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ak log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1초

참나무 소경목(小徑木)을 이용한 천마재배기술 연구 (Studies on the technique of cultivating Gastrodia elata using small diameter log)

  • 조우식;이성학;최혜림;설필금;이숙희;손진욱;임명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9-72
    • /
    • 2017
  • 참나무 전정목이용 기술개발로 재배기질의 다양화를 통한 천마농가의 경영비 절감이 연구의 목표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천마는 한번 심으면 2~3년동안 한곳에서 재배하여야하며, 중간에 장소를 옮기기도 곤란하다. 그러므로 재배장소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더욱이 천마는 난과에 속하므로 과습이나 건조피해를 많이 받는 등 천마는 땅속에서 뽕나무버섯균(Armillaria gallica) 와 공생하므로 토양의 물리화학성이 매우 중요하다. 재배지의 토양화학성은 pH는 5.7로 약산성이었으며, EC는 0.41(ds/m) 로 나타났다. 나. 2015년의 경우 재배시험장소인 예천지역은 매우 가물었는데, 5월말, 6월초, 7월하순 등이 최고온도 $25^{\circ}C$ 이상이었으며, 2016년 1월 중하순에 지중온도가 영하로 떨어져다. 다. 1년차 생육상황의 경우 종균활착율은 두처리 모두 100%로 나타났고, 수량은 지름 6~10 cm 처리가 원목 1본당 52 g, 지름 20 cm 이상 처리구에서는 46.6 g으로 나타났다. 2년차 생육상태는 2016년 6월 2일에 조사하였으며 지름 6~10 cm 처리가 원목 1본당 87.9g, 지름 20 cm 이상 처리구에서는 132.6 g으로 나타났다. 라. 수확량을 조사한 내용으로 지름 6~10cm 처리가 전체무게 1,366g, 지름 20 cm 이상 처리구에서는 1,542 g으로 나타났고, 소경 목에서 자마의 숫자와 무게가 관행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참나무원목 75%, 과수전정가지 25% 조합 시 관행(참나무 원목 100%) 대비 수량이 복숭아나무 24% 증수하였고, 배나무는 동등하게 나타났다는 내용과 유사하였다. 한국에서 천마는 경상북도 상주에서 1984년 은척면 봉중리 박종구농가가 천공 접종법으로 처음 재배하였으며 이후 강원도, 경북, 전북 등지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고소득 작목인 천마는 종자를 이용한 유성번식 등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참나무류(類) 칩을 이용(利用)한 표고버섯재배(栽培)와 폐잔사(廢殘渣) 사료화(飼料化) (On the Mushroom Cultivation of Oak (Quercus) Chip and Used Culture Medium of Lentinus into Feedstuff)

  • 민두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4호
    • /
    • pp.436-444
    • /
    • 1991
  • 이 연구(硏究)는 참나무류(類) 목재(木材)(수피(樹皮)포함)를 핀칩(pinchip)과 톱밥으로 만들어 이용(利用)하므로 목재 이용율(利用率)을 80%이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것에 표고버섯균의 활성(活性)을 조장(助長)시켜 버섯을 보다 효율적(效率的)으로 증수(增收)하고 가축(家畜)의 조사료(粗飼料)로 버섯재배 폐잔사(廢殘査)를 볏짚과 대체가능성(代替可能性)을 조사(調査) 연구(硏究)한 것이다.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참나무류 칩을 이용한 버섯재배에서 버섯의 품질(品質)을 높이는 방법(方法)으로 유기산(有機酸)(탄닌산, 구연산)을 배양기(培養基)에 첨가(添加)하는 것은 균사발율(菌絲發育)과 품질(品質)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참나무류 칩이나 톱밥 재배는 종균(種菌) 접종(接種) 후(後) 6개월부터 제1차기 버섯수확(收穫)이 가능하면서 품질(品質)에서도 각처리구간(各處理區間)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목재(木材)의 조단백질 함양은 0.7%인데 버섯재배 잔사는 1.82-4.55%까지 향상되었으며 총가소화(總可消化) 영양소율(營養素率)도 버섯재배잔사는 44.0-46.0%로 향상되어 볏짚 48.0%와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4. 잔사중에 함유된 필수아미노산 함량을 조사한 바, 탄닌산처리 핀칩 및 톱밥잔사는 methionine이 그리고 무처리 핀칩 및 톱밥잔사의 경우는 isoleucine, phenylalanine, lysine 등이 비교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반면에 threonine, valine, arginine 등은 비교구에 비하여 감소 추세였으며 특히 폐골목에서는 더욱 심한 현상을 보여주었다.

  • PDF

Comparison of Mass and Nutrient Dynamics of Coarse Woody Debris between Quercus serrata and Q. variabilis Stands in Yangpyeong

  • Kim, RaeHyun;Son, Yowhan;Hwang, Jaeho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2호
    • /
    • pp.115-120
    • /
    • 2004
  • Coarse woody debris (CWD, $\ge$ 5 cm in maximum diameter) is an important functional component, especially to nutrient cycling in forest ecosystems. To compare mass and nutrient dynamics of CWD in natural oak forests, a two-year study was conducted at Quercus serrata and Q. variabilis stands in Yangpyeong, Kyonggi Province. Total CWD (snag, stump, log and large branch) and annual decomposition mass (Mg/ha) were 1.9 and 0.4 for the Q. serrata stand and 7.5 and 0.5 for the Q. variabilis stand, respectively. Snags covered 72% of total CWD mass for the Q. variabilis stand and 42% for the Q. serrata stand. Most of CWD was classified into decay class 1 for both stands. CWD N and P concentrations for the Q. variabilis stand significantly increased along decay class and sampling time, except for P concentration in 2002.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WD N concentration for the Q. serrata stand along decay class and sampling time. However, CWD P concentration decreased along sampling time. CWD N and P contents (kg/ha) ranged from 3.5∼4.7 and 0.8∼1.3 for the Q. serrata stand to 22.8∼23.6 and 3.7∼4.7 for the Q. variabilis stand. Nitrogen and P inputs (kg/ha/yr) into mineral soil through the CWD decomposition were 0.7 and 0.3 for the Q. serrata stand and 1.6 and 0.3 for the Q. variabilis stand, respectively. The number of CWD and decay rate wer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difference in CWD mass and nutrient dynamics between both stands.

표고재배시 여러 종류의 참나무골목에 발생되는 해균상 (Harmful Microorganisms Occurred on the Bed-logs of Several Quercus spp. for Shiitake Cultivation)

  • 박원철;가강현;윤갑희;유성열;이봉훈
    • 한국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3-36
    • /
    • 2007
  • 표고재배시 여러 종류의 참나무 골목에 발생되는 해균들의 발생상황을 확인하고자 조사를 시도하였다. 조사결과, 전체적으로 구름버섯을 포함해서 총 14종의 해균이 관찰되었다. 상수리나무에서 12종, 신갈나무에서 9종, 갈참나무에서 10종의 해균이 관찰되었다. 상수리나무에서는 주홍꼬리버섯, 검은혹버섯, 회색버짐버섯, 푸른곰팡이균이 전체 발생 해균 중 75.1%를 차지하였다. 신갈나무에서는 검은혹버섯과 푸른곰팡이균, 이들 두 해균이 전체 발생 해균의 71.2%를 차지했으며, 갈참나무에서는 발생된 해균의 80.3%가 검은혹버섯, 푸른곰팡이균, H. howeianum이었다. 주홍꼬리버섯과 회색버짐버섯은 상수리나무에서만 발생되었으며, 발생비율은 각각 51.6%, 13.1%였다. 그리고 검은혹버섯은 갈참나무의 46.6%에서 발생되었으며, 푸른곰팡이균은 신갈나무의 30.3%에서 발생되었다.

국내 표고(Lentinula edodes) 주산지인 장흥지역에 적합한 국산 원목품종 선발 (Selection of domestic shiitake strains suitable for the cultivation in Jangheung region)

  • 정상욱;장은경;장혜미;하늘이;최선규;반승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47-35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원목재배용 표고(Lentinula edodes) 국산 품종에 대한 장흥지역에서 적합한 표고품종 선발을 위해 국내산 총 5개(천백고, 수향고, 백화향, 풍년고, 산조303호) 품종과 일본산 2개(모리290, 모리유지로) 품종을 선택하여 적합품종 선발을 위해 재배시험을 실시하였다. 생산량 조사결과 산조303호가 40.9 kg으로 모리290 39.2 kg, 모리유지로 37.7 kg 보다 우수한 생산량을 보였다. 표고의 품질은 백화향이 갓이 반구형으로 형태가 우수하였으며, 화고형으로 발생하는 특징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존 재배중인 일본산 품종과 발생특성이 유사하며 생산량이 우수한 산조303호와 고품질의 표고를 생산하는데 유리한 백화향이 장흥지역에서 적합한 국산 표고품종으로 선발하였다.

상수리나무 변재(邊材)와 심재(心材)의 열판건조(熱板乾燥)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Press-drying of Sapwood and Heartwood of Oak)

  • 정희석;이필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6-32
    • /
    • 1977
  • 저질재(低質材) 건조(乾燥)의 한 방안(方案)으로 상수리나무 판재(板材)를 열판건조(熱板乾燥)하였다. 열판건조조건(熱板乾燥條件)을 변재(邊材)와 심재(心材)의 두께 1.5cm판재(板材)를 열판온도(熱板溫度) $175^{\circ}C$, 압력(壓力) 35psi로 건조(乾燥)항, 건조시(乾燥時) 내부온도(內部溫度), 건조중(乾燥中) 함수율(含水率) 및 건조속도(乾燥速度)의 변화(變化), 건조시간(乾燥時間)과 말기함수율(末期含水率), 건조재(乾燥材)의 치수변화(變化), 건조손상(乾燥損傷) 등(等)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판재(板材)의 내부온도(內部溫度)는 건조초기(乾燥初期)에 급격히 상승(上昇)하여 얼마동안 일정(一定)하게 유지된 다음 서서히 상승(上昇)하였다. plateau temperature는 심재(心材)가 변재(邊材)보다 높고 유지기간도 길었다. 2. 건조시간(乾燥時間)에 따라 건조속도(乾燥速度)는 감소(減少)하였고 변재(邊材)의 건조속도(乾燥速度)는 logy=-2.7925-0.0811x, (r=-0.976), 심재(心材)의 건조속도(乾燥速度)는 logy=-3.3382-0.0468x (r=-0.976)의 곡선(曲線)을 나타났다. 3. 소요(所要)되는 건조시간(乾燥時間)은 심재(心材)가 변재(邊材)보다 길었고, 변재(邊材)는 초기함수율(初期含水率) 59%에서 말기함수율(末期含水率) 2.5%까지 건조(乾燥)하였는데 45분(分), 심재(心材)는 초기함수율(初期含水率) 64%에서 말기함수율(末期含水率) 3.3%까지 55분(分)이 각각(各各) 소요(所要)되었다. 4. 건조재(乾燥材)의 평균(平均) 두께수축율(收縮率)은 20.4%, 평균(平均) 폭수축율(幅收縮率)은 2.5%이고, 평균(平均) 두께복원율(復元率)은 11.4% 평균(平均) 폭복원율(幅復元率)은 49.4%로서 두께는 폭(幅)보다 수축율(收縮率)은 컸으나 복원율(復元率)은 적었다. 5. 변재(邊材)는 내부할열(內部割裂) 등(等)의 건조손상(乾燥損傷)이 거의 없었으나 심재(心材)는 내부할대(內部割袋)이 심하게 나타났다.

  • PDF

환경조건이 표고톱밥배지의 갈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 to the mycelial browning of Lentinula edodes (Berkeley) Sing. during sawdust bag cultivation)

  • 김영호;전창성;박수철;유창현;성재모;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15-121
    • /
    • 2009
  • 표고 톱밥배지의 갈변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광을 조사한 결과 100Lux 이상의 광처리에서 원하는 수량을 얻을 수 있었으며 암상태에서의 자실체의 발생은 기형버섯율이 높았으며 수량도 저조하였다. 그러나 갈변은 200 Lux이상의 광에서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으며 가장 빨리 갈변이 되기 시작하였다. 온도별 처리에서는 $25^{\circ}C$의 배양온도를 유지하여 배양한 것이 갈변시작일도 가장 빨랐고 갈변도 가장 많이 진행되었으며 수량과 개체중량도 가장 높았으며 정상적인 수량을 나타낸 처리 중 기형버섯의 발생량도 가장 적었다. 배지내에 통기성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솜마개의 크기를 달리하여 처리한 결과 마개의 크기가 클수록 균사의 생장량도 빨랐으며 갈변이 이루어지는 시기도 빨랐다. 그러나 자실체의 수량은 솜마개의 직경이 16mm일 때 가장 높았으며 마개가 클수록 배지내의 $CO_2$함량은 낮았으며 배양기간 중 갈변이 진행되는 8주에서 14주 사이에서 $CO_2$함량이 가장 높았다. 배양기간 중 $C_2H_4$함량은 8mm의 솜마개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12, 16, 20, 0, 4mm의 솜마개으로 발생하였다. $C_2H_4$함량도 $CO_2$함량과 같이 8주에서 14주사이의 배양기간에서 가장 높았다. 침수시간에 따른 자실체의 발생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침수시간별로 자실체의 수량과 효소들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침수를 하지 않은 배지는 수량이 침수를 한 배지에 비하여 약 40%가 감소하였다. 침수시간은 4시간과 15시간 침수한 것이 각각 165g/1000ml, 175g/1000ml 이었다. 침수시 cellulose분해효소는 침수에 따른 변화가 없으나 lignin 분해효소인 laccase는 침수시간에 따라 약 4 배정도까지 효소의 활력이 증가되었다.

  • PDF

초임계수를 이용한 표고버섯 골목의 가수분해 (Supercritical Water Hydrolysis of Waste Logs after Oak Mushroom Production)

  • 구본욱;이재원;최준원;최돈하;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6호
    • /
    • pp.81-95
    • /
    • 2006
  • 표고버섯 골목의 바이오에탄올 생산 자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새로운 당화 공정으로 주목받고 있는 초임계수 가수분해 공정에 대한 기초 기술을 제공하기 위하여 버섯 골목으로 사용되는 상수리나무 정상재를 다양한 초염계수 가수분해 공정에 적용하고 분해산물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초임계수 가수분해 반응 시간 및 온도의 증가에 의하여 수용성 분해산물 및 비수용성 잔사의 색 진해짐, 분해율의 증가 그리고 비수용성 잔사의 결정화도가 증가하였다. 반응 압력의 증가는 낮은 반응 온도와 짧은 반응 시간 조건에서만 분해 산물의 색변화 및 분해율의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 초염계수 가수분해는 반응 초기에 hemicellulose의 분해가, 반응 후기에는 cellulose 분해가 진행되었다. 반응 시간의 증가는 당화 수율을 향상시켰고 반응 온도의 증가는 $415^{\circ}C$까지는 당화 수율을 증가시켰지만 $415^{\circ}C$ 이상에서는 급격히 감소시켰다. 낮은 반응 온도조건에서 반응 압력의 증가는 당화 수율을 증가시컸지만, 높은 반응 온도 조건에서는 오히려 당화 수율을 감소시켰다. 확인된 당화 수율의 결과를 토대로 상수리나무 정상재의 최적 초엄계수 가수분해 조건은 $415^{\circ}C$, 23 MPa, 60초로 결정하였으며, 당화 수율은 2.68%로 확인되었다. 결정된 최적 조건에서 골목의 초임계수 가수분해를 실시한 결과 당화 수율이 3.58%로 정상재의 당화 수율보다 높았다. GC-MS를 이용한 수용성 분해산물의 분석 결과, 주요 분해 산물은 1,1'-oxybis-benzene과 1,2-benzendicarboxylic acid로 확인되었고, 낮은 분해율을 보인 반응 조건에서는 pentadecanoic acid, 14-methyl-heptadecanoic acid 등과 같은 지방산류가 공통적으로 검출되었다. 반응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phenol, benzene류의 증가가 확연되었지만 비수용성 잔사에서는 반응 압력의 차이에 의한 분해 산물의 변화는 없었다. 비수용성 잔사의 성분 분석 결과 60.6~79.2%의 holocellulose를 함유하고 있었고, 산 촉매 가수분해에 의하여 49.2~67.5%의 당화 수율을 보여주었다. 희산을 이용한 수용성 분해산물의 2차 가수분해에 의하여 수용성 분해 산불 내 당화 수율이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국내 표고버섯 주요 버섯파리의 분자생물학적 종 동정 및 발생양상 (Molecular identification of fungus gnats from shiitake mushroom in Korea)

  • 권선정;김형환;송진선;김동환;조명래;양창열;강택준;안승준;전성욱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01-207
    • /
    • 2013
  •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버섯파리는 가장 문제가 되는 주요해충이다. 버섯파리에 의한 피해를 입은 농가는 표고버섯의 생산 뿐만 아니라 상품성이 현저히 떨어져 많은 피해를 입고 있다. 국내 표고버섯 재배양식은 크게 원목과 톱밥배지에 의한 방법으로 나뉘는데 재배양식의 차이 및 지역 간 주요 피해원인이 되는 버섯파리의 종과 분포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봄부터 가을까지 경기도와 충청도 지역의 주요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버섯파리를 채집하였다. 채집은 황색 끈끈이트랩(참고, Yellow sticky trap)을 이용하였고 버섯파리의 종 동정은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버섯파리류의 다양한 종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원목을 이용하는 표고버섯 재배지에서는 Bradysia difformis, B. alpicola가 우점종인것으로 나타났고, 톱밥배지로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농가의 경우, B. difformi와 Scatopsidae sp.의 종이 다량 동정되었다. 그 외에도 B. trispinifera, B. longimentura, B. chlorocornea, B. protohilaris 및 Lycoriella ingenua가 동정되었다.

상수리나무 심재(心材)와 변재판재(邊材板材)의 두께와 연륜각도(年輪角度)가 열판건조(熱板乾燥)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Board Thickness and Ring Angle on Press - drying for Heartwood and Sapwood of Quercus acutissima C.)

  • 이남호;정희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67-78
    • /
    • 198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oard thickness and ring angle on the characteristics including internal check. ring failure, surface check, end check, collapse, thickness shrinkage and width shrinkage of press-drying. The exprimental materials of 6mm-. 9mm- and 12mm-thick board were taken from heartwood and sapwood of oak (Quercus acutissima Carr.) respectively. And boards were numbered according to position in the log(No. 1 to No. 4 for heartwood :md No. 9 for sapwood). Press-drying was at $145^{\circ}C$ platen temperature and 3.5kg/$Cm^2$ platen press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Drying rates for sapwood materials were greater than those for heartwood materials. And drying rates for thinner materials were greater than those for thicker materials. 2. The thinner boards were. the severer surface checking developed in the heartwood materials, and surface checking for heartwood materials had no tendency in board position for the same thickness. Sapwood materials were completely free from surface checking. 3. End checking for heartwood materials had no tendency in board position. The greater deviation of ring angle from perfectly edge-grained was, the severer and checking developed in the sapwood materials. But end checking did not occur in 6mm-thick sapwood materials. 4. The greater deviation of ring angle from perfectly edge-grained was, the severer end checking developed for heartwood and sapwood materials. As board thickness increased, maternal checking developed more severely for heartwood and sapweed materials. 5. For heartwood materials, ring failure, reduced with increasing deviation of ring angle from perfectly edge-grained except 12mm-thick material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ttributable to board thickness. Sapwood materials were completely free from ring failure. 6. For heartwood and sapwood materials, collapse was slight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ttributable to both board thickness and board position. 7. As deviation of ring angle from perfectly edge-grained increased, shrinkage of board thickness decreased for heartwood and sapwood materials. 8. Shrinkage of board widt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ttributable to both board thickness and board position for heartwood and sapweed materia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