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lusal adjustment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3초

수복 공간이 부족한 환자에서의 완전구강회복 (Full Mouth Rehabilitation in a Patient with Limited Restorable Space)

  • 임광길;김대곤;조리라;박찬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2호
    • /
    • pp.145-156
    • /
    • 2010
  • 치아 우식, 치주 질환, 치아 파절 등으로 다수의 구치가 상실된 환자의 경우 대합치의 정출, 잔존 치아의 과도한 교합 하중으로 인한 교합 외상의 문제가 발생된다. 대합치 정출이 발생된 경우 인접 조직의 성장도 이와 동시에 발생되고 보철을 위한 악간 공간의 상실을 동반하게 되며 교합 외상으로 인한 치아에 동요도 증가 및 교모에 의한 마모도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구치의 다수 상실, 대합치 정출 및 잔존치의 교모 증가를 동반한 환자에 있어서는 적절한 치주 수술(치관 연장술, 골 절제술 등) 및 수직 교합 고경의 회복을 통한 잔존 치아와 상실된 치아의 수복이 필요하게 된다. 본 증례의 환자는 상실된 구치의 수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로 구치부 상실 및 잔존치의 마모된 치열을 지녀보철 수복을 위한 공간을 위해 수직고경을 증가시켜 치료한 치험예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Simulated occlusal adjustments and their effects on zirconia and antagonist artificial enamel

  • Alfrisany, Najm Mohsen;Shokati, Babak;Tam, Laura Eva;De Souza, Grace Mendonca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1권3호
    • /
    • pp.162-168
    • /
    • 201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occlusal adjustments on the surface roughness of yttria-tetragonal zirconia polycrystal (Y-TZP) and wear of opposing artificial enamel. MATERIALS AND METHODS. Twenty-five Y-TZP slabs from each brand (Lava, 3M and Bruxzir, Glidewell Laboratories) with different surface conditions (Control polished - CPZ; Polished/ground - GRZ; Polished/ground/repolished - RPZ; Glazed - GZ; Porcelain-veneered - PVZ; n=5) were abraded (500,000 cycles, 80 N) against artificial enamel (6 mm diameter steatite). Y-TZP roughness (in ${\mu}m$) before and after chewing simulation (CS) and antagonist steatite volume loss (in $mm^3$) were evaluated using a contact surface profilometer. Y-TZP roughness was analyzed by thre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steatite wear by two-way ANOVA and Tukey Honest Difference (HSD) (P=.05). RESULTS. There was no effect of Y-TZP brand on surface roughness (P=.216) and steatite loss (P=.064).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P<.001) between surface condition and CS on Y-TZP roughness was observed. GZ specimens showed higher roughness after CS (before CS - $3.7{\pm}1.8{\mu}m$; after CS - $13.54{\pm}3.11{\mu}m$), with partial removal of the glaze layer. Indenters abraded against CPZ ($0.09{\pm}0.03mm^3$) were worn more than those abraded against PVZ ($0.02{\pm}0.01mm^3$) and GZ ($0.02{\pm}0.01mm^3$). Higher wear caused by direct abrasion against zirconia was confirmed by SEM. CONCLUSION. Polishing with an intraoral polishing system did not reduce the roughness of zirconia. Wear of the opposing artificial enamel was affected by the material on the surface rather than the finishing technique applied, indicating that polished zirconia is more deleterious to artificial enamel than are glazed and porcelain-veneered restorations.

교합안정장치를 이용한 이갈이의 치료 (TREATMENT OF BRUXISM USING THE OCCLUSAL SPLINT)

  • 백병주;이선영;양연미;김재곤;전영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86-591
    • /
    • 2002
  • 이갈이(bruxism)는 일반적으로 주간의 이악물기(clenching)와 야간의 이갈이(grinding)를 포함하는데 이악물기는 상하악의 정적인 관계에서 대합하는 치열이 힘있게 다물어지는 것을 의미하고 이갈이는 하악의 편심운동시에 상하악이 동적인 관계에서 힘 있게 다물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갈이의 원인은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지만 가장 큰 요인으로 정서적 스트레스를 들 수 있고, 수면장애나 약물, 중추신경장애 등을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이갈이의 치료는 근본적인 치료법은 아직까지 없으나 정서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교합조정이나 교합안정장치, 약물요법, 물리치료 등을 통해서 이갈이의 증상 및 징후를 치료하는 것이 치료의 목표가 된다. 본 증례는 이갈이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교합안정장치를 통하여 이갈이가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가상환자 데이터세트를 기반으로 악관절과 심미를 고려한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 (From TMJ to 3D Digital Smile Design with Virtual Patient Dataset for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 이수영;강동휘;이도연;김희철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1-90
    • /
    • 2021
  • 가상 환자 데이터 세트는 단일 환자로부터 획득한 구강스캔 안면스캔 전신스캔 하악운동경로데이터 등 다양한 소스의 진단 데이터를 하나의 3차원 좌표계로 정렬한 데이터의 집합이다. 치과의사는 가상 환자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다양한 치료 계획을 가상공간상에서 시뮬레이션 할 수 있으며, 가상 환자 데이터 세트에서 환자의 미소를 디자인 후 그 결과를 시뮬레이션하고 최적의 치료결과를 선택할 수 있다. 가상공간에서 선택된 치료 계획은 3D 프린팅, 밀링, 사출 성형과 같은 제조 기술을 사용하여 환자에게 동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이러 치료 계획의 전달은 임시 수복물 제작 및 환자의 구강 내에서 목업 확인을 통해 최종 보철물 제작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단 데이터, 중첩 및 가공의 정확도가 보장된다면 3차원 가상공간 상에서 시뮬레이션된 3D 디지털 스마일 디자인을 실제 환자에게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가상환자데이터세트의 임상적용방법으로 동기능적교합측정 검사를 통해 교합조정치료를 치료계획에서 배제할수 있는 의사결정방법과, 턱관절질환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측만증 환자의 턱관절 치료전후 전신스캔 비교분석방법, 그리고 전악수복증례인 상하악 총의치환자 진료시 가상환자데이터세트에 기반한 교합평면분석 및 디지털심미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교합조정 (Occlusal Adjustment)

  • 허영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7권3호
    • /
    • pp.189-193
    • /
    • 2001
  • 교합조정은 비가역적인 술식이므로 예방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환자가 증상을 호소하거나 환자의 구강검사시 교합간섭으로 인한 증상이 확인된 경우라도 자연치에서의 교합조정술은 반드시 신중을 기해야 한다. 교합조정술을 시행하기 전에 먼저 하악의 위치가 안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하고 이를 위해 치과의사는 하악의 중심위에 대한 이해와 중심위로의 하악유도 방법에 대한 숙지도 필요하다. 또한 심한 악관절 장애나 통증 및 불안정한 하악의 위치를 보이는 경우 구강내 교합상이나 교합 안정장치가 선행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교합조정술을 시행해야 하는 치과의사 자신이 교합조정술에 대한 지식을 충분히 습득하고 있어야 하며, 교합조정술의 적응증을 분명하게 확인한 뒤 조심스럽고 정확하게 시술을 시행해야 한다. 즉, 잘못된 교합조정으로 오히려 교합간섭을 야기할 수도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그러나 교합조정에 대해 올바로 이해하고 일반적인 교합조정의 원칙을 지켜 정확히 시행한다면 교합조정은 결코 환자에게 해를 주지 않고, 자유로운 하악운동을 가능케 하며, 교합의 안정성을 유지해 줄 것이다.

  • PDF

수복물의 적합도 향상을 위한 지대치 형성 (Tooth Contouring for Better Adaptation of Prosthesis)

  • 장훈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24
    • /
    • 2004
  • In everyday dental practice,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cedures is fixed prosthodontics which includes gold and ceramic restorative treatments. This procedure can be divided into tooth preparation, impression taking, laboratory work, occlusal adjustment and cementation. The first step is tooth preparation and it needs not only good techniques but also deep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oral biology. Also, there must be good knowledge of the principles and materials of the procedure. The patient's satisfaction can be achieved from natural contour, good shade, and precise margin fit, especially in ceramic restorations on anterior regions. It is essential to fastidiously prepare the tooth to make aesthetic restorations with a good margin fit. Tooth preparation techniques and three case reports of ceramic restorations on the anterior region are presented and discussed in this paper.

  • PDF

임상가를 위한 특집 1 - 측두 하악 장애의 진단과 치료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Disorder)

  • 김철훈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0권5호
    • /
    • pp.244-255
    • /
    • 2012
  • Temporomandibular disorder(TMD) is described as a cluster of disorders characterized by pain in the preauricular area and/or the muscles of mastication; limitations or deviations in mandibular range of motion; and noises in the TMJ during mandibular function. The most common symptom in TMD patients is pain that is aggravated by chewing or other jaw function. These symptoms are appeared when the stimuli loaded in TMJ are over the physiologic tolerance. The primary goal in treatment of TMD is to alleviate pain and lor mandibular dysfunction. TMD treatment can be divided into 2 categories: reversible and irreversible methods. Reversible methods include medication, thermal therapy, habit modification, physical therapy, appliance therpy and arthrocentesis and lavage and irreversible methods include arthroscopic lysis, surgery, occlusal adjustment et al. It is widely accepted that reversible methods are ther first choice of treatments. However if reversible ones are not effective, irreversible methods are considered.

교합성 외상에 관한 논쟁의 고찰 (A Literature Review on Trauma from Occlusion)

  • 박고운;김대곤;박찬진;조리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4호
    • /
    • pp.423-436
    • /
    • 2011
  • 교합성 외상은 과도하거나 비정상적인 교합력으로 인한 치아의 주위에 발생하는 병적 변화를 말한다. 교합성 외상과 치주질환과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논쟁이 있었지만 위험요소임은 확실하기 때문에 교합조정을 하는 것이 치주치료의 결과를 개선시킬 수 있다. 정상적인 치주조직을 가진사람이라도 저작양태와 교합양상 및 전치피개의 양상에 따라 교합외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치주질환으로 인해 이차적인 교합외상이 있으면 다양한 문제점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데 특히 구치가 상실되면 교합의 안정을 위협받게 된다. 상실된 구치를 수복하지 않아도 된다는 개념부터 반드시 회복시켜야 한다는 극단적인 주장이 있지만 양쪽의 주장 모두 교합의 안정성을 최우선의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는 일치한다. 또한 구치가 상실되면 대합치의 변위나 정출 뿐 아니라 전치의 변위까지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교합성 외상을 제거하고 교합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치료가 필수적이다.

구치부 반대교합의 조기치료에 대한 치험례 (EARLY TREATMENT OF THE POSTERIOR CROSS-BITE: A CASE REPORT)

  • 이은미;강동균;김태완;김영진;남순현;김현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57-366
    • /
    • 2008
  • 구치부 반대교합은 유치열기와 혼합치열기에서 종종 나타나는 부정교합으로서, 유병율은 $7{\sim}23%$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는 상악 치아의 협측 교두가 대합되는 하악 치아의 협측 교두의 설측에 교합하는 상태이며, 하나의 치아 또는 한 치아군에서 나타날 수 있다. 구치부 반대교합의 경우, 보통 자발적 교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발견되는 즉시 치료해주는 것이 추천된다. 치성이나 기능성의 경우 성장함에 따라 골격성으로 이행하여 악골의 변형을 초래하고 교정적인 수단으로 개선이 불가능한 상태로 악화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이러한 반대교합의 치료 방법으로는 하악의 변위를 유발하는 조기접촉을 제거하기 위한 교합조정, 협소한 상악궁의 확장, 치열궁내 비대칭을 치료하기 위한 개개 치아의 배열 등의 방법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유치열기와 초기 혼합치열기 아동에서 구치부 반대교합이 관찰되어 치아의 선택적 삭제와 상악궁의 확장으로 반대교합을 교정한 후 정기적 검진시 양호한 결과가 관찰되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다발성 안면 골절의 정복 후 발생한 부정교합 상태의 환자를 중심위에서 선택적 교합 조정 및 임플란트 보철수복으로 교합관계를 회복시킨 증례 (Occlusal rehabilitation of post-traumatic malocclusion patient after reduction of panfacial fracture, using selective occlusal adjustment and implant prostheses on centric relation: a case report)

  • 김대균;박소영;이정진;박연희;김경아;서재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9권4호
    • /
    • pp.204-213
    • /
    • 2023
  • 구강 악안면 영역에서 외상으로 인해 발생한 골절에 대한 치료로 관혈적 혹은 비관혈적인 골절의 정복을 시행할 수 있다. 그러나, 최적의 정복이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부정 유합이 발생할 경우, 하악골과 중안모 간의 구조적 관계가 상실되어 부정교합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부정교합은 외상 후 부정교합이라 정의되며 안정적인 턱관절 위치의 확보 후 악교정 수술, 교정치료, 교합 재형성 및 보철적 재건 등이 외상 후 부정교합의 치료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안정적인 턱관절은 교합 회복 전 부정교합의 재발 및 교합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필수적이며, 중심위 및 적응된 중심위는 가장 안정적인 턱관절의 위치로 교합 회복의 시작점이다. 본 증례는 다발성 안면 골절의 정복 후, 외상 후 부정교합이 발생하여 전악 교합의 회복을 위해 중심위에서 선택적 교합 조정 및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로 보철적 재건을 시행한 증례로 교합 기능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