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D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19초

고추역병균(疫病菌)(Phytophthora capsici Leonian)의 배우자형(配偶子型) 분포(分布) (Mating Types of Phytophthora capsici Leonian from Red-pepper ( Capsicum annuum L.) in Korea)

  • 김정수;도태홍;조의규;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0-63
    • /
    • 1988
  • 고추역병균(疫病菌) 103개균주(個菌株)를 분리(分離)하여 배우자형(配偶子型)을 분류(分類)하였다. 분리(分離)된 균주중(菌株中) 54개균주(個菌株)가 mating type $A_1$으로, 49개균주(個菌株)가 mating type $A_2$로 분류(分類)되었다. 서로 다른 배우자형(配偶子型)인 mating type $A_1$$A_2$균주(菌株)를 각각(各各) 5% V-8 쥬스배지(培地)에 대치배양(對置培養)한 결과(結果) 유성세대(有性世代)인 난포자(卵胞子)를 형성(形成)하였다.

  • PDF

한국과 타지역간의 수도생육기간 비교 (Comparison of the Growth Duration of Rice Varieties Grown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 J. K. Ahn;J. H. Lee;Y. S. Ham;B. S. Vergara;K. H. Kim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9-106
    • /
    • 1982
  • 본 연구는 1978년 국제연락수도내랭성검정시험(IRCTN) 계획에 따라 237품종을 10개지역에 공시하여 한국의 춘천 내랭성검정포에서의 수도생육기간과 타지역에서의 생육기간과의 비교분석하여 수도품종의 출수성에 대한 지역감의 관계를 알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 춘천과 타지역간의 수도생육기간은 모두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일장반응이 예민한 품종들은 예외적인 반응을 보였다. 2. 타지역에서 생육기간이 짧았던 품종이 춘천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보일 수 있는 확율은 63-72%였는데 이는 춘천이 타지역보다 생육기간중의 일장이 길기 때문이었다. 3. 춘천에서 생육기간이 짧은 품종을 병발하여 위도가 낮은 지역에 보내면 일장반응에 의하여 생육기간이 짧았던 품종들이 제외되는 결과를 가져오며 내랭성을 동시에 검정할 수 있기 때문에 육종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 PDF

시금치 바이러스병에 관한 연구 I. 시금치에 발생하는 순무모자익바이러스 (TuMV)의 분류동정 (Investigations on the Virus Diseases in Spinach. (Spinacia orleraea L.) I. Identification of Turnip Mosaic Virus Occuring Spinach)

  • 이순형;이기운;정봉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3-35
    • /
    • 1978
  • 모자익병징을 나타내는 이병시금치를 채집하여 순무모자익 바이러스를 분류 동정하였다. 분리된 순무모자익바이러스를 지표식물에 접종한 결과 담배(B.Y)와 명아주에는 국부병반이 형성되었고 쑥갓, 시금치, 무우에는 모자익 병징이 나타났다. 이병시금치 잎을 착즙하여 순무모자익바이러스의 항혈청과의 혈청반응 시험 결과 양성 반응이 나타났다. 이병엽을 Dip법으로 시료를 제작하여 전자현미경에서 검경한 결과 대부분이 750nm의 사상 입자가 관찰되었다. 시금치에서 순무모자익바이러스의 발생분포는 수원, 안양, 대구, 진주 등 거의 전국적으로 발생하였다

  • PDF

오이모자익 바이러스의 순화와 항혈청 제조 (Purification and Serology of Cucumber Mosaic Virus)

  • 이순형;이기운;정봉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9-31
    • /
    • 1978
  • 순수분리된 오이모자익 바이러스(CMV)를 함배 (KY-57)에서 증식하여 개량된 순화방법으로 순화하였다. 순화된 바이러스를 Complete adjuvant와 1: 1로 섞어 토끼에 10일 간격으로 2회 근육주사하여 높은 역가의 CMV 항혈청을 제조하였다. 한천내확산법에 의한 항혈청의 역가는 1/1280이었다. 제조된 CMV 항혈청은 앞으로 채소작물이나 그밖에 식량작물에 이병된 CMV를 분리동정하는데 이용될 것이다.

  • PDF

경사휴에 의한 벼품종의 내한발검정법 (A Test Method of Drought Resistance of Rice Varieties Using Sloped-Ridges)

  • 박경배;이수관;박래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4-117
    • /
    • 1984
  • 경사휴에 의한 벼 품종간 내한발 포장검정방법의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1. 경사휴 높이와 토양의 pf 치와는 Y=2.25+0.007 X(r=0.990${\ast}\;{\ast}$)의 관계였다. 2. 경사휴가 높아질수록 출수기는 지연되었고, 간장은 단축되었으며, 수량은 감소되었다. 그러한 정도는 품종간에 차이가 뚜렷하였다. 3. 출수 지연일수, 간장 단축률 및 수량 감소률에 의거 판정된 내한발성은 삼 남벼, 밀양26호, 진주벼, 농림나 1호는 강하였고, Knlb361-1-8-6-149는 약하였다.

  • PDF

사질답(砂質沓)에 있어서 개량제 시용(施用)이 수도증수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soil amendments on rice yield in sandy soils)

  • 임재현;박경배;이일호;정연태;박래경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3-89
    • /
    • 1979
  •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特性)이 불량(不良)한 사질답(砂質畓)을 개량(改良)코저 규회석(珪灰石), Dolomite, 객토(客土), 퇴비등(堆肥等) 개량제를 병용했을때 이들 개량제가 수도수량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밝히고저 시험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토양중의 무기성분(無機成分) 변화는 개량제 시용(施用)에 의(依)하여 석회(石灰), 고토(苦土), 규산함량(珪酸含量)이 증가되었고 pH도 높게 유지(維持)되었다. 2. 식물체 무기성분(無機成分) 함량중(含量中) 석회(石灰) 규산함량(珪酸含量)은 객토(客土) Dolomite 규회석등(珪灰石等)의 개량제 시용(施用)에 의하여 증가되었다. 3. 규회석(珪灰石)과 Dolomite 시용(施用)에 의(依)하여 식물체중 인산함량(燐酸含量)은 관행(慣行)에 비(比)해 전생육기간(全生育期間)을 통(通)하여 감소(減少)되었고 가리함량(加里含量)도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 이후(以後)부터 감소(減少)되었다. 4. 가장 증수된 개량제처리는 객토(客土)+Dolomlte+N 증시처리로서 19% 증수되었으며, 규회석(珪灰石)+유기물처리에서도 10% 증수되었다. 이들 증수요인은 등숙율증가에 기인(基因)되었다.

  • PDF

남한(南韓) 대석회암통(大石灰岩統)의 층서(層序)와 지질구조(地質構造) (The Stratigraphy and Geologic Structure of the Great Limestone Series in South Korea)

  • 김옥준;이하영;이대성;윤석규
    • 자원환경지질
    • /
    • 제6권2호
    • /
    • pp.81-114
    • /
    • 1973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larify the stratigraphy and geologic structure of the Great Limestone Series by means of study on fossil conodonts and detail investigation of geologic structure. In recent years very few geologists in Korea argue without confident evidences against the age and stratigraphy of the Great Limestone Series which have been rather well established previously in most parts of the regions although it is ambiguous and has not been studied in other areas. Five type localities in the Kangweon basin where the Great Limestone Series is well cropped out were chosen for the study. Total 26 genus and 66 species of conodont were identified from 290 samples collected and treated. From the study on conodonts the age of each formations of the Great Limestone Series has been determined as follows: The Great Limestone Series of Duwibong type Duwibong limestone: Caradocian (mid-Ord.) Jikunsan shale: Landeilian (mid-Ord.) Maggol limestone: Llanvirn-Llandeilian (mid-Ord.) Dumugol: Arenigian (Ord.) Hwajeol: Upper Cambrian The Great Limestone Series of Yeongweol type Mungok (Samtaesan) : Ordovician Machari: upper Cambrian The Great Limestone Series of Jeongseon type Erstwhile Jeongseon limestone: mid-Ord. The erstwhile Jongseon Limestone formation in Jeongseon district is separated into Hwajeol, Dongjeom, Dumudong, and Maggol formations which were cropped out repeatedly by folding and faulting, but Maggol is predominant in areal distribution. Yemi Limestone Breccia bed is not a single bed but distributed in several horizons so that it bears no stratigraphic significance. The limestone bed above Yemi Limestone Breccia, which was believed by some geologists to be much younger than Ordovician, is identified to be Maggol and its age is determined to be mid-Ordovician. Sambangsan formation in Yeongweol district was believed to be Cambrian age and lower horizon than Machari formation by Kobayashi, but C. M. Son believed that it might belong to later than Ordovician and lies above the Great Limestone Series of Yeongweol type. It was identified to be upper Cambrian and lies beneath the Machari formation and above the Daeki formation, the lower most horizon of the Great Limestone Series. The age of Yeongweol type Choseon system is contemporaneous with that of Duwibong type Choseon system. The difference in lithofacies is not due to lateral facies change, but due to the difference in its depositional environment. The Yeongweol type Choseon system is believed to be deposited in the small Yeongweol basin which was separated from the main Kangweon sedimentary basin. Judging from these facts it is definitely concluded that there exists no Gotlandian formation in the regions studied. Structurally the Kangweon basin comprises five basins and two uplifted areas. These structures were originated by at least two crustal movements, that is, Songrim disturbance of Triassic and Daebo orogeny of Jurasic age.

  • PDF

방사성동위원소 $^{32}P$를 이용한 멸구 류에 대한 품종저항성 검정방법에 관한 연구(I) (Screening method of varietal resistance to planthoppers labeled with radioisotope $^{32}P$ ( I ))

  • 이정운;김용헌;박중수;석순종;고현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7-121
    • /
    • 1981
  • 멸구류에 대한 품종저항성 검정법을 개발하고자 동위원소 $^{32}P$를 이용 식물체를 통하여 충체에 이행된 $^{32}P$ 방출량을 G.M. Counter로 조사하므로서 저항성 정도를 판별하기 위한 연구중 일차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가. 공시기구 개발 : 공시기구 개발을 위해 4가지 형의 기구를 공시하였는데 B,C,D형 기구는 공시법과 $^{32}P$ 용액과 분리된 시험기구로서 이중 D형이 가장 취급이 간편하며 안전하게 $^{32}P$의 흡즙량을 조사할 수 있었다(Fig. 1). 나. $^{32}P$의 적정량 : 식물체에 흡수시킬시 2Ml 까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흡즙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32}P$용액을 식물체가 흡수하여 차츰 적은 량으로 되어 뿌리의 활력에 따라서 개체간 흡수량의 차이가 생길 우려가 있어 $2\~3ml$$^{32}P$용액이 요구되었다. 의. $^{32}P$의 방사능 세기 : $0.07\~7{\mu}Ci$까지는 충체에 미치는 영향이 없었으며 처리별로 각각 충분한 CPM의 방사능을 나타내었기에 $0.7{\mu}Ci$ 내외의 방사능 세기가 멸구류 검정시 효과적으로 본다. 라. 충표식방법 및 충탈피각내 잔류량 : :식물성의 흡수를 통한 표식이 효과적이었으로 충탈피각내에는 잔류량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주요(主要) 논잡초(雜草)의 광도(光度)에 따른 광합성(光合成) 능력(能力)의 초종간(草種間) 차이(差異) (Photosynthetic Activity of Major Paddy Weeds at Various Light Intensities)

  • 구연충;박태식;권규칠;박석홍;함영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51-155
    • /
    • 1983
  • 논에 발생(發生)하는 주요잡초(主要雜草)에 대(對)한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을 구명(究明)하여 벼와 잡초(雜草)와의 경합관계(競合關係)를 밝히고자 잡초(雜草) 8 종류(種類), 벼 2 품종(品種)을 공시(供試)하여 광합성(光合成) 능력(能力)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종별(草種別)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은 너도방동산이 (Cyperus serotinus) > 물피 (Echinochloa crus-gall) > 가막살이 (Bidens tripartita) > 물달개비 (Monochoria vaginalis) > 여뀌바늘 (Ludwigia prostrata) 순(順)으로 높았으며 반면(反面)에 호흡율(呼吸率)용 가막살이 (Bidens triparlita) > 물달개비(Monochoria vaginalis) > 너동방동산이 (Cyperus serotinus) > 알방동산이 (Cyperus difformis) 순(順)으로 높았다. 2. 광도별(光度別)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은 물달개비 (Monochoria vaginalis), 올미 (Sagittaria pygma) 등(等)은 30 Klux 정도(程度)가 광포화점(光飽和點)으로 보여졌으나 기타(其他) 잡초(雜草)들은 광도(光度)가 증가(增加)할수록 광합성(光合成)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3. 잡초(雜草)와 벼와의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은 잡초(雜草)가 2 배(倍) 이상(以上) 높았으며 광도(光度) 증가(增加)에 따른 증가율(增加率)도 잡초(雜草)가 높았다. 4. 단위건물중당(單位乾物重當)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은 화본과(禾本科) 잡초(雜草)보다 광엽잡초(廣葉雜草)에서 높은 경향(傾向)이며 비엽면적(比葉面積)도 광엽잡초(廣葉雜草)에서 높았다.

  • PDF

팥과 녹두 잡초방제체계(雜草防除體系) 수립(樹立)을 위한 제초제(除草劑) 병발(迸拔)에 관한 연구 (Selection of Appropriate Herbicides for Establishment of Weed Control System in Adzukibean and Mungbean)

  • 홍은희;이영호;김석동;황영현;문윤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99-207
    • /
    • 1983
  • 팔 녹두에 적합(適合)한 제초제선발(除草劑選拔)을 위하여 1980~1983 년(年)의 4 개년(個年)에 걸쳐 작물시험장(作物試驗場)에서 포장시험(圃場試驗)과 pot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내성(耐性)은 콩이 가장 컸으며, 녹두, 팥의 순서(順序)이다. 2. 출아전처리제(出芽前處理劑)로서 alachlor와 그외 7 종(種)의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약해(藥害)를 검정(檢定)한 결과(結果) 약해(藥害)를 비교적(比較的) 덜 일으키는 제초제(除草劑)는 팥에서 chloramben, linuron, metribuzin 등(等)이며, 녹두에 서 alachlor. butachlor 등(等)이었다. 3. 출아후처리제(出芽後處理劑)로서 팔, 녹두에 외관상(外觀上) 약해(藥害)를 일으키지 않는 제초제(除草劑)는 alloxydim, Dowco 453, fluazifop 등(等)이었다. 4. 출아전처리제(出芽前處理劑)로서 terbutryn 150g, a.i./l0a 처리(處理)가 팔과 녹두에 대한 잡초방제효과(雜草防除効果)가 가장 양호(良好) 하였으나 약해(藥害)의 우려가 있으며, 출아후처리제(出芽後處理劑)로서 acifluorfen 30g. a.i./10a 처리시(處理時) 잡초방제효과(雜草防除効果)가 가장 양호(良好)하였고 약해(藥害)도 20일(日) 이내(以內)에 회복(回復)되어 수량(收量)에는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다. 5 제초제(除草劑) 단일처리(單一處理) 보다는 혼합(混合) 및 조합처리시(組合處理時) 잡초방제효과(雜草防除効果)가 뚜렷하였으며 성분량(成分量)으로 10a당(當) 팥에서 linuron 50 g과 Dowco 453 l8g 또는 fluazifop 26g 조합처리(組合處理)가, 녹두에서 alachlor 131 g과 acifluorfen l5g 조합처리(組合處理)가 체초방제효과(體草防除效果)와 수량(收量)이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