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ak sawdust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2초

참나무 톱밥을 이용한 표고 지면재배 과정의 주요 미생물 군집 분석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s in the ground bed cultivation of Lentinula edodes using oak sawdust)

  • 신지혜;윤서연;남지현;구창덕;이동훈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21-230
    • /
    • 2015
  • 톱밥발효를 이용한 표고버섯의 지면재배방법은 적은 노동력을 소요하고 표고의 생산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미생물에 의한 참나무 톱밥의 발효과정과 표고균사를 접종하고 생장시키는 과정의 두 단계로 나누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참나무 톱밥을 이용한 표고 지면재배과정의 각 단계에서 우점하는 주요 미생물을 확인하고 효율적인 표고버섯 재배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발효과정이 진행되며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톱밥의 고온 세균의 비율은 10%에서 80%까지 증가하여 중온성 세균에서 고온성 세균으로 군집의 천이가 확인되었다. 16S rRNA 유전자를 이용한 T-RFLP 방법과 염기서열 분석 방법으로 참나무 톱밥 지면재배과정의 단계별 미생물 군집의 변화를 확인했다. 발효 전 참나무 톱밥시료에서는 중온성 세균인 Enterobacteriaceae 과의 세균이 우점(100%)하였고, 발효가 진행되며 Amycolatopsis (49.0%), Saccharopolyspora (26.5%) 등의 고온성 방선균으로 미생물 군집의 천이가 발생되었다. 특히, Amycolatopsis 속이 최고온도가 유지되는 발효과정 중에도 항상 우점한 결과를 고려하면 발효를 주도하는 미생물이라고 생각된다. 균사생장시기에서는 저온성 세균인 Leuconostoc이 우점(75.0%)하였다. 표고 균사의 활발한 성장을 위해서는 참나무 톱밥의 발효과정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발효과정에서 우점한 고온성 방선균인 Amycolatopsis 속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Utilization of Robinia pseudoacacia as Sawdust Medium for Cultivation of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s

  • Chai, Jung-Ki;Lee, Sung-Jin;Kim, Yoon-Soo
    • Plant Resources
    • /
    • 제2권1호
    • /
    • pp.42-48
    • /
    • 1999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as substrates for several edible mushrooms. For the cultivation of several edible and/or medicinal fungi on black locust, optimum bulk densities, synthetic or semisynthetic additives, natural additives and pretreatment methods were investigated. Fruit body yields of the fungi on various sawdust media composed of different wood species were also analyzed for testing the capability of black locust as a substrate for mushroom production. Mycelial growths decreased proportional when the bulk density increased. The most suitable carbon and nitrogen sources as additives to promote the mycelial growth were sucrose (2%, w/w) and ammonium phosphate (0.2%, w/w) respectively. When corn-powder and beer-waste as natural additives were added to sawdust of black locust showed the significant growth of mycelia. And the optimum mixing ratio was 10:2:1 (sawdust: corn-powder: beer-waste, w/w). Black locust after cold water treatment showed the outstanding mycelial growths. Any significant changes of pH, moisture content (%) and dry-weight losses (%) could not be found among culture substrates (sawdust of black locust, oak and poplar wood) examined before and after harvesting of fruit bodies. Yield of fruit bodies on black locust culture media were comparable with those culture media composed with oak and poplar wood. The present work indicated strongly the potentiality of black locust as raw materials for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s.

  • PDF

참나무류 톱밥의 발효기간 중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on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oak sawdust during fermentation)

  • 구창덕;이선정;이화용;박용우;이희수;김재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9-215
    • /
    • 2014
  • 표고 재배에 이용되는 참나무 톱밥의 발효과정에서 물리화학적 특성변화를 알기 위하여 참나무 톱밥 33 ton을 적재하고, 46일 동안 기간별로 깊이별로 변화를 조사하였다. 톱밥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발효기간과 적재 깊이에 따라 변화정도가 달랐다. 대부분의 물리-화학적 성질은 발효 동안 점진적으로 변화하였지만, 온도는 기간과 깊이에 따라 다르게 변하였다. 톱밥의 온도는 표면 20 cm 깊이는 환경에 따라 민감하게 변하는데 비하여, 40~100 cm 깊이에서는 점진적으로 변하여 적재 12일 만에 $3^{\circ}C$에서 최고온도 $58.9^{\circ}C$에 도달하였고, 150 cm 깊이에서는 24일 만에 최고온도에 도달하였다. 수분함량은 발효 24일 만에 초기 31%에서 26.5~28.0%로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발효기간 중 톱밥의 화학성을 보면, pH는 대체로 5.2에서 5.6으로 점진적으로 상승하였으나, 150 cm 깊이에서만은 16일만에 4.4~4.7로 낮아졌다. 톱밥의 탄소함량은 68~70%로 변화가 적은데 비하여, 질소함량은 0.22%에서 0.25%로 점진적으로 상승하여 C/N비는 320에서 280으로 낮아졌다. 톱밥의 P함량은 0.005%에서 46일째 0.022%로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톱밥의 열수추출액 삼투압 농도는 41.5~44.2 mmol/kg로 적재 깊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초기 톱밥의 방사유세포에는 전분 입자가 존재하고 도관에는 균사가 없었으나, 발효 35일 후에는 세포 내 전분입자는 소수 남았고, 톱밥입자의 표면과 목질부 도관 내에는 균사가 생장하였다. 톱밥발효가 표고재배에 미치는 영향은 차후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마른진흙버섯(Phellinus gilvus)의 톱밥재배 기술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Fruitbody in the Artificial Oak Sawdust Cultures of Phellinus gilvus Mushroom)

  • 조우식;류영현;김창배;최성국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9-112
    • /
    • 2002
  • 마른진흙버섯(Phellinus gilvus)을 참나무톱밥, 미강, 참나무원목을 이용하여 인공재배 하였다. 배지재료의 이화학성을 분석한 결과 pH는 참나무톱밥 4.6, 미강 6.6, 전질소함량은 참나무톱밥 0.58%, 미강 2.20%, C/N비는 참나무톱밥 55.5, 미강 17.7이었다. 참나무톱밥 + 미강(90 : 10) 혼합처리에서는 균사배양소요일수 25일, 초발이소요일수 12일, 자실체 생체중 577g, 건물중 97g, 생산효율 64%로 미강 0, 5, 10, 15, 20, 25, 30% 7처리 중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참나무원목 처리는 배양소요일수 56일, 초발이소요일수 12일, 자실체 생체중 231g, 건물중 38.7g, 생산효율 25.6%로 나타나 수확량과 배양소요일수 측면에서 톱밥재배가 유리하였다. 이상의 시험결과로 마른진흙버섯(P. gilvus)의 톱밥재배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Phellinus pini의 배양적 특성과 자실체형성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Fruitbody Formation of Phellinus pini)

  • 류영현;조우식;정기채;윤재탁;최부술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15
    • /
    • 2000
  • Phellinus pini는 진흙버섯속(Phellinus)에 속하는 버섯으로 진흙버섯속 버섯 중에서 항암저지율이 가장 높다고 알려져 있다(중국본초도감). 온도별 배양결과 $25^{\circ}C$에서 34 mm/14일(PDA배지)로 생육이 가장 좋았고 배지별 시험에서는 PDA 배지에서 30mm/10일, MCM 배지에서 28mm/10일로 나타났으며 pH $5{\sim}6$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다. 시험관을 이용한 톱밥배지 배양에서는 참나무톱밥+버드나무톱밥 +미강(4.5:4.5:1)과 참나무톱밥+소나무톱밥+미강(4.5:4.5:1)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빨랐고 균사밀도는 참나무톱밥+미강(9:1)과 소나무톱밥+미강(9:1) 배지가 가장 높았다. 참나무원목에 접종한 결과 접종 60일 경과시 원목내 균사생장은 40 mm로 나타났으며 균사활착율은 26%정도였고 최초 발이 소요기간은 접종 후 110일 정도로 나타났다.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irborne Mushroom Damaging Trichoderma spp. from Indoor Air of Cultivation Houses Used for Oak Wood Mushroom Production Using Sawdust Media

  • Kim, Jun Young;Kwon, Hyuk Woo;Lee, Dong Hyeung;Ko, Han Kyu;Kim, Seong Hw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6호
    • /
    • pp.674-683
    • /
    • 2019
  • Some species of the Trichoderma genus are reported as the major problem in oak wood mushroom production in Korea. In spite of economic loss by the fungi, scientific information on airborne Trichoderma species is not much available. To generate information for disease management development we analyzed airborne Trichoderma. A total of 1,063 fungal isolates were purely obtained from indoor air sampling of cultivation houses used for oak wood mushroom using sawdust media. Among the obtained isolates, 248 isolates were identified as Trichoderma fungi including T. harzianum, T. atroviride, T. citrinoviride, and T. pseudokoningii, by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is. T. harzianum was dominant among the four identified species. All the four Trichoderma species grew fast on solid nutrient media tested (potato dextrose agar [PDA], malt extract agar [MEA], Czapek's Dox + yeast extract agar [CYA] and cornmeal dextrose agar). Compact mycelia growth and mass spore production were better on PDA and CYA. In addition, T. harzianum and T. citrinoviride formed greenish and yellowish mycelium and spores on PDA and CYA. Greenish and yellowish pigment was saturated into PDA only by T. pseudokoningii. These four Trichoderma species could produce extracellular enzymes of sawdust substrate degradation such as β-glucosidase, avicelase, CM-cellulase, amylase, pectinase, xylanase, and protease. Their mycelia inhibited the growth of oak wood mushroom mycelia of two tested cultivars on dual culture assay. Among of eleven antifungal agents tested, benomyl was the best to inhibit the growth of the four Trichoderma specie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airborne Trichoderma fungi need to be properly managed in the cultivation houses for safe mushroom production.

표고버섯의 지면 톱밥균상재배에 의한 재배과정과 수확 (Cultivation Processes and Yield of Lentinula edodes on Surface Sawdust Bed)

  • 구창덕;이화용;이희수;박용우;김재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3호
    • /
    • pp.434-442
    • /
    • 2015
  • 본 연구는 표고버섯의 지면 톱밥균상재배 과정과 버섯수확량을 구명하였다. 이 톱밥 균상재배는 봉지를 사용하지 않고, 살균된 톱밥과 표고의 톱밥종균을 3:1로 섞어서 지면에 두께 약 10 cm의 균상을 만들어 재배하는 방법이다. 톱밥배지는, 함수율을 65%로 맞추고 $65^{\circ}C$에서 저온살균 후 종균을 접종하고 지면에 약 10 cm 두께의 균상으로 만들고 보습과 보온을 위하여 유공비닐로 덮어두었다. 이 배지는 배양 78일 후에, 함수율이 61~72%, pH는 5.6에서 3.9~4.6로 낮아졌다. 배양기간중 배지내 에르고스테롤 농도는 $0.33{\sim}0.59{\mu}g/g$로 변동이 있었다. 지면배지를 입상한 후 2주 만에 이산화탄소 농도는 약 8.06%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 7주차에는 배지표면이 갈변되기 시작하였고, 이산화탄소 농도는 11주차까지 6~7%를 유지하였다. 그 후 지면배지의 표면비닐을 제거한 12주차부터는 통기성이 증대하여 이산화탄소가 1.5% 이하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 재배사내 온도는 $7.1{\sim}29^{\circ}C$, 습도는 27.3~100%였고, 톱밥배지내의 온도 변화범위는 $11.6{\sim}30^{\circ}C$였다. 이 지면 재배에서 표고수확은, 입상 약 120일 후인 7월 말경부터 시작되었고, 그 후 약 100일 동안, 즉 12월초까지 8주기에 걸쳐 관수관리하면서 이루어졌다. 이 재배에서 주기별 총 표고수확량은 1주기(7/29~8/4)에 352 kg, 2주기(8/17~8/22)에 288 kg, 3주기(9/3~9/7)에 320 kg, 4주기(9/19~9/24)에 800 kg, 5주기(10/3~10/8)에 1,296 kg, 6주기(10/17~10/22)에 1,853 kg, 7주기(11/4~11/9)에 1,476 kg, 마지막 8주기(11/23~12/7)에 990 kg이었다. 농장 전체는 약 33.0톤의 톱밥배지에서 약 7.4톤의 표고를 수확하여 지면 톱밥균상재배의 표고생산 효율은 약 22.4%였다.

표고 톱밥재배용 산조 701호의 품종육성 및 재배현황 (Cultivation status and breed development of Lentinula edodes cultivar Sanjo 701ho in the sawdust cultivation)

  • 노종현;김경진;이병석;김선철;김인엽;최선규;권혁우;이원호;정의용;정남훈;고한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79-188
    • /
    • 2020
  • 표고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북아시아 전역에서 오랫동안 식용으로 애용되고 있는 대중적 버섯으로 맛과 향이 독특하다. 또한 약리적인 효능이 과학적으로 밝혀졌다. 표고는 원목재배와 톱밥재배에 의해 생산되며 원목재배 기간은 4~5년인데 반해 톱밥재배는 6개월로 재배기간이 짧아 원목재배에서 톱밥재배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특히 산조 701호는 중고온성 품종으로 우리나라의 표고 톱밥재배 대표적인 여름철 품종으로 재배임가에 널리 알려져 있으며, 임가 소득에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고 톱밥재배 품종 중에서 산조 701호의 육성내력과 다양한 실증시험, 국산품종 보급확대 등 우리나라 표고산업 발전에 기여한 성과를 기술하였다.

표고 재배 중 톱밥 배지의 물리적 성질과 목재 화학성분 변화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and Wood Chemical Components of sawdust medium during Oak Mushroom (Lentinula edodes) Cultivation)

  • 이종신;강석구;양승민;김진경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91-300
    • /
    • 2022
  • 참나무 톱밥을 이용한 표고버섯 톱밥봉지 재배는 원목재배에 비하여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어 국내 톱밥배지 재배 농가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동안 표고 톱밥재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보고된 바 있으나, 주요 연구 내용은 톱밥배지 제조 시 혼합하는 농산부산물 영양원 첨가제의 종류와 첨가효과, 톱밥 배지 재배에 적합한 신품종 개발, 참나무 발효 톱밥과 생 톱밥 간의 재배 특성 비교 등이 있으며, 배지 구성 물질 중에서 표고의 주 영양원인 참나무 톱밥의 재배 기간 중 목재 화학적 성분 변화에 대한 보고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균 배양 및 버섯 수확 기간 중 배지의 물리 및 톱밥의 목재 화학 성분 변화 등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종균 접종 후 배양 기간 중에 배지의 중량 감소가 발생하며, 이것은 배지 함유 수분의 증발이나 톱밥 목질부의 분해에 의한 현상이 아니고, 배지 중에 첨가한 저분자 수용성 물질인 쌀겨가 먼저 균사에 의해 분해, 이용되기 때문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또한 배양 중에 균사 생장 배지의 함수율이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균사 생장과 함께 유기물 분해 과정인 이화작용이 진행되어 분해 산물인 물이 생성됨으로써 배지의 함수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표고버섯 수확이 반복하여 진행됨에 따라 톱밥의 목재 세포벽 주성분인 홀로셀룰로오스와 리그닌 등 유기물 비율이 꾸준하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리그닌 감소 비율이 크게 나타나 백색부후균인 표고 균의 목재 세포벽 성분 분해 특징이 확인되었다. 이에 반하여 무기물 성분으로 이루어진 회분은 수확 횟수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것은 홀로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의 유기물 비율이 감소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로 나타난 것이다.

표고 톱밥 재배에서 저온 및 변온 처리가 표고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 and Alternated Temperature Treatments on Quality of Oak Mushroom in Sawdust Culture)

  • Park, Kyoung-Sub;Son, Jung-Eek;Yoon, Gap-Hee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 /
    • pp.43-44
    • /
    • 2001
  • Recently the sawdust culture of Lentinus edodes(Berk.) has been gradually extended replacing the log cultivation in Korea. It is indeed able to reduce the use of log and cultivation period in controlled facilities, but is not yet able to produce the high-quality mushroom.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low and alternated temperature treatments during the fruiting period on the quality of oak mushroom. At low temperature treatments of 1$^{\circ}C$ and 10$^{\circ}C$, the crack, lightness, hardness, and other characteristics for the high-quality oak mushroom were not improved. However, the crack, brightness, and hardness of cap were increased at alternated temperatures of 5-10$^{\circ}C$ than the other temperature treatments. In conclusion, the alternated temperature treatment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low temperature treatment for improving the indices of high-quality oak mushroom such as the crack, brightness and hardness of ca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