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SD Menu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 seconds

Ubiquitous UI Development System for the OSD of Digital Devices (디지털기기의 OSD를 위한 유비쿼터스 UI 개발 시스템)

  • 이재경;이동하;송영철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11a
    • /
    • pp.331-334
    • /
    • 2003
  • In this paper a new OSD (On-Screen Display) development system for digital devices is presented. The proposed system is an example of the ubiquitous systems because it can be used to co-develop an OSD tn any time at any place if the web can be accessed. In UI, OSD is an important pan of digital devices. Especially, OSD implementations for multiple languages are essential to export digital devices and make them user-friendly.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four components: font editor, menu editor. R/C simulator, and screen editor. It provides all the functions to develop an OSD and the result can be downloaded to a digital device. The proposed system was used to develop an OSD for 31 countries and the lead time of development was reduced from 52.7 days to 20 days.

  • PDF

Improving Usability of DTV PIP(Picture in Picture) Applying OSD Menu (OSD 메뉴를 활용한 DTV PIP (Picture in Picture) 사용성 개선)

  • Kim, Kyung-Jin;Shin, Sang-Hyun;Ha, Yo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305-310
    • /
    • 2006
  • TV 프로그램 전송 방식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바뀌며, TV방송의 다채널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동시에 많은 채널을 시청하며, 정보를 습득하고자 하는 바쁜 현대인들에게 두 개 이상의 채널을 동시에 시청하면서, 이를 녹화하거나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Need가 점점 높아져 가고 있다. 두 개의 튜너를 이용하여 두 채널의 방송을 동시에 시청 할 수 있는 PIP(Picture in Picture-동시화면) 기능은 이러한 사용자 욕구를 해소함과 동시에, 프리미엄 TV의 기술적 특성으로 자리잡고 있다. 현재 LG전자 TV의 경우, PIP관련 기능은 5가지로 [동시화면] [부채널+] [부채널 -] [부화면 입력][주부전환] 이 있다. 이러한 PIP관련 기능은 리모컨에서 부가기능 버튼으로 동작하고 있으며, 리모컨 레이아웃의 복잡성을 증대시키는 큰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관련 버튼이 숨김 버튼으로 배치되어 있어 사용자는 버튼을 찾지 못하고 오히려TV OSD 메뉴 상에서 PIP기능을 찾는 오류를 범하고 있어 직관적인 사용성을 제안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모컨에서 PIP관련 버튼을 줄임과 동시에 PIP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PIP 사용행태 분석을 통한 문제점 파악 후 2가지 개선안을 도출한 후 각각의 개선안에 대한 사용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리모컨 버튼으로 접근하는 것이 사용성이 더 좋을 것이라는 예상을 깨고, PIP기능 사용 시 OSD메뉴로 접근하는 것이 수행시간이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TV라는 매체의 특성상 사용자는 TV화면에서 기능 수행 후 Feedback을 기대하며, TV화면 상에서 동작하는 것에 더 익숙하기 때문이다. 이는 향후 새로운 TV기능 구현 시 중요한 Impact로 작용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리모컨 버튼을 활용하여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것보다, 특정 기능은 OSD상에서 구현하는 것이 TV의 직관적인 사용 Scene에 더 적합한 것을 파악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 PDF

An OSD Menu Verification Technique using a FMM Neural Network (FMM 신경망을 이용한 OSD 메뉴 검증기법)

  • Lee Jin-Seok;Park Jung-Min;Kim Ho-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315-31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TV OSD(On Screen Display) 메뉴 자동검증 시스템에서 문자패턴의 실시간 인식을 위한 방법론을 고찰한다. 이는 일반적인 문자인식 문제와는 달리 시스템 환경에 대한 몇 가지 가정과 제약조건을 고려해야 한다. 예컨대 문제의 특성상 카메라 및 TV 제어 기기부의 동작과 연동하는 작업 스케쥴링 기능과 실시간 분석기능 등의 요건은 시스템개발을 복잡하게 하는 반면, 주어진 OSD 메뉴 데이터로부터 검증과정은 미지 패턴에 대한 인식과정을 단순화하여 일종의 판정(decision) 문제로 고려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식의 방법론으로서 수정된 구조의 FMM 신경망을 적용한다. 이는 하이퍼박스 기반의 패턴 분류기로서 간결하면서도 강력한 학습기능을 제공한다. 기존의 FMM 모델이 갖는 단점인 학습패턴에서 특징분포와 빈도를 고려하지 못한다는 점을 개선하여, 특징과 하이퍼박스간의 가중치 요소를 고려한 활성화 특성을 정의한다. 또한 실제 데이터를 사용한 실험결과를 통해 제안된 이론의 유용성을 고찰한다.

  • PDF

An Automatic OSD Verification Method using Computer Vision Techniques (컴퓨터 비전 기술을 이용한 OSD Menu 자동검증 기법)

  • Lee, Jin-Seok;Kang, Duek-Cheol;Cho, Yun-Seok;Kim, Ho-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1a
    • /
    • pp.275-278
    • /
    • 2005
  • 본 연구는 디스플레이 제품의 개발 및 생산과정에서 OSD 메뉴문자의 오류 유무를 검사하는 과정을 컴퓨터 비전기술을 사용하여 자동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디스플레이 제품의 OSD 메뉴는 순차적인 제어과정을 통해서 제한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여러 종류의 언어와 기호를 포함하는 형태로 출력된다. 기존의 제품개발 과정에서 이러한 메뉴 항목의 정확성을 검증하는 작업은 작업자의 육안에 의한 판단과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반복작업에 의한 집중력 저하 및 판단착오에 의한 오류의 가능성을 내재한다. 또한 작업자가 다양한 나라의 언어에 대한 문자형태와 기호표현의 특성을 이해하여야 하고, 검증작업 자체에 따르는 부수적인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스플레이 제품의 OSD 메뉴와 같이 특수한 구조를 갖는 문서영상에 대한 논리적인 구조분석을 통해서 연속적인 문서영상을 발생시키는 작업스케쥴러를 생성하고, 작업스케쥴러에 의해 순차적으로 발생된 영상문서에 대한 전처리, OSD 메뉴의 기하학적 구조분석 및 문자영역을 추출하는 방법과, 표준패턴 구축 및 원형정합에 의한 문자의 오류를 검증하는 방법과 오류를 관리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