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B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36초

시각장애인을 위한 라즈베리 파이 기반 지폐 인식기 개발 (Development of a Raspberry Pi-based Banknote Recogni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 이지완;안지후;이기용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1-31
    • /
    • 2018
  • 한화 지폐는 그 크기들이 비슷하고 지폐가 오래되면 점자 부분이 마모된다. 이로 인해 촉각만을 이용해 지폐를 구분하는 시각장애인들은 한화 지폐를 인식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며,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경제적 손실을 입을 수도 있다. 지폐를 인식하는 유사 시스템은 이미 존재하나 기존 시스템은 한화 지폐를 인식하지 못하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있어 사실상 시각장애인들이 사용하기에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화 지폐를 인식할 수 있으며, 시각장애인들이 사용하기에 편리한 라즈베리 파이 기반 지폐 인식기를 개발한다. 본 지폐 인식기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인식을 시작하며 시각장애인들에게 음성으로 인식 결과를 알려준다. 특히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특징 추출 알고리즘을 선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특징 추출 알고리즘인 SIFT, SURF, ORB의 성능을 실제 비교하였다. 다양한 실제 환경에서의 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는 95%의 인식률로 가장 좋은 정확도를 보이는 SIFT를 시스템 구현에 채택하였다.

분산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CORBA 객체그룹 플랫폼의 구축 (Construction of CORBA Object-Group Platform for Distributed Real-Time Service)

  • 김명희;주수종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7권6호
    • /
    • pp.602-613
    • /
    • 2001
  • 최근의 컴퓨팅은 이질적인 클라이언트와 서버들간의 상호 운용성을 요구하는 분산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프로그래밍 파라다임을 지원하기 위한 분산 객체 컴퓨팅 환경으로 발전되고 있다. 여기에는 복잡한 네트워킹과 다양한 멀티미디어 응용 서비스를 위한 객체지향 기술들이 접목되고 있다. 이러한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처리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시간 서비스 지원을 위해 요구되는 실시간 특성과 분산 객체들의 관리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객체그룹 플랫폼을 구축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실시간 CORBA를 사용하거나 또는 ORB를 수정하거나 실시간 운영체제상에 특정 CORBA 제품군을 사용하여 분산 환경의 특정 영역의 성능향상만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ORB의 수정 없이 표준 CORBA 상에서 실시간 특성을 지원할 수 있는 실시간 객체그룹 플랫폼을 설계한다. 본 논문의 실시간 객체그룹 구조는 객체들의 관리적인 측면과 실시간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지원 측면에 대한 요구사항들을 분석하여 정립한 모델이며,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관리와 서비스로 분리하여 각각의 기능 수행시에 발생하는 객체간의 상호작용이 다른 역할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구축된 플랫폼은 실시간 어플리케이션 개발자에게 실시간 특성 파라미터의 표현화 처리에 대한 투명성을 부여하여 어플리케이션에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하기가 용이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실시간 객체그룹 플랫폼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역할을 정의하고 기능을 정립하며, 각 구성요소들을 설계하고 구현하였으며, 구현되어진 실시간 객체그룹 플랫폼의 기능과 수행 성능을 검증한다.

  • PDF

특징점 매칭 개선 및 강인추정을 통한 이종해상도 위성영상 자동영상정합 (Automated Image Matching for Satellite Images with Different GSDs through Improved Feature Matching and Robust Estimation)

  • 반승환;김태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6_1호
    • /
    • pp.1257-1271
    • /
    • 2022
  • 최근 많은 수의 지구관측용 광학위성이 개발되어 위성영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위성영상의 활발한 활용을 위해서 신속한 전처리 과정이 요구된다. 위성영상 정합은 두 영상을 하나의 특정한 좌표계로 변환하여 등록하는 기술로서 원격탐사 분야에서 영상정합 기술은 서로 다른 대역의 영상을 정렬하거나, 두 위성영상 간의 상대적인 위치 오차를 수정하는데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Ground Sample Distance (GSD)를 가지는 위성영상 간의 자동 영상정합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방법은 개선된 특징점 매칭방법과 강인한 변환모델 추정기법을 기반으로 하며, 다음과 같이 5가지 처리과정으로 구성된다: 중첩 영역 계산, 개선된 특징점 탐지, 특징점 매칭, 강인한 변환모델 추정, 영상 리샘플링. 특징점 탐지를 위해서 중첩영역을 추출하여 두 영상의 GSD가 유사하도록 영상 리샘플링을 수행하였다. 특징점 매칭 단계에서는, Oriented FAST and Rotated BRIEF (ORB)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영상정합 성능을 향상시켰다. 영상정합 실험은 KOMPSAT-3A와 RapidEye영상을 실험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제안방법의 성능검증은 정성적, 정량적 두 가지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영상정합의 재투영오차는 RapidEye GSD를 기준으로 1.277 (8.3 m)에서 1.608 (10.452 m)의 픽셀 정확도를 보였다. 즉, 결론적으로, 제안방법을 통해 이종해상도 위성영상의 영상정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인트라넷에서 역할 기반 접근제어 에이전트 (The Role-based Access Control Agent on Intranet)

  • 고영한;오수열;서재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3)
    • /
    • pp.421-423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인트라넷환경에서 허가된 사용자만이 개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역할기반 접근제어 정책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와 데이터 사이의 권한부여의 복잡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역할을 지역역할 및 전역역할로 구성하고 접근제어 연산 및 역할의 갱신에 따른 절차를 구현하였다. 구현을 위하여 분산객체 컴퓨팅 환경의 객체 요청중개자 CORBA/ORB를 이용하였다.

  • PDF

CAN 기반 분산 내장형 시스템을 위한 CORBA의 설계 (Designing CORBA for CAN-based Distributed Embedded System)

  • 김기문;김세화;홍성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1)
    • /
    • pp.172-174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CAN 기반의 분산 제어 시스템을 위한 환경에 특화된 CORBA인 CAN-CORBA의 설계와 구현에 대하여 기술한다. CAN-CORBA는 예약 구독 기반의 그룹 통신과 CORBA의 전통적인 연결 기반 점대점 통신을 모두 지원한다. 또한 내장형 ORB간 통신 프로토콜인 EIOP를 사용하여 메시지 전송량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CAN-CORBA는 서울대학교에서 개발한 실시간 운영체제 mArx에 완전히 구현되었다. 다양한 경험과 실험 결과는 CAN-CORBA가 극심한 자원 제약 한계를 갖는 분산 내장형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적합함을 보여주었다.

  • PDF

반영 메모리 기반 코바 실시간 통신 서비스 구현 및 성능 분석 (An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a CORBA Compliant Reflective Memory based Real-Time Communication Service)

  • 최영근;정선태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0년도 제15차 학술회의논문집
    • /
    • pp.32-32
    • /
    • 2000
  • We present CReMeS, a CORBA-compliant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new real-time communication service. It provide for of a new real-time communication service. It provide for efficient, predictable, and scalable communication between information producers and consumers.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CReMeS can achieve better performance, predictability and scalability than a Real-Time implementaion of the CORBA Event Service.

  • PDF

실시간 CORBA의 우선순위 모델 구현 및 성능분석 (All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Priority Model of Real-Time CORBA)

  • 박순례;정선태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0년도 제15차 학술회의논문집
    • /
    • pp.89-89
    • /
    • 2000
  • The Current CORBA has many drawbacks to be deployed successfully in real-time system applications. Recently, OMG adopted Real-Time CORBA specification. In this paper, we report our efforts on an implementation of Priority Model of Real-Time CORBA spec.,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in Real-Time CORBA spec. The improvement of real-time performances of our implementation is verified experiments.

  • PDF

코바 객체 모델의 확장을 위한 코바 컴포넌트 모델(CCM)의 활용 (Using CORBA Component Model(CCM) for Extending Traditional CORBA Object Model)

  • 차상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365-1368
    • /
    • 2000
  • 분산 이기종 환경에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합할 수 있는 코바의 기존 객체 모델의 단점을 극복하고 이를 확장하기 위한 CCM(CORBA Component Model) 구조의 장점 및 주요 특징과 서비스를 정의한다. 이를 위해 클라이언트와 컴포넌트 개발자의 관점에서 컴포넌트의 형성과정과 생성된 컴포넌트의 종류, 컴포넌트의 실행을 활성화하는 컨테이너의 구조를 살펴보고 CCM명세서가 CCM 프레임워크의 실행을 단순화시키기 위한 ORB확장방안에 대해서 알아본다.

  • PDF

무당거미(Nephila clavata L. Koch) 병상선(甁狀腺)의 미세구조(微細構造) I. 대병상선(大甁狀腺)의 분비관(分泌管) (Ultrastructure of the Ampullate Gland in the Orb Web Spider, Nephila clavata L. Koch I. Excretory Duct of the Large Ampullate Gland)

  • 문명진;김창식;김우갑
    • Applied Microscopy
    • /
    • 제18권2호
    • /
    • pp.77-90
    • /
    • 1988
  • The ultrastructure of the excretory duct of the large ampullate gland in the orb web spider, Nephila clavain L. Koch are studied with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The excretory ducts of the large ampullate glands connected with the large spinning tubes(spigots) on the anterior spinnerets are basically composed of three superposed types of the layers which are inner cuticles, monolayered epithelial cells and peripheral connective cells. According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uticles and internal textures of the epithelial cells, the long excretory ducts are subdivided into three(distal, middle and proximal) portions. Especially, at the distal portion of the ducts near the spinning tubes, the electron lucent subcuticles which had the functions of water removal and orientation of silk fibers are well distributed, whereas at the middle and proximal portions these layers disappeared and instead of these, endocuticles are developed. The endocuticle contains two types of bands, which are electron dense and electron lucent. And along the length of the cuticular stem in the excretory duct, these two alternating bands are twisted spirally. In the cytoplasm of the columnar epithelial cells of the distal portion, rough endoplasmic reticula and Golgj complexe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the cuticular materials are well developed. Between the adjacent epithelial cells, specialized septate junctions and desmosomes are formed along the plasma membranes. At the proximal portion of the duct, densely accumulated secretory materials appeared, and these are released to the inner canal by the apocrine secretion.

  • PDF

분산객체환경에서의 JDBC 3-tier 모델의 성능확대와 CORBA의 이용 (Property Enlargement of JDBC 3-tier Model Using CORBA Under Distributed Object Environments)

  • 이진용;전순미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9호
    • /
    • pp.2248-2255
    • /
    • 1998
  • 이질적인 시스템으로 구축된 분산 객체 환경에서 자바로 개발된 응용 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연동성은 매우 중요하다. 연동을 지원하는 기존의 JDBC 제공 모델 중에서 분산환경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구조가 JDBC 3-tier 모델인데 이 모델은 자바애플릿 응용시스템의 적용에서 제한적인 보안 구조를 가진 연동관계의 형성을 요구한다는 것과 또한 클라이언트에서 미들웨어로 접속하는 규약의 종류에 따라서 매번 응용프로그램에서 별도의 설계 및 구현을 해야하는 부분이 부담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CORBA 분산객체 환경을 이용하였으며 기존의 FDBC 모델을 지원하는 ORB-JDBC 하위 규약과 미들웨어를 설계하고 구현하여 기존모델의 성능을 확대 시켰다. 즉, 새로 확대된 모델은 연동을 위해서 구현된 어떠한 자바 응용 프로그램에서도 시스템에 대한 보안 규제가 극복되며 또한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과의 연동관계에서 간단하게 응용프로그램만을 작성하는 것으로 연동의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어 클라이언트의 제작비용과 시간을 줄여준다. 동시에 CORBA가 제공하는 DBMS 서버들 사이의 부하분배를 지원하는 SRLSMD도 있음을 모의실험을 통해서 확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