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nGL

검색결과 346건 처리시간 0.025초

휴대형 3D 그래픽 가속기를 위한 저전력/저면적 산술 연산기 회로 설계 (A Design of Low-power/Small-area Arithmetic Units for Mobile 3D Graphic Accelerator)

  • 김채현;신경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857-864
    • /
    • 2006
  • 본 논문은 휴대형 3D그래픽 가속기를 위한 벡터 처리기, 누승기, 제산기 및 제곱근기 회로 설계에 관하여 기술한다. 설계된 연산기는 부동소수점 대신 OpenGL/ES에서 권장하는 16.16 고정 소수점 방식을 사용하여 모바일 환경에서 저전력/저면적으로 동작하도록 하였다. 벡터 처리기는 RB 수체계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일반적인 4개의 승산기와 3개의 가산기로 구현한 방식에 비해 30%의 동작성능이 향상됐고, 10%의 면적 감소를 이루었다. 누승기, 제산기 및 제곱근기는 로그 수체계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이진수-로그 변환 시 룩업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6-영역의 근사화 방법을 이용한 조합회로로 구현하였다. 누승기, 제산기 및 제곱근기는 일반적인 룩업 테이블로 구현한 방식과 비교하여 면적이 대폭 감소되었다.

Development of a Virtual Simulator for Agile Manufacturing System

  • C., Sangmin;C., Younghee;B., Jongil;L., Manhyung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0년도 제15차 학술회의논문집
    • /
    • pp.103-103
    • /
    • 2000
  • In this paper to cope with the reduction of products life-cycle as the variety of products along with the various demands of consumers, a virtual simulator is developed to make the changeover of manufacturing line efficient to embody a virtual simulation similar to a real manufacturing line. The developed virtual simulator can design a layout of a factory and make the time scheduling. Every factory has one simulator so that one product can be manufactured in the factories to use them as virtual factories. We suggest a scheme that heightens the agility to the diversity of manufacturing models by making the information of manufacturing lines and products models to be shared. The developed unit simulator can construct a proper virtual manufacturing line along with the required process of products using several kinds of operator and work cell. A user with the simulator can utilize an interface that makes one to manage the separate task process for each manu(acturing module, change operator components and work cells, and easily teach tasks of each task module. The developed simulator was made for users convenience by Microsoft Visual C++ 6.0 that can develop a program supplying graphic user interface environment and by OpenGL of the Silicon Graphics as a graphic library to embody 3D graphic environment. Also, we show that the simulator can be used efficiently for the agile manufacturing by the communication among the factories being linked by TCP/IP and a hybrid database system made by a hierarchical model and a relational model being developed to standardize the data information.

  • PDF

Organizational Ostracism: A Potential Framework in Order to Deal with It

  • Mlika, Mona;Khelil, Mehdi Ben;Salem, Nidhal Haj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8권4호
    • /
    • pp.398-401
    • /
    • 2017
  • Background: Organizational ostracism is defined as a violation of norms that we are suggested to acknowledge at the workplace. It results in the exclusion of one person or multiple persons, and causes damage to our innate need to belong. This kind of behaviorism can be engaged through a hierarchical or nonhierarchical relationship. Three elements interact in the framework of organizational ostracism: the actor, the target, and the institution. Our aim was to describe the different factors interacting with every element in order to produce recommendations targeting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uch behaviorism in an institution and to help targets of such a violence in order to handle this situation and go forward. As psychological impact of ostracism has frequently been studied in the literature, we focused on its impact on professional tasks. Methods: We performed a questionnaire-based study about organizational ostracism. This questionnaire was established through an online platform (https://www.sondageonline.com) and made available through the following link: https://goo.gl/forms/KrkVXe3bMEc79cau2. A keyword was sent to all participants. We created a 23-interrogation questionnaire with open and short questions. Nonwritten consent was obtained from all participants. Results: The actor of ostracism engaged in ostracism, in most of the cases, with other persons without a real purpose. The actor of ostracism had an antecedent of problematic relationship at work in 82.9% of the cases. Of the participants, 58.5% were of the view that ostracism aimed to cause hurt and isolate them. Professional isolation was observed in 58.5% of the cases; 51.2% of the participants tried to improve their work potential and explained their reaction by an intrinsic motivation. The organization atmosphere was judged to be bad in most of the cases. Conclusion: Our study showed that ostracism was mainly observed in public practice.

지역 특징 히스토그램 기반 영상식별자와 GPU 가속화 (Image Identifier based on Local Feature's Histogram and Acceleration Technique using GPU)

  • 전혁준;서용석;황치정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9호
    • /
    • pp.889-897
    • /
    • 2010
  • 현대의 대량화된 영상 관리 시스템은 영상의 특징을 표현하는 영상식별자에 대해 왜곡에 강인하며 빠른 검색 속도, 정확성 및 효율적인 저장 등의 기본 성능을 요구한다. 영상식별자 설계 방법은 기하학적 왜곡에 강인한 지역 방식과 빠른 검색 및 적은 저장 용량의 속성을 지닌 전역방식으로 구분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왜곡에 강하고 지역적 공간적 제약으로 인한 서로간의 차별성이 강화된 지역 기술자들로부터 각각 개개 차원의 특징 분포도를 분석하여, 두 영상간의 유사도를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지역 기술자 및 전역 기술자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LFH(Local Feature's Histogram)기반 영상식별자를 제안한다. 또한 GPU를 사용하여 LFH를 구현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제안한 LFH와 대표적인 지역, 전역 방식인 SIFT 및 EHD 방식과 저장용량, 추출 시간, 검색 속도 및 정확률에 대한 성능을 비교하였다.

ARINC 653 멀티코어 기반 그래픽스 렌더링 엔진 분산처리방안 연구 (The Study of Distributed Processing for Graphics Rendering Engine Based on ARINC 653 Multi-Core System)

  • 정무경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1-8
    • /
    • 2019
  • 최근 항공기 운용 장비는 시스템 수 및 무게, 전력 소비량 플랫폼 중복성을 줄이기 위해 기존 연합형(Federated) 구조에서 멀티코어를 이용한 모듈형(Integrated Modular) 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다수의 기능을 하나의 모듈에 통합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조종사에게 제공해야할 정보량이 증가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시스템 운용주기 내에 처리해야할 그래픽양이 증가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코어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AMP(Asymmetric Multi-Processing) 방식의 파티셔닝 운용 시스템(Partition Operating System)에서 항공기 시스템의 운용주기 내에 보다 많은 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 단일코어로 처리되는 기존의 그래픽스 렌더링 엔진 구조를 멀티코어로 분산하여 처리할 수 있는 그래픽스 렌더링 엔진 분산처리방안을 제시한다.

최적의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ptimal Smart Home Control System)

  • 이형로;인치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35-141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최적의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최근 센서와 통신과 같은 기술들을 발전으로 사물인터넷은 전구, 콘센트, 옷과 같은 다양한 사물을 제어할 수 있게 되었으며, 다양한 기업에서는 사물간의 협업을 통해 사용자의 삶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서비스들을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사물인터넷 시스템에서는 엔드 투 엔드 디바이스인 경우 다양한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지만 서버 및 게이트웨이는 단일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제조사에 따라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며, 여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들을 등록하고 제어하는데 있어서 높은 복잡성을 가지고 있다. 증강현실 사물인터넷 시스템인 경우 사물들을 검출하기 위해 OpenCV 또는 OpenGL을 사용하여 특징점 및 엣지 추출 기술을 사용 하지만 사물의 인식률이 샘플링 데이터에 따라서 편차가 크게 존재하며, 비교적 낮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제안하는 최적의 스마트 홈 시스템에서는 기존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OneM2M을 기반으로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를 구현하여 엔드 투 엔드 디바이스의 다양한 프로토콜들을 지원하고, 단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사물을 제어 등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인공지능 분야의 딥러닝을 사용하여 디바이스들을 학습시키고 추론 및 검출을 통해 기존 시스템의 사물 인식률 향상과 인식률의 편차를 낮추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