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upancy density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4초

재실밀도의 변화에 따른 건물에너지 사용량 분석을 위한 예비조사 (A Preliminary Study the Effect of Occupancy Densities on Building Energy Consumption)

  • 최종대;윤근영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30-133
    • /
    • 2011
  • This paper reports the Survey results from a field monitoring study of office occupancy densities. The field measurement of a office in Yongin was carried out from 19 September to 30 September 2011. The survey has an aim to reveal th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relationship between occupancy densities of a realistic office and the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showed that hourly occupied density of the previous studies is more higher than a field surve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ce occupancy densities on annual heating and cooling energy consumption using EnergyPlus. Heating and cooling consumption was raised because of the increased occupancy density. therefore, accurately measure the occupnacy schedule is important in order to reduce excessiv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and is an significant element to be considered in the energy simulation.

  • PDF

속도를 이용한 ALINEA 모델 보완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of ALINEA Model Using Speed)

  • 조한선;이준;이호원;김은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73-80
    • /
    • 2008
  • ALINEA는 램프의 하류부에 설치된 검지기를 이용하여 최적의 차량점유율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입램프의 교통량을 조절하는 방안으로 검지기를 이용한 차량의 점유율을 제어 변수로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루프제어기 점유율의 정확도가 비교적 낮다는 점과 점유율은 검지기 길이의 함수로서 ALINEA의 적용 시 설치 지점마다, 그리고 검지기 길이마다 최적 점유율 보정과정이 필요한 점을 감안할 때 현재 사용 중인 ALINEA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관리자와 이용자 측면에서 점유율이 사실상 인지하기 어려운 변수임을 감안할 때 쉽고 간편한 변수의 사용을 통한 모형개발이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ALINEA 알고리즘의 기본 개념을 이용하되 제어변수인 점유율을 이용할 때의 불편한 점 및 단점을 일부 개선시킬 수 있는 속도 변수를 이용하여 ALINEA 모델을 보완하고자 한다.

부산항과 연계된 고속도로의 차로별 점유율과 밀도의 상관분석에 관한 연구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Lane Occupancy and Density in Expressways Connected with the Busan Port)

  • 김태곤;허인석;박배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535-541
    • /
    • 2013
  • 일반적으로 고속도로는 대용량의 교통량을 높은 수준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가지고 고속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건설되었다. 국내 경부고속도로와 남해고속도로는 부산항을 기 종점으로 하는 핵심고속도로로 컨테이너차량을 포함한 수출입화물트럭의 집중으로 교통문제가 종종 발생하고 있어서 교통문제 완화를 위해서는 교통특성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부고속도로와 남해고속도로의 8차로 기본구간을 대상으로 차로별 점유율과 평균밀도의 상관관계를 통해 고속도로의 밀도추정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구형 집합주택의 거주후평가 연구 - 은평뉴타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Block Housing -Focused on The Block Housing in Eunpyeong New Town, in Korea -)

  • 박중현;추선경;강부성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3-77
    • /
    • 2009
  • The block housing type is coming to fore as a 'low-rise high-density housing type', which can resolve the all sorts of problem caused in Korea apartment housing complex and single-detached residental area in terms of livability, urbanity, and communit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lock housing, the block housing in Eunpyeong New Town, in Korea was analyzed as a sample for post occupancy evaluation. The analysis show that the block housing is useful low-rise and high-density housing type, which ensures the livability as well as the urbanity and community. In details the analysis also shows the user satisf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iving and facility use within the block housing and individual unit.

  • PDF

점유율 특성을 이용한 도시고속도로의 서비스수준(LOS) 평가에 관한 연구 (LOS Evaluation of Urban Freeway by the Occupancy Characteristics)

  • 김태곤;문병근;조인국;정유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3D호
    • /
    • pp.335-345
    • /
    • 2009
  • 일반적으로 도로시설의 기본구간에 대한 서비스수준(LOS)의 효과척도로 밀도가 사용되지만, 도로시설의 현장에서 관측된 관측밀도와 교통특성자료로부터 산정된 산정밀도사이에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도로시설의 서비스수준을 제대로 나타낼 수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대상 도시고속도로의 본선구간 상에 관측기기를 설치하여 실시간의 교통특성 자료(교통량, 속도, 점유율, 차두시간, 차두거리 등)를 수집 조사하고, 수집 조사된 교통특성자료의 상호관계로부터 연구대상 기본구간 상의 최대 교통류율을 비교 분석하며, 비교 분석된 최대 교통류율을 중심으로 각 서비스수준별 점유율과 v/c비율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도시고속도로의 기본구간에서 서비스수준의 평가기준을 산정 평가하고자 하는데 있다.

할인점 지하매장의 피난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The Improvement of Evacuation Performance for Discount-Store in Underground)

  • 김영일;윤명오;김종훈;김운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93-99
    • /
    • 2001
  • 본 연구는 현재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대형 할인점의 지하 매장에 대한 피난성능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할인매장의 건축적 공간 특성 및 피난 상 문제점 분석 지하매장의 거주밀도 분포조사 피난용량 적정성 검토를 위한 피난 시뮬레이션 연구결과, 매장의 실질적인 수용인원을 기준으로 적정피난용량을 결정해야 하며, 피난동선상에 있는임시 판매대, 쇼핑 카트, 그리고 피난층의 계산대가 피난에 중요한 장애요소로서 이에 대한 개선과 제도적 정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피난시간을 기준 한 성능기준 피난설계 분석결과, 사례분석 대상 지하매장은 적정피난용량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부분 전하의 의미와 정의 (Meaning and Definition of Partial Charges)

  • 조승주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231-236
    • /
    • 2010
  • Partial charge is an important and fundamental concept which can explain many aspects of chemistry. Since a molecule can be regarded as neclei surrounded by electron cloud, there is no way to define a partial charge accurately.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define these seemingly impossible parameters, since they would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molecular properties such as molecular dipole moment, solvation, hydrogen bonding, molecular spectroscopy, chemical reaction, etc. Common methods are based on the charge equalization, orbital occupancy, charge density, and electric multipole moments, and electrostatic potential fitting. Methods based on the charge equalization using electronegativity are very fast, and therefore they have been used to study many compounds. Methods to subdivide orbital occupancy using basis set conversion, relies on the notion that molecular orbitals are composed of atomic orbitals. The main idea is to reduce overlap integral between two nuclei using converted orthogonal basis sets. Using some quantum mechanical observables like electrostatic potential or charge multipole moments. Using potential grids obtained from wavefunction, partial charges can be fitted. these charges are most useful to describe intermolecular electrostatic interactions. Methods to using dipole moment and its derivatives, seems to be sensitive the level of theory, Dividing electron density using density gradient being the most rigorous theoretically among various schemes, bears best potential to describe the charge the most adequately in the future.

Hue-assisted automatic registration of color point clouds

  • Men, Hao;Pochiraju, Kishore
    •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 /
    • 제1권4호
    • /
    • pp.223-232
    • /
    • 2014
  • This paper describes a variant of the extended Gaussian image based registration algorithm for point clouds with surface color information. The method correlates the distributions of surface normals for rotational alignment and grid occupancy for translational alignment with hue filters appli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surface normal histograms and occupancy grids. In this method, the size of the point cloud is reduced with a hue-based down sampling that is independent of the point sample density or local geometry.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use of the hue filters increases the registration speed and improves the registration accuracy. Coarse rigid transformations determined in this step enable fine alignment with dense, unfiltered point clouds or using Iterative Common Point (ICP) alignment techniques.

두만강 하류 밀강 지역의 산림성 포유류 풍부도와 점유율 (Abundance and Occupancy of Forest Mammals at Mijiang Area in the Lower Tumen River)

  • 이해룡;최창용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29-438
    • /
    • 2023
  • 두만강 하류의 숲은 북한, 중국, 러시아를 연결하는 중요한 산림생태계로서, 국제적인 멸종위기종인 호랑이(Panthera tigris)와 표범(Panthera pardus)을 포함한 다양한 야생동물들에게 서식환경과 이동경로를 제공하여 준다. 본 연구는 두만강 하류, 특히 중국과 북한을 연결하는 잠재적인 생태통로로서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보전과 복원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밀강 지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9년 5월부터 2021년 5월까지 이 지역에 설치한 48대의 무인센서카메라를 통해 출현하는 포유류 종을 확인하고 그들의 상대개체수와 점유율 및 분포 현황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 결과 총 18종의 포유류가 밀강 지역에 서식하고 있으며, 그 중에는 호랑이와 표범 등 대형 육식동물도 포함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지역의 주요 포유류인 유제류 4종에 대한 점유율과 탐지율, 분포를 추정한 결과, 특히 노루(Capreolus pygargus)와 멧돼지(Sus scrofa)가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노루는 모든 지역에 분포하며 예측 점유율은 0.97로 높게 나타났으나, 고도, 도시 주거용지, 패치 밀도 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멧돼지는 0.73의 예측 점유율을 보이며 전 지역에 분포했으며, 습지 비율, 방목 강도, 사면에 대한 공간이질성 등의 인자가 점유율과 탐지율에 영향을 주었다. 꽃사슴(Cervus nippon)의 예측 점유율은 0.48로서 특정 지역에 국한되어 분포하였으며, 경사도와 서식지 파편화 다양성이 탐지율에, 방목 강도와 개방된 숲의 비율이 점유율에 각각 영향을 주었다. 고라니(Hydropotes inermis)는 아주 낮은 점유율(0.06)을 보이며 두만강 유역을 따라 분포했으며, 고도가 낮은 곳의 점유율이 높고 사면의 공간이질성이 높은 곳에서 탐지율이 높았다. 본 연구는 밀강 지역이 두만강 하류의 다양한 포유류 개체군을 유지하는 서식지인 동시에, 동물의 이동성과 서식지의 연결성을 유지하는 잠재적 생태통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점유율 예측 모형은 향후 인간의 교란에 노출된 두만강 유역의 포유류 분포를 예측하고 국경지대의 생태통로를 파악하고 보호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