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upational Performance

검색결과 789건 처리시간 0.029초

안전을 고려한 건설사업관리 용역업자(CM) 사업수행능력 평가기준 요인 도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ing Factors For Assessment Criteria of Project Performance Capability of CM(Constuction Management) Considering Safety)

  • 김도수;신윤석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52-53
    • /
    • 2019
  •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the most safety accidents among domestic industries. Special care must be taken because disast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lead to social problems caused by huge property losses and casualties. As a result of this, there is a growing awareness of disasters occurr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government departments are tightening regulations on safety management. In particular, the OSHA(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focuses on the expansion of protection targets and the clarification of responsibility in the full amendment OSHA. As a result, a study that focuses on safety management by client's responsibility is needed. In this study, the project performance capability assessment of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contractors, which is being carried out with uniform assessment criteria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is considered and all the amendments to the OSHA are considered, and the factors were derived for improvement measures.

  • PDF

뇌졸중 환자의 지역사회중심재활서비스: 사례연구 (The Service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in Stroke Patient: A Case Study)

  • 김지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31-43
    • /
    • 2011
  • 목적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통해 지역사회중심재활서비스에 대한 소개와 중재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지난 2009년 7월 처음 내소한 63세 여성 뇌졸중 환자 1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중심 재활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대상자의 일상생활동작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수정바델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를 이용하였고, 우울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Beck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를 사용하였다. 중재 기간은 2011년 4월 27일부터 2011년 11월 30일까지로 세계보건기구에서 제안한 지역사회중심재활서비스와 일반적 작업치료를 제공하였다. 결과 : 환자의 MBI는 35점에서 55점으로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증가하였고, BDI는 26점에서 14점으로 우울증세가 큰 폭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초기 5~10분이던 서기 훈련이 30분 이상으로 늘어난 것으로 보아 근력 및 근지구력도 증가하였다. 치료시간에 환자의 기분변화가 심했던 이전과 달리 안정되고 웃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었다. 보호자 역시 환자가 심리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체감할 수 있었다. 결론 : 지역사회로 복귀한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지역사회중심재활서비스를 적용하여 기능수준 및 삶의 만족도가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특수교육지원센터 치료지원서비스에 대한 견해 - 작업치료 서비스를 받는 보호자를 중심으로 - (Parents Response for the Therapy Support Services Provided by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 Centered on Parents of Occupational Therapy Support Service -)

  • 송민옥;이성자;김훈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1-60
    • /
    • 2010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시행되는 치료지원서비스의 인식, 목적, 특징 및 개선방안을 살펴봄으 로써 치료지원서비스의 전반적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최적의 치료지원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현재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치료지원서비스를 받고 있는 치료지원대상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개별 인터뷰가 진행되었다. 인터뷰는 평균 40분이 소요되었으며, 모든 인터뷰는 녹취되었다. 결과 : 치료지원서비스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이 부족하였고, 치료영역의 전문가가 치료를 담당함으로 인하여 치료사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치료실의 시설 및 교재교구의 다양성으로 인해 질적으로 높은 치료를 받는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모든 연구대상자는 무상교육을 치료지원서비스의 특징으로 꼽았다. 결론 : 작업치료사가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치료지원서비스 전문가로 자리 매김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과 연구 및 대외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 PDF

의료정보 보호행동 실천에 관한 연구 - 병원행정관리자와 작업치료사를 비교 - (A Study on Practice of Protective Actions for Medical Information - A comparison between hospital administrator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

  • 권은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959-1970
    • /
    • 2013
  • 본 연구는 환자 간접 접촉군인 병원행정관리자와 환자 직접 접촉군인 작업치료사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실천도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담당직무별로 비교해 보았을 때는 환자의료정보 보호 관리 감독에 대한 정기적인 교육은 병원행정관리자($3.16{\pm}1.037$)보다는 작업치료사($3.17{\pm}1.129$)가 잘 받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환자 직접 접촉군인 작업치료사($3.52{\pm}.809$)가 환자 간접 접촉군인 병원행정관리자($3.92{\pm}.724$)보다 의료정보 보호행동 실천도는 낮게 나타났다. 작업치료사는 환자와 많은 대화 및 소통을 하는 동안 항상 의료정보 누설의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으면서도, 대부분의 항목에서 의료정보 보호에 관한 관심이 비교적 적고 그 내용에 대해 거의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각 직업군별 맞춤형 교육시스템을 마련하고, 의료정보 보호에 관한 질 관리 활동을 정기적으로 실행하면서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을 하고, 본인들의 수준을 점검하고, 그러한 활동을 통하여 의료정보 보호에 관한 인식을 고취 시킬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한국판 맬버른 저시력 일상생활지수(Melbourne Low-vision ADL Index: MLVAI)의 신뢰도 및 타당도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Melbourne Low-Vision ADL Index)

  • 유연환;박지혁;정민예;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2호
    • /
    • pp.51-61
    • /
    • 2018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호주에서 개발된 수행기반의 관찰평가도구인 Melbourne Low-Vision ADL Index(MLVAI)를 한국 문화에 적합하게 구성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만 20세 이상의 저시력인 26명, 정안인 42명으로 총 68명이었다. 한국판 MLVAI는 번역 검증 및 도구 구성에 대한 전문가 검증을 통해 완성하였다. 한국판 MLVAI의 타당도는 내용타당도, 판별타당도, 수렴타당도 검증을 통해 수립하였고, 신뢰도는 항목에 대한 내적일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사자간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 내용타당도 수립을 위해 저시력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이 시행한 문항적합도 검증에서는 .78이상으로 타당성이 수립되었다. 판별타당도 검증은 저시력 집단의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낮았다(p<.05). 수렴타당도는 Low Vision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LVQOL)을 이용하여 한국판 MLVAL 총점과의 상관계수 .751을 산출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전체 항목에 대한 Cronbach's ${\alpha}$값은 .983으로 높았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976(p<.05), 검사자간 신뢰도는 급간 내 상관계수(ICC2,1) .91로 모두 양호하였다(p<.05). 결론 : 본 연구 결과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한 한국판 MLVAI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모두 갖춘 일상생활 평가도구로 작업치료 중재 시 저시력인의 일상생활활동의 평가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염화비닐 노출 근로자의 요중 Malondialdehyde 농도 수준 (The level of urinary malondialdehyde concentrations in vinyl chloride monomer exposure workers)

  • 김현수;김치년;원종욱;박준호;김광숙;안미현;노재훈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1-88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exposure to vinyl chloride monomer(VCM) induces lipid peroxidation in workers by evaluating the concentration of malondialdehyde(MDA) in the urine in order to assess worker's oxidative stress due to exposure of vinyl chloride monomer. The subjects investigated in the stud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18 workers exposed to VCM, and the control group; 19 workers unexposed to VCM. A gas chromatography/pulsed flame photometric detector(GC/PFPD) was utilized to analyze thiodiglycolic acid(TDGA), which was methylated with trimethylsilyldiazomethane (2.0M in diethyl ether) in urine and the urinary MDA, the product of lipid peroxidation, was determin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ltraviolet-visible detector after derivatized with 2,4-dinitrophenylhydrazine(DNPH). The concentrations of urinary TDGA in controls and VCM exposure workers were 0.13(2.01)mg/g Cr. GM(GSD) and 0.35(1.96)mg/gCr. GM(GSD),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urinary MDA were $0.12(2.21){\mu}mol/gCr$. GM(GSD) in controls and $1.35(1.79){\mu}mol/gCr$. GM(GSD) in VCM exposure workers. As a result of simple regressions analysis between urinary concentration of TDGA and MDA in VCM exposure workers, it was found that the $R^2$ value was 0.261 (p=0.03) and the drinking and smoking did not affect their level. In conclusion, the workers exposed to VCM have a potentially to suffered by oxidative stress due to VCM exposure and the urinary MDA can be applicable to the marker of effect to assess the level of worker's VCM exposure.

과제지향적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기민성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on Dexterity of Affected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and ADL in Stroke Patients)

  • 엄숙;김수경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5-66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과제지향적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기민성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15명의 뇌졸중 편마비 환자를 선정하여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사용하였다. 대상자는 동영상을 통하여 과제지향적 동작수행을 관찰한 후 동작을 반복적으로 모방 연습하였다. 훈련은 주 3회, 회당 20~30분, 3주간 실시하였다. 환측 상지기민성에 대해 MFT, 10초 검사, 박스와 나무상자 검사를 시행하였고, 일상생활활동은 MBI, MAL을 수행하였다. 전, 후 비교는 윌콕슨 부호순위검정를 사용하였다. 결과 : 훈련 후, 대상자의 환측 상지기민성은 훈련 전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일상생활활동 또한 훈련 전과 훈련 후에 유의미한 증진을 보였다. 결론 : 과제지향적 과제를 적용한 동작관찰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기민성과 일상생활활동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동작관찰훈련을 작업치료 중재 유형의 한 전략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 PDF

로봇보조(Robot-assisted)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bot-assisted Therapy on Function of Upper Extremity in Stroke Patients)

  • 황선정;유두한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3-42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로봇보조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뇌졸중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발병 12개월 이내의 입원 환자 4명과 발병 12개월 이후의 외래환자 7명에게 각각 5~6주간 로봇보조 치료를 실시하였다. 로봇보조 치료는 상지기능 훈련을 위한 다양한 운동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는데, 그 중 앞으로 팔 뻗기 훈련을 통해 환자의 능력에 적합한 운동모드를 치료사가 선택하여 이루어졌다. 환자는 30분간 3차원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모니터를 바라보며 앞으로 팔뻗기 운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였다. 대상자들의 상지기능 변화를 위해 장악력 검사(Grip strength test), 한글판 울프운동기능검사(Korean-Wolf Motor Function Test: K-WMFT), 상자와 나무토막검사(Box & Block Test: BBT)와 팔 뻗기 수행시간을 중재 전 후에 측정하였다. 결과 : 로봇보조 치료를 통한 상지기능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중재 전 후의 측정값의 변화량을 비교하여 살펴본 결과, 연구 대상자 모두에서 결과값의 향상을 보였다. 통계적인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윌콕슨 부호 순위 검증을 실시한 결과, 외래환자의 장악력과 상지기능, 기민성, 수행시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입원 환자의 경우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 : 로봇보조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본 연구를 기초로 작업치료 영역에서도 로봇보조 치료를 통한 중재적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을 위한 로봇보조 치료의 유용한 사용이 기대된다.

  • PDF

작업치료사를 위한 운동성 평가도구의 교육효과 (The Effect of Education on Motor Skill Assessment Tool for Occupational Therapists)

  • 최정실;김민주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3-72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운동발달을 평가하고, 발달성협응장애를 판별할 수 있는 운동성 평가도구인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2(MABC-2)을 활용하기 위해 6시간의 교육과정을 통하여 작업치료사의 평가역량이 향상될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 MABC-2를 임상에서 사용하길 희망하는 작업치료사 33인이 참여하였다. MABC-2 전문가 2인이 교육 참여자들에게 6시간의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론 강의(2시간)는 MABC-2 소개와 운동평가도구의 연구동향, 실습강의(4시간)는 MABC-2 평가항목 소개, 녹화된 평가 장면 관찰, 도구를 사용하여 직접 평가실습을 경험한 후 준비된 사례영상을 보고 채점과 결과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모든 교육과정을 마친 후 MABC-2의 전문가 1인과 교육에 참여한 작업치료사 33명이 동시에 평가동영상 샘플을 보면서 평가지에 원점수를 기록하였다. 이중 운동성 평가도구의 경험이 없는 23인의 자료를 활용해 평가자간 신뢰도를 산출하여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 참여한 작업치료사는 평균 5년 3개월의 경력을 지닌 30세 이상의 여성으로 약 70%의 교육생은 MABC-2 외에 국내에서 사용 중인 운동성 평가도구를 임상에 적용해 본 경험이 없었다. MABC-2 전문가가 제공한 교육을 받은 작업치료사들과 전문가 간의 ICC 결과는 .95이상으로 높은 평가자간 신뢰도가 확보되었다(p<.001). 결론 : 이론과 실습으로 구성된 6시간의 교육과정에 참여한 작업치료사의 평가자간 신뢰도가 .95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운동기술 평가도구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평가역량이 향상되었다. 이를 통하여 MABC-2에 관한 특정한 교육을 제공할 경우 작업치료사가 새로운 평가도구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평가와 관련한 직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성인 발달장애인 대상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작업치료 프로그램이 일상생활활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an Instrumental Daily Living Activities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Their Daily Living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 정은화
    • 재활치료과학
    • /
    • 제13권2호
    • /
    • pp.85-94
    • /
    • 2024
  • 목적 :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하였을 때 일상생활활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실험설계로, E 장애인복지관의 성인 발달장애인 17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프로그램은 사전-사후 평가를 포함하여 총 10회기로 이루어졌으며, 장보기, 식사준비 및 정리, 가정관리, 안전 및 응급관리와 관련된 훈련 및 교육을 제공하였다. 평가도구는 삶의 질 설문지(Quality of Life: QOL), 한국어판 생활공간 평가(Korean version of the Life Space Assessment: K-LSA), 한국어판 수단적 일상생활활동(Korean version of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을 사용하였다. 결과 :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작업치료 프로그램 전과 후의 QOL과 K-IADL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K-LSA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인 대상으로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프로그램을 시행함으로써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도와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성인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 및 사회참여를 영위하기 위해 일상생활활동 훈련을 포함한 작업참여의 중재가 확대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