겨 물 추출물과 60% 에탄을 추출물에서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1,000{\mu}g/mL$$3,000{\mu}g/mL$ 농도에서 물 추출물이 60% 에탄을 추출물보다 각각 5%, 27% 더 높았다. 사람의 비만세포주(HMC-1)에서 $Fc{\varepsilon}RI$, tryptase, c-kit mRNA 발현양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한 결과 GAPDH의 발현양은 대조군과 시료를 처리한 실험군에서 모두 비슷하게 나타났다. 비만세포의 $Fc{\varepsilon}RI$ mRNA와 c-kit의 mRNA 발현양은 쌀겨 물 추출물군보다 60%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많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tryptase mRNA 발현양은 억제하지 못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비만세포의 히스타민 분비에 미치는 영향은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5{\mu}g/mL$ compound 48/80을 처리하였을 때 히스타민 분비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쌀겨 물 추출물 $0.01{\mu}g/mL$에서 약 87%의 억제율을 나타내었고, 에탄을 추출물 $100{\mu}g/mL$에서 약 86%의 억제율을 보였다.

축분 퇴비화 과정 중 퇴비 부숙도를 고려한 암모니아 발생량 산정 (Estimation of Ammonia Emission During Composting Iivestock Manure Based on the Degree of Compost Maturity)

  • 김기연;최홍림;고한종;김치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123-130
    • /
    • 2006
  • 본 연구는 축분 퇴비화시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암모니아 발생량을 퇴비 부숙 단계에 따라 예측할 수 있는 통계적 모델을 제안하는 데 있다. 퇴비의 발아지수를 근거로 퇴비화 단계를 초기, 중기 및 후기로 구분하였으며, 퇴비화시 암모니아 발생에 기여하는 독립변수로 총 질소와 유기물 함량을 선정하였다. 암모니아 농도는 퇴비화 초기에 10ppm 정도의 낮은 농도를 보이다가 중기에 50ppm까지 증가한 후 후기에는 경시적으로 감소하여 다시 10ppm 정도로 저감되는 경향을 보였다. 총 질소와 유기물의 함량은 퇴비화 전체 기간 동안 각각 0.6 ~1.2%, 30~40%의 범위를 보였으며, 퇴비화 중기에 약간 저감되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나 전반적으로 일정한 증감 변화 양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통계적 기법을 적용한 퇴비 부숙 단계별 암모니아 발생량 산정에 있어 암모니아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퇴비화 중기에 독립변수에 대한 계수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가장 낮았던 퇴비화 초기에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퇴비화시 암모니아 발생량 예측 모델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제안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시료 채취 및 분석 자료 연구가 향후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근로자의 뇨중 상피세포에서 32P-postlabeling에 의한 발암물질의 DNA adducts측정방법에 대한 연구 (Study on Measurement of Carcinogen-DNA adducts in exfoliated urothelial cells among workers by 32P-postlabelling methods)

  • 이진헌;노재훈;그린 탈라스카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7
    • /
    • 2000
  • Carcinogen-DNA adduct analysis has potential for biomonitoring the earliest effects of exposure to many chemical carcinogens. They are the covalent reaction products of electrophiles and nucleophilic sites on DNA and the initial damage to DNA induced by many carcinogens. So many researchers begin to use them as biomarker for monitoring the earliest exposure of carcinogens and develop the effective analytical techniques about them. Randerath, Gupta and coworkers(1981, 1982) has also developed a $^{32}P$-postlabelling method as one among them. A major project for biomonitoring workers with carcinogen-DNA adducts is to develop non-invasive samples instead of tissues of target organs such as baldder and lung. This study use the exfoliated urothelial cells in urine for examine benzidine-DNA adducts. The content of exfoliated urothelial cells is not enough to significantly measure DNA content with spectrophotometer, and require the another way. So firstly washing the collected cells with PBS and 70% ethanol and centrifuge them for removing the crystals in urine, which block the isolation of DNA adducts. And then, measure the total nucleotide after $^{32}P$-postlabelling for calculating RAL. $[{\gamma}-^{32}P]ATP$ using for $^{32}P$-postlabelling, can synthesize with $[^{32}P]H_3PO_4$, and reagent and enzyme mixture (RM, EM), which is very economic in case of requiring a lot of them. Chromatography was composed of two steps. First step was to separate adduct ones from unadducted nucleotide, and secondary step was separate each adduct, which were performed with 4 kinds of solvents and different directions on TLC. With this procedure, we measure the DNA adducts in exfoliated urothelial cells of workers who were employed in benzidine and benzidine-dye company. RAL of adducts were $89.0{\times}10^7$ and $57.0{\times}10^7$ in them. In conclusion, we can significantly measure the DNA adduct in exfoliated urothelial cells by using the above $^{32}P$-postlabelling procedures, and use them to be biomonitoring workers who exposed carcinogens.

  • PDF

건축물 유형에 따른 라돈 저감 효과 평가 (Evaluation for Effectiveness of Radon Mitigation on Dwellings and Public Buildings in Korea)

  • 이동현;류승훈;조정흠;서성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18-527
    • /
    • 2014
  • Objectives: The adverse health effects attributed to exposure to radon have been well known over the world. However, the efforts for prevention and mitigation of radon have not been taken in Korea so f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mitigation methods applied for various types of houses and public buildings with high level of radon.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of "National Radon Survey" perform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NIER) in 2010-2012, we selected 30 candidate buildings consisting of 20 houses and 10 public buildings with greater than $148Bq/m^3$ of radon level.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radon in 30 buildings, using E-PERMs and RAD-7 during January to March of 2013. More than five E-PERMs and one RAD-7 per house were installed for seven days. Ten houses and five public buildings were finally chosen to be mitigated after mainly considering the level of radon and the location of buildings nationwide. Three mitigation methods such as Sealing, two types of Active Ventilation(window-shaped and wall-typed ventilations), and Active Soil Depressurization(ASD) were applied, and the concentrations of radon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mitigation, respectively.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mitigation methods, reduction rates of radon were calculated and Wilcoxon's signed-rank test was performed. Results: The mean concentration of 15 buildings just before radon mitigation was $297.8Bq/m^3$, and most of the buildings were located in Gangwon, Chungbuk, Chungnam, and Daegu areas(73.3%), and built in 1959-1998. The level of radon decreased from 48% to 90% and kept the below recommendation limit of $148Bq/m^3$ after installation of radon mitigation. Among mitigation methods applied, the reduction rate(58.7-90.4%) of radon attributed to ASD was the greatest than that of other methods, followed by Active Ventilation(48.4-78.4%) and Sealing(<22%). The effectiveness of radon reduction by window-shaped Active Ventilation(63.2-75.2%) was relatively better than that of wall-typed Active Ventilation(48.4-54.3%).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SD could be more effective for radon mitigation. Moreover, our findings would be background information in future for making the strategy for radon mitigation nationwide, as well as for developing Korean-version of mitigation techniques according to types of dwellings in Korea.

체질량지수(BMI)와 복부지방단층촬영(Fat-CT)의 융합을 통한 인천지역 중년 여성의 비만 검사연구 (A Study on Obesity-related Factors Through the Convergence of Body Mass Index (BMI) and Fat-CT in Middle-aged Women Living in Incheon)

  • 이배원;송재철;하헌영;심상효;심재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9-2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비만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필요한 다양한 관련요인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비만 정책방향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2014년 4월부터~11월까지 인천지역의 N 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건강한 중장년 여성들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동의한 195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신체계측, 체성분검사, 복부 지방분포는 복부지방단층촬영(Fat-CT)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골밀도는 정량적전산화 단층촬영(Q-CT)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복부지방단층촬영 결과 '피하지방' 76명(39%), '내장지방'은 119명(61%)이었으며, 체질량지수(BMI)는 '저체중($18.5kg/m^2$)'은 13명(6.7%), '과체중($25kg/m^2$이상)'은 60명(30.8%), 평균값은 $23.5{\pm}4.11kg/m^2$이었다. 그리고 허리둘레, 확장기혈압, 수축기혈압, 중성지방에서 유의수준 5%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나이가 들수록 근육감소가 복부비만으로 인한 체중 증가를 상쇄시킨다는 점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비만에 대한 차후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이해해야 한다.

한강유역 축분퇴비공장 근로자의 작업환경 만족도 평가 (Evaluation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Working Environment for Workers Engaged in the Composting Plant with Livestock Manure in the Han-river Watershed)

  • 김기연;최홍림;김치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2호
    • /
    • pp.261-27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에 위치한 축분퇴비공장의 작업환경 조사를 위한 현장 평가로서, 설문조사 및 악취물질 측정을 통해 근로자들의 작업환경 만족 수준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축분퇴비공장 근로자들의 작업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 일반 건강수준, 악취, 작업량, 분진, 흡연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중 일반 건강수준, 악취, 작업량이 전체 작업환경 만족도의 61.3%를 대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낸 작업환경변수로는 일반 건강수준(p$<$0.01), 악취 작업량 분진(p$<$0.05) 등 이었다. 결론적으로 일반 건강수준이 높은 근로자일수록 작업환경 만족도가 높았으며, 작업량이 상대적으로 많고 악취와 분진에 쉽게 노출된 공장의 근로자일수록 작업환경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흡연을 하는 근로자는 작업환경 만족도가 낮게 나타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한강유역 축분퇴비공장 근로자들의 작업환경 만족도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공정 중 악취와 분진농도의 발생을 저감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축분퇴비공장의 악취 및 분진농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처리공정 및 관리체계 정립이 시급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축분퇴비공장 작업자의 건강 뿐만 아니라 주변 마을 정주민의 생활환경개선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어린이집 실내·외 석면노출 가능성 조사에 관한 연구 (A Survey on Asbestos Exposure Possibility in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of Childcare Centers)

  • 박화미;손병훈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2-129
    • /
    • 2014
  • Objectives: Because of its properties such as resistance to heat, chemicals and corrosion; tensile strength; sound absorption; and affordable price, asbestos has been widely used as a building material, fire resistant and retardant, thermal and heat insulator, soundproofing material, and electrical insulation. Since the prolonged inhalation of asbestos can cause serious illnesses such as lung cancer, mesothelioma, and asbestosis after an incubation period of 20 to 40 years, the mineral was classified as a Group 1 carcinogen by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an intergovernmental agency forming par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Children and infants are more at risk than are adults if they are exposed to carcinogens, due to aweaker immunity that has not yet been fully developed. Most childcare centers are operated all day and children tend to spend a great amount of time in the centers. This is why it is important for them to be systematically isolated from environments that may expose them to asbestos. Materials: In order to understand both indoor and outdoor hazards to which children may have been exposed, the study focused on actual surveys of asbestos used in childcare centers, paying special attention to slate-roofed buildings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s. Results: A survey of a total of 211 childcare centers showed that the buildings of 18.1% of the centers contained asbestos, with 60.53% of the material being found in classroom ceilings. "Tex" was the most used material for ceilings, making up 89.47% of all ceilings. An outdoor survey showed that childcare cente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had an average of 143 slate-roof buildings within a distance of 1km. Conclusions: Buildings housing mainly toddlers, children, teenagers and others more vulnerable to the toxicity of asbestos are not subject to asbestos investigation by law. A legal and practical basis for asbestos control is required for such buildings. In particular, housing materials which contain asbestos in day care centers require asbestos control. GIS should be used to identify the location of buildings with slate roofing materials in the vicinity of daycare centers in order to gauge toxicity of exposure to asbestos caused by potential asbestos friability possibility in outdoor conditions.

치아크기 계측오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rror of tooth size measurements)

  • 심은주;황현식;문재동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91-501
    • /
    • 1999
  • 본 연구는 석고모형 분석 중 치아크기 측정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줄이고 측정의 재현도와 정확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행되었다. 치아밀집 치열 특징을 지닌 상하악 20조의 석고모형을 대상으로 하여, 5명의 조사자가 각 치아의 근원심 폭경을 디지털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하여 2주 간격으로 3회 측정하여 실험측정치를 얻은 다음, 측정에 이용된 석고모형을 근원심 접촉점 부위에서 개개 치아로 분리한 후,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한 표준치와 비교$\cdot$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회 측정에 따른 재현도는 조사자별 치아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 표준치와 비교한 계측오차는 조사자별 또는 치아별로 차이를 보였다. 3. 표준치와의 오차는 전치에서 구치로 갈수록 증가하여 제1대구치에서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4. 표준치와 비교시 전반적으로 작게 측정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에 대한 치아별, 조사자별 차이가 두드러졌다. 5. 전반적인 오차 발생 정도는 치아밀집 정도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교정증례 분석시 치아크기 계측오차 발생 가능성의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PDF

비대칭적 입식자세에서 상지 조립 작업 시 체간 및 둔부 근육의 좌우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Between Right and Left Muscle Activities of Hip and Trunk During Manual Task in Asymmetric Weight-Bearing Posture)

  • 정지윤;전혜선;이충휘;이정원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79-28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lectromyographic(EMG) activities of trunk and hip muscles between right and left sides while subjects performed prolonged manual task in asymmetric and symmetric weight-bearing posture. Fifteen healthy male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asked to perform bimanual upper extremity task for 6 minutes in two different standing postures. In the symmetric weight-bearing posture, the subjects were standing with evenly distributed body weights to both legs. In the asymmetric weight-bearing posture, the subjects distributed about 90% of their body weight onto their preferred(supporting) leg and 10% of their body weight onto the opposite leg while they were standing. EMG activities of the right and left internal oblique, erector spinae, gluteus maximus, and gluteus medius were measured and normalized as % MVIC. Then the EMG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paired t-tests. The EMG activities of all measured muscl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right and left side in the symmetrical weight-bearing posture(p>0.05). However, the EMG of the supporting side internal obliqu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pposite side(p<0.05), and the EMG of the erector spinae, gluteus maximus, and gluteus medius were significantly greater on the supporting side(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at unbalanced use of right and left muscle possibly causes the changes in muscle length which results in asymmetry of trunk and hip muscles. Furthermore, the uneven weight support onto right and left legs will cause a distortion of viscoelastic ligaments around hip and sacroiliac joints in the long run. Further studies to determine the effect of various manual tasks on the trunk and hip muscles as well as the effect of asymmetrical weight-bearing standing posture on hip and back muscle fatigue may be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