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K-gram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1초

밤나무 잎의 항미생물 효과 및 활성물질 (Active Compounds and Antimicrobial Effects from Castanea crenata Leaf)

  • 최옥범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67-372
    • /
    • 2005
  • 밤나무 잎에 함유된 기능성 물질 검색의 일환으로 항미생물 효과를 검정하고 활성물질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해 추출물의 활성을 확인한 후 시료를 n-hexane, EtOAc, MeOH로 순차 추출하여 정제한 다음 활성이 강한 MeOH 분획의 0.2 g, 0.5 g에 해당하는 추출물로 13종의 미생물에 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Cram 양성 세균 중에서 S. aureus와 S. epidermidis는 대조구로 사용한 benzoic acid보다 강한 활성이 나타났고, M. luteus와 L. mesenteroides, B. subtilis에서도 활성이 인정되었으며, Gram 음성 세균인 E. coli, S. typhimurium, P. aeruginosa에서도 강한 활성이 나타나 밤나무 잎 추출물은 비교적 넓은 항균 spectra와 활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활성물질을 규명하고자 시료를 solvent fractionation, silica gel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HPLC 등으로 정제하고 활성이 나타난 산성 획분과 페놀성 획분의 물질을 분리한 후 MS, $^1H-NMR,\;^{13}C-NMR$ 등으로 분석한 결과, 산성 획분에서는 stigmast- 5-en-3-ol($\beta$-sitosterol)이 활성을 갖는 물질로 나타났다.

소아 암 환자에서 발생한 균혈증 : 원인균과 항생제 감수성 (Bacteremia in Pediatric Cancer Patients : Causative Organisms and Antibiotic Sensitivities)

  • 김용한;이현동;하정옥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6호
    • /
    • pp.619-623
    • /
    • 2005
  • 목 적 : 면역 저하된 소아 암 환자에서 균혈증은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하지 못하면 이환율과 사망률이 높아 질 수 있는 질환으로서 호발 원인균의 발생 빈도 및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은 지역적 시기적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를 조사하여 경험적 항생제 선택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 법 : 1995년 9월부터 2003년 8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부속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소아 암 환자를 대상으로 병력지와 혈액배양검사 결과를 조사하여 균혈증이 확진된 39명, 58례를 대상으로 원인 균의 종류 및 항생제 감수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결 과 : 소아 암 환자에서 균혈증의 발생빈도는 균혈증이 의심되어 혈액배양을 시행한 1,022례 중 58례로 5.7%였다. 균혈증을 일으킨 가장 흔한 원인 균은 그람양성균으로 총 37례(63.8%) 였고 그람음성균은 총 21례(36.2%)였다. 그람양성균의 경우 Staphylococcus epidermidis (22례, 37.9%), Staphylococcus aureus (10례, 17.3%), Streptococcus (5례, 8.6%) 순이었고, 그람음성균의 경우 Escherichia coli (7례, 12%), Enterobacter (4례, 6.9%), Klebsiella (4례, 6.9%), Serratia (2례, 3.5%), Acinetobacter (2례, 3.5%), Proteus (1례, 1.7%), Morganella morganii (1례, 1.7%) 순으로 나타났다.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서는 그람양성균 37례 중 6례(16%)에서만 penicillin 감수성을 나타내었고, 15례(40%)에서 oxacillin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Staphylococcus aureus는 1례를 제외한 모든 예에서 vancomycin에, Staphylococcus epidermidis는 1례를 제외한 모든 예에서 teicoplanin에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그람음성균의 경우, 21례 중 2례(10%)만이 cefotaxime에, 4례(19%)에서만 ceftazidime에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Aminoglycoside에는 21례 중 6례(29%) 에서만 감수성을 나타내었으며, 21례 모두에서 imipenem에 감수성을, 2000년 이후부터 감수성 검사를 시행한 meropenem에도 모든 예에서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결 론: 균혈증이 의심되는 소아 암 환자에서 그람양성균에 의한 균혈증이 증가하는 점과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 모두 항생제 다제내성 빈도가 증가하고 있음을 유념하여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해야 할 것이다.

청소년 미혼모와 일반 청소인의 자아상태, 인생태도 및 가족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go-State, Life Position and family System of Unmarried Adolescent Mothers and Female Adolescents)

  • 배영미;이형실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39-51
    • /
    • 2002
  • Pregnancies of unmarried women are one of the most serious sex problems because they can negatively affect the lives and development of both unwed mothers and their extramarital children. The number of unwed adolescent mothers is growing recently, extending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go-state, life position and family systems that may cause unmarried pregnancy. The data obtained from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of 79 unmarried adolescent mothers and 82 female adolescents were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and t-test using the SPSS WIN 8.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Ego-state elements of unmarried adolescent mothers were distributed evenly in general and this falls under the All B(BBBBB) type of ego-gram, just like the adolescents. As for the subject adolescent mothers, CP was the lowest among the 5 egos. 2. As to the life position, the position of "I′m OK, You′re OK"was the highest for both groups, with slight differences. 3. With regard to the family system types sorted by the combination of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levels, both the adolescent. mothers and adolescents tended to perceive their families as somewhat-balanced or balanced families. 4. While the two groups of adolescent mothers and adolescents showed, on the whole, the same types for all the indicators like abo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ore detailed elements.

밤잎차(茶) 물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미생물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Water Extracts with Castanea crenata Leaf Tea)

  • 최옥범;유경수;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128-1131
    • /
    • 1999
  • 밤나무 잎을 이용해 제조한 불발효 처리한 증제차와 반발효차의 항산화 및 항미생물 효과를 탐색하였다. 각각의 밤잎차 물추출물을 동결건조한 시료를 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검토한 결과, 두 종류의 차 모두 대조구로 사용한 BHT보다 동일농도에서 강한 활성이 나타났으며, 이들의 $SC_{50}$은 증제차 53.3 ${\mu}g/mL$, 반발효차 49.9 ${\mu}g/mL$, BHT 101.0 ${\mu}g/mL$으로 나타났다. 또한 paper disc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차 0.2 g, 0.5 g에 상당하는 동결건조물의 MeOH추출물 8 mg과 20 mg으로 다양한 미생물에 대해 항미생물 활성을 측정한 결과, gram양성 세균 중에서 S. aureus와 S. epidermidis gram음성 세균인 E. coli, S. typhimurium, P. aeruginosa는 대조구로 사용한 0.65 mg의 benzoic acid보다 강한 활성이 나타났고, M. luteus와 L. mesenteroides, B. subtilis에서도 활성이 인정되어 증제차와 반발효차 모두 비교적 넓은 항균 spectra와 활성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IBAD를 이용하여 알루미나 위에 HAp를 Coating하는 연구와 이의 항균력 시험 (Ag Impregnated HAp Coatings on Alumina Substrate by IBAD and Its Biological Test)

  • 박의서;김택남;임혁준;김윤종;황득수;김정우;김선옥
    • 공학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181-187
    • /
    • 1998
  • Hydroxyapatite($Ca_10(PO_4)_6(OH)_2$)는 생체친화성이 뛰어나고 인체의 뼈와 성분이 비슷하여 생체이식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HAp는 소결후 낮은 강도 때문에 HAp자체만으로는 생체이식재료로서의 강도를 기대할 수가 없다. 그러나 알루미나는 생리화학적인 환경에서 높은 강도와 매우 안정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알루미나 위에 HAp를 coating시켜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알루미나와 HAp의 장점만을 이용하고, HAp에 항균성 물질을 첨가하여 항균효과를 나타내도록 하였다. 항균test는 생체재료이식시 가장 많은 감염을 일으키는 bacteria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HAp에서 $Ag^+$$Ca^{2+}$이 이온교환을 시키기 위하여 20ppm, 100ppm의 $AgNO_3$용액에 48시간동안 처리하고, 이 재료를 사용하여 항균test를 하였다. 항균test에 사용된 bacteria는 gram negative bacteria인 Escherichia coli와 Pseudomonas aeruginosa, gram positive bacteria인 Staphylococcus epidermidis를 사용하였고, 항균test결과는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AgNO_3$용액에서 처리한 sample들은 SEM과 XRD를 사용하여 표면구조와 성분을 조사하고, 유사생체용액(Simulated Body Fluid)에서 Ag release curve를 조사하였다.

  • PDF

김치로부터 오르니틴 생성능을 갖는 Weissella 속 균주의 분리, 동정 및 특성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eissella Strains with High Ornithine Producing Capacity from Kimchi)

  • 유진주;박형주;김수곤;오석흥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39-345
    • /
    • 2009
  • 김치로부터 오르니틴을 생산하는 능력이 있는 2개의 젖산균주(OK1-4, OK1-6)를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그람 양성, 단간균이었으며, 혐기적 조건에서 이산화탄소를 생성하였다. MRS 배지에서 $25\sim37^{\circ}C$ 범위와 pH 6.0~7.0 범위에서 잘 자랐으며, 성장을 위한 최적 온도와 pH는 각각 $30^{\circ}C$와 pH 6.5이었다. 분리된 젖산균주는 L-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리보오스, 글루코오스 등의 당을 분해하여 산을 생성하였고, cellobiose, galactose, raffinose, trehalsoe는 분해하지 못하였다. 16S rD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분리된 균주는 유전자은행에 등재되어 있는 Weissella koreensis S5623(AY035891)의 염기서열과 각각 99.6%와 99.7%의 서열 동질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같은 생화학적 특성과 염기서열 분석결과를 토대로 분리된 균주를 Weissella koreensis OK1-4와 Weissella koreensis OK1-6로 각각 명명하였다. 이들 균주의 오르니틴 생성능력은 1% 아르기닌이 첨가된 MRS 배지에서 각각 27.01와 31.41 mg/L/h 이었다. 이와같은 결과는 우리김치로부터 분리된 Weissella 속 균주의 오르니틴 생성에 관한 최초의 보고이다.

Cytotoxicity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Sophora flavescens Ait. (IV)

  • Baek, Seung-Hwa;Kang, Kil-Ung;Lee, Jeong-Ho;Park, Nang-Kyu;Chai, Kyu-Yun;You, Il-Soo;Kim, Jong-Soo;Ryu, Do-Gon;Lee, Kang-Min;Yang, Eun-Yeong;Lee, Hyun-Ok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1권2호
    • /
    • pp.45-51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cytotoxicity of the methanol extract from Sophora flavescens Ait. against L1210 (lymphocytic leukemia) and $P388D_1$ (lymphoid neoplasma) Cells in vitro. We have determined cytotoxicity by the MTT (3- (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2H- tetrazolium bromide) assay. The order of cytotoxicity of Sophora flavescens Ait. extracts against L1210 and $P388D_1$ cells in vitro is as follows: Fr. 4 > Fr. 3 > Fr. 5 > Fr. 2 > Fr. 1.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raction 4 of the methanol extracts from Sophora flavescens Ait. may be a valuable choice for the development of antitumor agents. In order to develop an antimicrobial agent, dried Sophora flavescens Ait. was extracted with hot methanol, and then antimicrobial activity (MIC test)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fraction 3 of the methanol extracts from the roots of S. flavescens showed strong growth inhibition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MIC, $3.125\;{\mu}g/ml$) such as S. mutans, S. epidermidis and P. putid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ractions 3 and 4 inhibit tumor cells and bacteria.

  • PDF

Analysis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Formed by Different Upland Fields in Gyeongnam Province

  • Kim, Min Keun;Ok, Yong Sik;Heo, Jae-Young;Choi, Si-Lim;Lee, Sang-Dae;Shin, Hyun-Yul;Kim, Je-Hong;Kim, Hye Ran;Lee, Young Ha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00-106
    • /
    • 2014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variations in soil microbial communities by fatty acid methyl ester (FAME) and the chemical properties at 24 sites of upland soils in Gyeongnam Provinc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oil under potato cultiv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red pepper and soybean soils (p < 0.05). The gram-negative bacteria community in potato soi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garlic and soybean soils (p < 0.05). The communities of actinomycetes and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the red pepper soi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potato soil (p < 0.05). In addition, the cy17:0 to 16:$1{\omega}7c$ ratio was significantly lower in red pepper, soybean, and garlic soils compared with potato soil, indicating that microbial stress decreased. Consequently, differences in soil microbial community were highly associated with cultivated crop species, and this might be resulted from the difference in soil chemical properties.

배암차즈기 추출물의 세포독성과 항균효과 (Cytotoxicity and Antimicrobial Effect of the Extract of Salvia plebeia)

  • 신민교;김석근;이상건;강영성;김성수;양은영;이현옥;백승화
    • 생약학회지
    • /
    • 제32권1호통권124호
    • /
    • pp.55-60
    • /
    • 2001
  • The comparison of $IC_{50}$ values of Salvia plebeia R. Br. extracts on L1210, $P388D_1$ cancer and Vero normal cell lines showed that the n-hexane soluble extract of S. plebeia R. Br. retains the most growth-inhibitory activity against tumor cell lines.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the extract against microorganisms were also examined. Antimicrobial activity of amocla and ketoconazole as references was compared to those of other solvent extracts such as $H_2O$,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methanol.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 had growth inhibition activity against gramnegative bacteria, gram-positive bacteria and fungi $(MIC\;>\;200\;{\mu}g/ml)$ except for n-hexane extract. Seven bacterial strains were tested for in vitro susceptibility to the extract of S. plebeia R. Br. However the n-hexane extract of S. plebeia R. Br. inhibited the growth of several bacterial strains (MIC values between 100 and $200\;{\mu}g/ml$ for gram positive bacteria, $25\;{\mu}g/ml$ for P. putida).

  • PDF

Estimation of Distribution of a Commensal Thermophile in Soil by Competitive Quantitative PCR and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 Rhee, Sung-Keun;Hong, Seung-Pyo;Bae, Jin-Woo;Jeon, Che-Ok;Lee, Seung-Goo;Song, Jae-Jun;Poo, Ha-Ryoung;Sung, Moon-H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6호
    • /
    • pp.940-945
    • /
    • 2001
  • Symbiobacterium toebii has been previously reported as a novel commensal thermophile exhibiting a commensal interaction with thermophilic Geobacillus sp. SK-1.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this commensal thermophile in various soils using molecular methods, such as quantitative PCR and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polymorphism analysis. Based on a nested competitive quantitative PCR the 16S rDNA of the commensal thermophile was only detected in compost soils at about $1.0{\times}10^4$ cpoies per gram of soil, corresponding to $0.25{\times}10^4$ cells per gram of soil. However, in an enrichment experiment at $60^{\circ}C$, about $1.0{\times}10^8$ copies of 16S rDNA molecules were detected per ml of enriched culture broth for all the soils, and more than 0.1 mM indole accumulated as the product of commensal bacterial growth. When incubated at $30^{\circ}C$, neither the 16S rDNA of the commensal bacterium nor any indole accumulation was detected. Accordingly, even though the 16S rDNA of the bacterium was only detected in the compost soils by a nested PCR, the presence of the 16S rDNA molecules of commensal thermophile and accumulation of indole in all the enriched cultures appeared to indicate that the commensal thermophile is widely distributed in various soi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