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upation performance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2초

신경발달 장애 아동의 지하철 이용하기 작업에 대한 작업기반 중재의 적용 (Application of Occupation-Based Practice for Neurodevelopmental Children's Subway Use)

  • 라대엽;공명자;장기연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7-41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신경발달 장애 아동들에게 작업기반(occupation-based) 중재를 그룹 프로그램으로 적용하여 작업 수행의 질, 수행도 및 만족도,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신경발달 장애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ADOC-S(Aid for Decision making in Occupation Choice-School) 및 COPM(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을 사용하여, 모든 클라이언트에게 의미 있고 공통된 작업 목표를 수립 하였다. '지하철 이용' 작업수행 분석한 후에 PQRS(Performance Quality Rating Scale)를 사용하여 작업수행의 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작업기반 중재는 가장 자연스럽고 실제생활과 비슷한 상황에서 의미 있는 작업을 직접 수행하며 진행되었다. 실험은 사전 평가 1회기, 중재기는 주 1회, 회기당 100분, 8주간, 총 8회기 진행되었고 사후 평가 1회기 실시되었다. 결과 : 작업수행의 질인 PQRS에서는 중재 전에 비해 중재 후 38.10의 증가를 보였다. 유지, 보상 및 적응접근을 적용하여 초기 회기(1~4회기)에 큰 증가율이 나타났다. COPM의 수행도는 중재 전에 비해 5.80, 만족도는 7.00의 증가가 나타났다. 또한 보호자 인터뷰를 통한 프로그램 만족도에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결론 : 작업기반 중재는 신경발달장애 아동의 작업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방법이며, 수행도 및 만족도, 프로그램 만족도에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신경계 재활에서의 작업기반중재(occupation based intervention)에 관한 고찰 (The Reviews of Occupation Based Intervention in Neurorehabilitation)

  • 이미지
    • 재활치료과학
    • /
    • 제6권2호
    • /
    • pp.29-36
    • /
    • 2017
  • 서론: 작업기반중재는 신경계 질환의 클라이언트에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해서 작업기반중재의 이론적 배경, 정의 및 범위를 알아보고 실제 작업치료중재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신경학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론: 작업기반중재는 작업기반실행을 바탕으로 다양한 치료적 요소들이 자연스러운 환경 내에서 클라이언트가 적절한 수행을 하는 것이다. 즉, 클라이언트의 실제적 환경에서 의미 있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중재를 적용하는 것으로, 이 때 의미 있는 작업이란 클라이언트가 동기를 가지고 작업을 선택한 것으로 규칙적이고 반복적이어서 작업의 수행이 습관성이 있다. 결론: 작업기반중재는 클라이언트의 동기와 습관 그리고 실제 환경에서의 적용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각각의 요소는 다양한 신경학적 근거에 기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 신경계 재활에서 세요소가 포함된 작업기반중재의 활용이 필요할 것이다.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과 경 두개 직류 전류 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ccupation-Based Bilateral Upper Extremity Training an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Upper Limb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김선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520-53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과 경 두개 직류 전류 자극이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훈련과 경두개 직류전류자극을 실시한 실험군 13명,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훈련만 실시한 대조군 13명으로 나누어 총 4주간, 50분씩, 주 5회 실시하였으며, 캐나다 작업수행 평가(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가속도계 (Accelerometer), 퍼글 마이어 검사(Fugle-Meyer Assessment;FMA), 운동 홛동 척도(Motor Activity Log;MAL)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은 작업 만족도와 수행도, 환측과 건측의 사용량, 상지 기능의 회복과 움직임의 질에서 모두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으며, 특히, 환측 사용량에서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과 경 두개 직류 전류 자극의 결합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회복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이 뇌졸중 재가 장애인의 일상생활과 작업수행 기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Occupation-Based Community Rehabilitation for Improving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and Activity Daily Living of Stroke Home Disabled People: A Single Subject Design)

  • 문광태;박혜연;김종배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2호
    • /
    • pp.99-117
    • /
    • 2020
  • 목적 :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는 뇌졸중 장애인을 대상으로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이 뇌졸중 장애인의 작업수행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작업 수행의 질과 만족도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단일대상연구(Single subject research)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고, 뇌졸중 진단을 받은 심한 장애인 1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과정은 2019년 5월 21일부터 2019년 9월 7일까지 17주간 총 25회기(기초선 A 5회기, 중재 기간 B 14회기, 기초선 기간 A' 5회기, 추적 기간 1회기)로 진행하였다. 중재는 연구자가 대상자의 집으로 방문하여 진행되었다. 작업치료중재과정모델에 따라 중재 모델 선정 및 적용하였으며, 중재에는 과제 제공 및 피드백, 관련 정보 교육, 가정환경 수정, 지역자원 연계가 포함되었다.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한 이후 일상생활에서 작업수행기술의 빈도 변화, 작업수행 만족도,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추적 관찰하였다. 결과는 선형그래프와 막대그래프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손 닿는 곳의 상의 입기, 침대에서 양말과 실내화 신기, 의자에 앉아 신발 신기 기술과 일상생활활동이 향상되었다. 작업수행기술 평가 결과 대상자의 작업수행 기술의 질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작업수행 만족도 또한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장애인의 작업수행기술을 향상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 작업수행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뇌졸중 대상자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장애 유형별로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이 보편화 되기를 기대해 본다.

피트니스 클럽 지도자의 감정노동에 의한 직업성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ccupation Performance of the Leader of Fitness Club by Emotional Labor)

  • 윤재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81-390
    • /
    • 2020
  • 스포츠 지도자는 수강생과 직접 접촉하여 운동을 지도하기 때문에 다른 직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정노동이 높은 직업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업무효율을 높이기 위해 체계적인 감정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이러한 감정노동이 조직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피트니스 클럽 지도자를 대상으로 감정노동과 직무몰입 및 직업성과 요인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총 227부를 회수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집중타당도 분석, 판별타당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트니스 클럽 지도자의 감정노동은 직무몰입에 부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트니스 클럽 지도자의 감정노동은 직업성과에 부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몰입은 직업성과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트니스 클럽 지도자의 감정노동은 탈진을 일으키고 이는 직무몰입을 낮아진다. 또한 궁극적으로 조직의 성과를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감정 관리를 잘할 수 있도록 상담 프로그램이나 취미 활동 마련, 보상제도 마련 등 다양한 제도를 현실에 맞게 활용하여 감정노동을 낮출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간호인력의 배치에 영향을 미치는 간호사의 간호행위 인지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Level of Nursing Activities of Staffing the Nursing Unit)

  • 박청자;이경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93-205
    • /
    • 1994
  • The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degree of perception in nursing activities.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 composed of 5 point rating scale measure the ideal level and the performance level of nurses activity.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percentage, MANOVA and ANOVA were 231 nurses in 3 general hospitals in Taegu. Data was administrated from October 4 through 14, 1994. The results were as follow : 1. The average mean score for the ideal level was 4.19 with a maximum possible score 5points. The highest mean score was Infection Controll and the lowest mean score was nutrition The average mean score for the performance level was 3.75, the highest mean score was fluid and electrolyte, the lowest mean score was nutrition. In the desirable nursing pergormance, Education was found the highest response above charge nurse, Medication was found the highest response above General nurse, environment was found the highest response above aide. 2. I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al level and th performance level, significant defference was found in age, position, career, marital status, occupation satisfaction, Nursing unit, parent. 3. I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al level and the performance level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marital status in the ideal level of direct nursing car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ge, position, marital status, nursing unit in the ideal level of indirect nursing car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ge, position, career, marital status, occupation satisfaction, nursing unit in the performance level of direct nursing car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ge (25-29) and above 30 career(4-7 and 7), occupation satisfaction(good and moderate, good and poor) in scheffe test of the performance level of direct nursing care.

  • PDF

오차배제학습과 시간차회상을 이용한 작업기반 훈련이 경도 혈관성 치매환자의 과제 수행능력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개별실험 연구 (The Effects of Occupation-based Training With Errorless Learning and Spaced Retrieval on Task Learning and Satisfaction of People With Mild Vascular Dementia: Single Subject Research)

  • 이은영;박혜연;김종배;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1호
    • /
    • pp.51-62
    • /
    • 2018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오차배제학습과 시간차회상을 이용한 작업기반 훈련이 경도 혈관성 치매환자의 과제학습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치매 진단을 받은 경도 인지 수준의 환자 3명을 대상으로 ABA' + follow-up 설계를 사용하였다. 중재기간동안 오차배제학습과 시간차회상을 이용한 작업기반훈련을 적용하였으며, 매회기마다 과제학습 정도를 측정하였고, 중재 전과 후에 만족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분석은 그래프를 통한 시각적 분석과 막대그래프를 통해 제시하였다. 결과 : 오차배제학습과 시간차회상을 이용한 작업기반 훈련 후 모든 대상자의 과제수행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중재 후 만족도 또한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초기 혈관성 치매환자에게 오차배제학습과 시간차회상을 이용한 작업기반 훈련이 과제학습과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임상적 적용을 위한 근거를 제공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의료기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만족도의 영향요인 비교 :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and Satisfaction of Medical Technician : Focus on Incheon Area)

  • 이은모;안성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1권6호
    • /
    • pp.627-63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job stress,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performance feelings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physical therapists, and medical laboratory technologists working at universit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The subjects were 114 general practitioners and 217 university hospital workers who are engaged in occupations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physical therapists, and medical laboratory technologists in the age groups 20-50 years living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pril 1, 2017 to April 30,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WIN 23 statistical program.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ob stress of medical technician by age, marriage, occupation, hospital size, position, parenting form, employment type, and lunch break. Job stress by occupation was highest in medical laboratory technologists, followed by radiological technologists and physical therapists. Job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among physical therapists. followed by radiological technologists and medical laboratory technologis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occupation, parenting form, type of employment, and lunch break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order to reduce th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medical technician working at the hospital, the development of the job environment should be sought and the hospital should also be removed from the authoritarian management system.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치과위생사 직무인식과 교과목 관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dental hygienist job awareness and view of college courses amongs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 황미영;원복연;신명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939-949
    • /
    • 201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job awareness of dental hygiene students about a dental hygienist, what duties they wanted to do as dental hygienists, their awareness of college courses related to the job performance of dental hygienists and whether they viewed the courses as what's most widely utilized for the clinical job performance of dental hygienists. It's ultimately meant to help provide good education for dental hygiene students to have the right understanding of dental hygienists and bolster their professionalism.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1 dental hygiene students in four different colleg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personal characteristics, awareness of college courses and awareness of the duties of dental hygienists. Results : The group of students who deemed the life span of the dental hygienist occupation to be long put more significance on the college courses that should focus on job performance.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awareness of the college courses, their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and their ideas on the life span of the occupation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at. The group of students who considered the life span of the occupation to be longer thought that the college courses would be more linked to the duties of dental hygienists and their job performance and should be given more weight,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in their view of the life span of the occupation and awareness of the college courses that should be given more weight(p<.05). Their view of how much the college courses would be linked to the duties of dental hygienis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o that of the college courses that should focus on the clinical job performance of dental hygienists. Conclusions :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 that as part of the regular curriculum, the kind of education that aims at boosting the professionalism and job performance of dental hygienists as experts should be provided for dental hygiene students to build the right values as professional dental hygienists.

과적응 감소를 위한 주성분 분석 및 독립성분 분석을 이용한 MLLR 화자적응 알고리즘 개선 (Improvement of MLLR Speaker Adaptation Algorithm to Reduce Over-adaptation Using ICA and PCA)

  • 김지운;정재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539-544
    • /
    • 2003
  • 본 논문은MLLR (Maximum Likelihood Linear Regression)를 화자 적응시 과적응 방지를 위해 트리 구조에서 HHM 파라메타의 변환을 결정하는 점유 문턱값 (occupation threshold)의 영향을 감소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데이터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주성분 분석과 독립성분 분석을 통해 모델 혼합성분의 상관관계를 줄이고 상대적으로 데이터의 분포가 적은 축을 삭제함으로써 적은 적응데이터에 의한 과적응의 영향을 감소시켰다. 점유 문턱값을 작게 설정함으로써 변환함수의 수를 증가시켰을 경우, 기존의 MLLR 알고리즘은 과적응에 의해 화자 독립 모델보다 낮은 인식률을 나타내는 반면, 제안한 MLLR알고리즘은 화자 독립 모델의 성능에 비해 평균 2%이상 인식율 향상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