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T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4초

이더넷 PON 기술 기반 FTTH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FTTH System based on Ethernet PON Technology)

  • 박천관;전병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2호
    • /
    • pp.66-75
    • /
    • 2006
  • 본 논문은 이더넷 PON 기술 기반 FTTH 시스템 구현에 관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OLT와 ONT로 구성되었다. OLT는 시스템 당 최대 24개의 기가비트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향후 디지털 통신 방송 융합 서비스를 고려한 설계로 융통성과 확장성을 가지고 있다. OLT 시스템은 스위치 모듈, 가입자 모듈, 프로세서 모듈, 그리고 E-PON 링크 모듈로 이루어져 있으며, 리눅스 운영체제를 탑재하고 있다 ONT는 가입자 댁내에 실장되어 IP-TV 및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IP-TV 신호 전달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IP-TV 전용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이 시스템을 통하여 E-PON MAC 성능을 측정하였으며, IP-TV용 가상링크와 데이터용 가상링크를 분리하여 ONT에서 트래픽별 QoS 제어 특성을 측정하였다.

OntCIA: 시맨틱 웹 기술 기반의 소프트웨어 변경 영향분석 시스템 (OntCIA: Software Change Impact Analysis System Based on the Semantic Web)

  • 송희석
    • 지능정보연구
    • /
    • 제10권2호
    • /
    • pp.111-131
    • /
    • 2004
  •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단계에서는 고객니즈, 마케팅 정책, 법, 제도의 변화 등으로 인한 다양한 시스템 변경 요구를 수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의 비가시성문제로 인해 새로운 변경 요구사항 발생 시 수정 대상 모듈을 발견하는데 지대한 시간이 요구될 뿐 아니라 모듈의 재 사용을 어렵게 만들어 중복 모듈이 양산 됨으로써 향후 장애의 근원이 되는 악순환이 전개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맨틱 웹(Semantic Web) 기술을 활용하여 이동통신사의 과금/청구 도메인의 관리자와 개발자들이 공유하고 있는 개념과 개념간 관계를 명시적으로 표현하고 이를 이용하여 변경대상 모듈을 쉽게 발견 할 뿐 아니라, 발견된 모듈에 대해 구조적 호출 및 조립 관계를 분석하도록 지원하는 온톨로지 기반 변경 영향 분석 시스템(OntCIA; Ontology based Change Impact Analysis System)을 제시한다. OntCIA는 스트링 매칭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의미적 모듈검색을 지원하며 잦은 변경이 요구되는 호출 및 조립 구조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에서 관리하고 도메인 지식은 온톨로지로 관리함으로써 유지 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가진다.

  • PDF

야간 저온조건이 파프리카 화분 활력 및 생식기관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w Night Temperature on Reproductive Organ Development in Relation to Pollen Viability of Bell Pepper)

  • 임채신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81-586
    • /
    • 2009
  • 고랭지 파프리카 재배 초기에 기형과 및 단위결과 과실이 많이 발생하는데 야간 저온이 화분 활력 및 생식기관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간 $28^{\circ}C$ 동일 조건에서 야간온도를 $13^{\circ}C$ (LNT)와 $20^{\circ}C$ (ONT)로 달리 처리하여 생장상에서 파프리카(Capsicum annuum cv. Plenty)를 재배하였다. ONT와 LNT에서 화분을 채취하여 10, 15, 20, 25, $30^{\circ}C$에서 발아시켰다. 24시간 후 화분의 활력을 살펴 본 결과, 처리에 관계 없이$25^{\circ}C$ 에서 화분 활력이 가장 좋았고 다음이 $30^{\circ}C$였다. $25^{\circ}C$에서 발아율은 ONT화분이 42%, LNT 화분이 21%였다. 화분관 신장길이는 화분발아 온도에 관계 없이 ONT화분이 가장 길었다. 화분관 신장 속도는 $25^{\circ}C$ 에서 발아시킨ONT화분이 가장 빨랐다. 파프리카가 재배된 ONT와 LNT 조건에서 화분 활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배지에 화분을 치상 후 ONT와 LNT에서 화분발아 시험을 실시하였다. LNT에서는 야간($13^{\circ}C$) 동안 화분이 발아되지 않았지만 주간($13^{\circ}C$)조건으로 전환되자 화분이 발아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ONT에서는 야간($20^{\circ}C$) 초기부터 화분이 발아되기 시작하여 주간($28^{\circ}C$)까지 계속 발아가 진행되었다. LNT에서는 과병길이, 자방지름, 수술길이, 화중 및 과중이 증가하였다. 종자수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LNT처리구에서도 종자가 잘 형성되었던 것은 주간에 수분수정이 이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지지만 기형과나 단위결과 발생 방지를 위해서는 화분발아를 저해하는 저온범위에 대한 정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SBA AF의 구축을 지원하는 온톨로지의 설계 및 구현(ONT-SAF)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ntology for Simulation based Architecture Framework (ONT-AF) in Military Domain)

  • 권영민;손미애;이우기
    • 정보화연구
    • /
    • 제9권3호
    • /
    • pp.233-241
    • /
    • 2012
  • 본 연구는 SBA AF의 효율적인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Architecture framework(AF)는 Enterprise Architecture(EA)를 운영하고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정의하고 그 요소들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다. 정부 및 여러 분야에서는 자크만 프레임워크, DoDAF, TOGAF, FEAF와 TEAF 등을 비롯한 많 아키텍처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고 있다. DoDAF는 국방분야에서 EA의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장 대표적은 아키텍처 프레임워크이다. DoDAF는 8개의 viewpoint와 40개의 view로 구성되어 있다. 특정목저에 맞춰 아키텍처프레임워크를 개발하기 위하여서는 시스템 아키텍트는 일련의 view들 및 해당 view들을 모델링하기 위해 필요한 data들을 선택하여야 한다. 그러나 DoDAF에는 다수의 view 및 data들과 이 들 사이에는 복잡한 연관관계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특정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아키텍처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기 위하여선 매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스템 아키텍트의 노력을 줄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뷰들사이에 존재하는 순서나 이행 혹은 상호참조관계등을 고려한 ONT-DAF(DoDAF를 위한 온톨로지)를 개발하였다. 또한 단일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내에 존재하는 view와 data의 재사용성을 위하여 DoDAF 가이드라인에 통합적으로 존재하는 view-data의 정보들을 각각 분리하여 구축하였다. 이러한 ONT-DAF는 'viewpoint', 'data', 'view', 'expression method'와 'reference model'의 5개의 class와 'has data', 'has view', 'has related view' 등 총 16개의 properties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활용하기 위하여 JESS engine과 SWRL rule을 활용한 총 4가지 유형의 8개의 룰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MoDAF에 존재하는 AV-1의 사례를 기반으로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본 ONT-DAF를 활용하였을 경우 시스템 아키텍트가 초기에 얻을 수 있는 정보가 단순 view많이 아닌 해당 view와 연관된 view 및 그 들 사이에 존재하는 연관관계와 view를 모델링하기 위해 필요한 data를 포함한 정보들을 제공함으로써 ONT-DAF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G-PON 기술 기반 FTTH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FTTH System based on G-PON Technology)

  • 박천관;송한영;전병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77-88
    • /
    • 2008
  • 본 논문은 G-PON 기술 기반 FITB/H 시스템 구현에 관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TDM 및 데이터 경로가 10msec내에 절체할 수 있는 이중화 기능을 지원한다. 이 시스템은 OLT와 ONU/ONT로 구성되었다. OLT는 시스템 당 최대 32개의 2.5Gbps 라인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향후 디지털 통신 방송 융합 서비스를 고려한 설계로 융통성과 확장성을 가지고 있다. OLT 시스템은 스위치 모듈, 가입자 모듈, 프로세서 모듈, 그리고 G-PON 링크 모듈로 이루어져 있으며, 리녹스 운영체제를 탑재하고 있다. ONT는 가입자 댁내에 실장되어 TP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ONU는 IP-TV 신호 전달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IP-TV 전용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 PDF

Nanopore Metagenomics Sequencing for Rapid Diagnosis and Characterization of Lily Viruses

  • Lee, Hyo-Jeong;Cho, In-Sook;Jeong, Rae-Do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8권5호
    • /
    • pp.503-512
    • /
    • 2022
  • Lilies (Lilium spp.)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ornamental flower crops grown in Korea. Most viral diseases in lilies are transmitted by infected bulbs, which cause serious economic losses due to reduced yields. Various diagnostic techniques and high-throughput sequencing methods have been used to detect lily viruses. According to Oxford Nanopore Technologies (ONT), MinION is a compact and portable sequencing device. In this study, three plant viruses, lily mottle, lily symptomless, and plantago asiatica mosaic virus, were detected in lily samples using the ONT platform. As a result of genome assembly of reads obtained through ONT, 100% coverage and 90.3-93.4% identity were obtained. Thus, we show that the ONT platform is a promising tool for the diagnosis and characterization of viruses that infect crops.

과잉치 치수유래 줄기세포의 Real-time PCR에 의한 계대간 상아질모세포 발현 특성 (Characterization of Odontoblasts in Supernumerary Tooth-derived Dental Pulp Stem Cells between Passages by Real-Time PCR)

  • 지상은;송솔;이준행;김종빈;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91-301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발거 된 매복 상악 과잉치에서 얻은 치수유래 줄기세포의 초기 계대와 후기 계대의 상아질모세포 유전자의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전신 의과 병력이 없는 6 - 9세 사이의 남녀아이 12명에게서 서면동의를 얻고 모두 상악에 위치한 과잉치를 발거하여 당일 발거된 과잉치의 치수세포를 채취하였다. 12개의 세포를 각각 3계대와 10계대에서 골형성 유도 분화제를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은 군을 나누어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시행하여 상아질모세포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사용된 유전자는 osteonectin (ONT), alkaline phosphatase (ALP), osteocalcin (OCN), dentin matrix protein 1 (DMP-1), 그리고 dentin sialophosphoprotein (DSPP)였다. 유전자 발현양은, 분화제를 처리하지 않은 군 3계대에서는 ONT, ALP, OCN, DMP-1, DSPP순서로 많이 발현하였다. 분화제를 처리하지 않은 군 10계대에서는 ONT, DMP-1, OCN, ALP, DSPP순으로 ONT, OCN, DSPP의 순서에는 변화가 없지만 ALP, DMP-1의 순서는 서로 바뀌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ALP와 DMP-1은 3계대와 10계대 세포의 분화를 위한 중요한 표지자로 사용될 수 있다. 과잉치 치수유래 줄기세포는 상아질모세포의 특성을 가지며, 또한 과잉치가 어린 나이에 발거되고 10계대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적게 걸린다는 것을 고려하면, 과잉치는 치아 유래 줄기세포의 공여부로서 훌륭한 활용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과잉치 치수 세포와 치주인대 세포의 유전자 발현 비교 (Comparison of Gene Expression from Supernumerary Dental Pulp and Periodontal Ligament Stem Cells)

  • 이상은;김종빈;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42-249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정량적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법을 이용하여 발거된 과잉치 치수 및 치주인대 줄기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하는 것이다. 전신병력이 없는 만 6세 남아 2명의 상악 전치부에 매복된 과잉치를 발거하였다. 같은 날 치수 및 치주인대 세포를 채취하였고, 3계대까지 계대배양하였다. 분석을 위해 상아질모세포 특이 유전자인 Alkaline phosphatase (ALP), Dentin Matrix Protein 1 (DMP-1), Dentin sialophosphoprotein (DSPP), Osteocalcin (OCN) 그리고 Osteonectin (ONT)을 사용했고, 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을 대조군으로 설정했다. 과잉치 치수 세포에서는 ONT, OCN, ALP, DMP-1, DSPP 순서로 발현량이 많았고, 치주인대 세포에서는 DMP-1과 DSPP의 순서만 바뀌었다. 치주인대 세포보다 치수 세포에서 모든 유전자의 발현량이 많았다. 이러한 상아질모세포의 특성을 고려해 보았을 때, 다른 조직으로의 분화 가능성이 있는 과잉치 줄기세포는 유용한 공여부로서 그 잠재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재사용 가능한 병리 온톨로지 구축을 위한 지식 모델링 시스템 개발 (Developing a Knowledge Modeling System for Reusable Pathological Ontologies)

  • 하병현;김홍기;이재일;김명기;강석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2)
    • /
    • pp.64-6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병리진단 시 참여자들의 지식과 의견을 효과적으로 교환할 수 있는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구축한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진단절차를 전산화하는 PathOnt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PathOnt 시스템은 재활용 가능한 온톨로지를 사용함으로써 여러 전문가들 간의 의사소통과 지식공유의 문제를 극복하였으며, 다 층위로 구현하여 웹 어플리케이션으로써의 비전도 제시하였다

  • PDF

시맨틱 디지털도서관 서비스를 위한 서지 온톨로지 구축 (Implementing Bibliographic Metadata Model for Social Semantic Digital Libraries)

  • 이유진;양성권;송민아;김홍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15-230
    • /
    • 2009
  • MARC, DC, MODS, MarcOnt 등의 서지 메타데이터 모델과 소셜 시맨틱 디지털도서관 사례인 JeromeDL의 메타데이터 모델 및 서지적 개념모델인 FRBR모델 등의 분석을 통해 국내 디지털도서관의 서지메타데이터에 적용 가능한 온톨로지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디지털도서관의 다양한 자원형식과 특성을 고려하고, 기존의 서지메타데이터들을 내포시켜 발전시킴으로써 서지자원에 대한 범용성과 상호운용성이 높은 서지 온톨로지를 구축하여 의미적인 검색과 서비스를 확보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