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PenGL

Search Result 346,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Design of a Shader Based on the OpenGL ES 2.0 (OpenGL ES 2.0 기반 셰이더 설계)

  • Kim, Jong-Ho;Choi, Wan;Kim, Sung-Jin;Kim, Tae-Young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2 no.3
    • /
    • pp.13-20
    • /
    • 2006
  • 모바일 환경에서 고급 그래픽스 기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로 최근 3D 그래픽 엔진을 탑재한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 단말기는 OpenGL ES 1.x을 기준으로 고정된 파이프라인을 통해 그래픽 연산을 처리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다양한 그래픽 표현을 수행하는데 제약이 따른다. 최근 PC 환경의 그래픽 엔진에서는 고정 기능의 파이프라인이 아닌 프로그래밍 가능한 파이프라인을 제공하여 기존 고정 파이프라인에서 불가능했던 유연한 그래픽스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PC환경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파이프라인은 DirectX와 OpenGL 그래픽 라이브러리에 의해 제공되고 있지만, 모바일 환경에서는 이를 지원하기 위한 관련 제품이 아직 출시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2005년 9원에 발표된 프로그레밍 가능한 그래픽스 파이프라인에 대한 표준인 OpenGL ES 2.0에 기반한 효율적인 셰이더 구조와 이 의 구동방식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PC상에서 소프트웨어로 개발되었고, 연구 결과는 그래픽스 하드웨어 설계를 위한 검증용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응용 프로그래머의 모바일 콘텐츠 제작을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 PDF

OpenGL ES 2.0 based Shader Compilation Method for the Instruction-Level Parallelism (OpenGL ES 2.0 기반 셰이더 명령어 병렬 처리를 위한 컴파일 기법)

  • Kim, Jong-Ho;Kim, Tae-You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8 no.2
    • /
    • pp.69-76
    • /
    • 2008
  •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architecture of graphics processor and its instruction format for the mobile device. In addition, we introduce tile shader data structure for the on/off-line compilation based on the OpenGL ES 2.0 and a new optimization method based on the ILP(Instruction-Level Parallelism). This paper shows where a processor with the sane core clock is being used, the shader instruction resulted from the compile structure and method in this paper is approximately 1.5 to 2 times faster than a code based on the single instruction.

  • PDF

DMGL: An OpenGL ES Based Mobile 3D Rendering Libraries (DMGL: OpenGL ES 기반 모바일 3D 렌더링 라이브러리)

  • Hwang, Gyu-Hyun;Park, Sang-Hu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1 no.8
    • /
    • pp.1160-1168
    • /
    • 2008
  • Recent technological innovations of mobile hardware which make it possible to implement real-time 3D rendering effects under mobile environment have provided a potential to develop realistic mobile application programs. This paper presents platform independent, OpenGL ES based, real-time mobile rendering libraries, called DMGL for supporting high quality 3D rendering on handhold devices. The libraries allows the programmers who develops mobile graphics softwares to generate varying advanced real-time 3D graphics effects without great effort. Moreover, GPGPU-based libraries give a set of functions to solve complex equations for simulating natural phenomena such as smoke and fire, and to render the results in real-time.

  • PDF

Image Processing Technique of the 3D Animation on Smartphone (스마트폰 상에서의 3D 애니메이션 영상처리 기법)

  • Ryu, Chang-su;Hur, Chang-w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05a
    • /
    • pp.183-185
    • /
    • 2013
  • As mobile devices have developed, flash animations suitable for the existing web have solved part of the weakness caused by the image quality deterioration and the transmission capacity, but it is difficult to express 3D stereo-scopic images. Also, for the real time-randering of visual expressions for animation and the device technique for smartphone to accord with commercial demands,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3D image processing technique. This paper studied on the image processing method for 3D animation capable of 3D graphic rendering with view system of android and OpenGL M3G in an embedded system device and OpenGL ES 2.0 library.

  • PDF

Model-based 3D Multiview Object Implementation by OpenGL (OpenGL을 이용한 모델기반 3D 다시점 영상 객체 구현)

  • Oh, Won-Sik;Kim, Dong-Wook;Kim, Hwa-Sung;Yoo, Ji-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6.11a
    • /
    • pp.59-6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OpenGL Rendering을 이용한 모델기반 3D 다시점 영상의 객체 구현을 위한 구성과 각 모듈에 적용되는 알고리즘에 대해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한 장의 텍스쳐 이미지와 깊이 맵(Depth Map)을 가지고 다시점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 먼저 깊이 정보의 전처리 과정을 거친다. 전처리 된 깊이 정보는 OpenGL상에서의 일정 간격의 꼭지점(Vertex) 정보로 샘플링 된다. 샘플링 된 꼭지점 정보는 깊이 정보를 z값으로 가지는 3차원 공간 좌표상의 점이다. 이 꼭지점 정보를 기반으로 텍스쳐 맵핑 (texture mapping)을 위한 폴리곤(polygon)을 구성하기 위해 딜루이니 삼각화(Delaunay Triangulations) 알고리즘이 적용되었다. 이렇게 구성된 폴리곤 위에 텍스쳐 이미지를 맵핑하여 OpenGL의 좌표 연산을 통해 시점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객체를 만들었다. 제한된 하나의 이미지와 깊이 정보만을 가지고 좀 더 넓은 범위의 시점을 가지는 다시점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 새로운 꼭지점을 생성하여 폴리곤을 확장시켜 기존보다 더 넓은 시점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렌더링된 모델의 경계 영역 부분의 깊이정보 평활화를 통해 시각적인 개선을 이룰 수 있었다.

  • PDF

A View-Frustum Culling Technique Using OpenGL for Large Polygon Models (OpenGL을 이용한 대용량 Polygon Model의 View-Frustum Culling 기법)

  • Cho, Doo-Yeoun;Jung, Sung-Jun;Lee, Kyu-Yeul;Kim, Tae-Wan;Choi, Hang-Soon;Seong, Woo-Jae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 no.1
    • /
    • pp.55-60
    • /
    • 2001
  • With rapid development of graphic hardware, researches on Virtual Reality and 3D Games have received more attention than before. For more realistic 3D graphic scene, objects were to be presented with lots of polygons and the number of objects shown in a scene was remarkably increased. Therefore, for effective visualization of large polygon models like this, view-frustum culling method, that visualizes only objects shown in the screen, has been widely used. In general, the bounding boxes that include objects are generated firstly, and the boxes are intersected with view-frustum to check whether object is in the visible area or not. Recently, an algorithm that can check in-out test of objects using OpenGL's selection mode, which is originally used to select the objects in the screen, is suggested. This algorithm is fast because it can use hardware acceleration. In this study, by implementing and applying this algorithm to large polygon models, we showed the efficiency of OpenGL assisted View-Frustum Culling algorithm. If this algorithm is applied to 3D games that have to process more complicated characters and landscapes, performance improvement can be expected.

  • PDF

The Implementation of Visualization for Ski Jump Using OpenGL (OpenGL를 이용한 스키점프 시각화 도구의 구현)

  • Park, Myeong-Chul;Park, Seok-Gyu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6 no.11
    • /
    • pp.137-143
    • /
    • 2011
  • In this paper, we implement the ski jump visualization tool using the OpenGL graphics library. Among the evaluation elements of jump, the distance of jump is most important. Also, the distance of jump depends on Lift-to-Drag Ratio. In the previous studies, the visualization too according to the consequential changing of variety factors is insufficient. This study provides an easy style flying posture visualization tool to the user who using Lift-to-Drag Ratio. Furthermore, there is to implement an international standard jumping hill by virtue of entered five main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with reference data for better ski jump.

TIP Technique using the OpenGL ES for android platform (OpenGL ES 를 이용한 Android Platform 에서의 TIP 기술)

  • Lee, Junho;Jang, Minseok;Lee, Y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330-333
    • /
    • 2011
  • TIP 기술은 2D 그림 또는 한 장의 사진으로부터 기하정보를 추출하여 3 차원 입체 효과를 만들어 영상 내부를 네비게이션할 수 있는 기술로써, 게임, 엔터테인먼트, 교육, 홍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요구되는 주요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스마트 device 의 platform 가운데 하나인 android platform 상에서의 OpenGL ES Library 를 이용한 TIP 기술 적용 및 구현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전경객체의 추출이 어려운 상황을 감안하여 보다 사실적 장면 구성이 용이하도록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소실점을 이용하고, OpenGL ES Library 를 이용하여 3D 배경 모델을 획득하고, 이미지를 텍스쳐 매핑하여 3D 가상공간을 완성한 후 카메라의 시점 변환을 통해 이미지 내부를 네베게이션할 수 있도록 한다. 실험영상은 android platform 상의 device 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사용하고, android 2.1 및 OpenGL ES 1.0 기반으로 구축함으로써, 제안 기술을 다양한 android platform smart device 에서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 응용 개발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A Development of 3D Viewer Using OPenGL (OpenGL을 이용한 3D 언어 개발)

  • 김병수;강병익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776-779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OpenGL을 이용한 삼차원 뷰어(Viewer)를 개발한다. 3D Max와 같은 3D 개발 툴에서 침대, 소파 등 3D 모델 라이브러리를 제작한 후 일어들이는 렌더링 모듈을 개발한다. 3D 모델 라이브러리에 직물 이미지 라이브러리를 매핑하는 모듈도 개발하여 직물 이미지와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한다. 3D max에서 광원과 질감을 포함하여 렌더링한 후 개발되는 프로그램으로 데이터 손실없이 읽어들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3차원 모델에 설계된 직물 이미지를 사용하여 3D 매핑된 후. 사용자가 확대, 축소, 이동, 회전 등의 효과를 줄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및 3D 애니메이션 기능을 구현한다.

  • PDF

The Development of 3-D Robot Simulator Using OpenGL (OpenGL을 이용한 3-D 로봇시뮬레이터 개발)

  • Kim, Seung-Jun;Choi, Eun-Seok;Ahn, Byung-Ha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07d
    • /
    • pp.2877-2879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로봇의 3가지 기본모델에대해 OpenGL을 이용하여 3-D 로봇시뮬레이터를 구현하였다 또한. 개발된 로봇시뮬레이터에 간단한 출력제어기를 적용하여 제어알고리즘의 특성이 잘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고, 실제 로봇의 하드웨어적 특성을 적용하여 로봇시뮬레이터와 실제로봇에서의 실험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