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H.

검색결과 67,283건 처리시간 0.079초

鹽基性炭酸알루미늄 알칼리金屬 化合物의 合成 (Synthesis of Basic Alkali Metal Aluminium Carbonates)

  • 김병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3-59
    • /
    • 1977
  • 알루민산나트륨과 알루민산칼륨 용액에 $CO_2$가스 吹入法에 의해 $NaAlCO_3(OH)_2\;(Dawsonite)와\;KAlCO_3(OH)_2$를 合成하였다. 이 反應은 80 ∼ $90^{\circ}C$에서 $Na_2O/Al_2O_3,\;K_2O/Al_2O_3$의 몰比가 各 各 6∼8, 8∼10인 알루민산알칼리 용액중에 $CO_2$가스를 吹?하여 達成되었다. 알루민산알칼리 용액중에 $HCO_3^-$이 多量 存在하며 알루미나가 平衡固相으로서 Boehmite로 存在할 때 高純度의 Dawsonate와 $KAlCO_3(OH)_2$가 生成된다는 것을 알았다. 이런 條件下에서 合成된 Dawsonite와 $KAlCO_3(OH)_2$의 示性式은 赤外線吸收스펙트럼 分析結果 各各 $NaAlO(OH)HCO_3와\;KAlO(OH)HCO_3$로 나타내는 것이 妥當하다고 생각된다. 또 電子顯微鏡觀察로부터 Dawsonite는 纖維狀結晶, $KAlCO_3(OH)_2$는 針狀結晶으로 되어 있다는 것을 알았다.

  • PDF

물아닌 용액에서의 전해질의 행동에 관한 연구 (제4보). 요오드화알칼리금속의 상대점도와 삼투계수 (The Behavior of Electrolytes in Nonaqueous Solutions (IV). Relative Viscosities and Osmotic Coefficients of Alkaline Metal Iodides)

  • 김시중;김진호;최규성
    • 대한화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349-354
    • /
    • 1984
  • 요오드화알칼리금속(NaI, KI, RbI, CsI)의 상대점도와 삼투 계수를 메탄올, 에탄올, dimethylsulfoxide (DMSO), and sulfolane (TMS) 용액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각 용매에서 요오드화 알칼리금속의 점도 A계수는 MeOH > EtOH > TMS > DMSO의 순위이고, 점도 B계수는 TMS > EtOH > DMSO > MeOH의 순위이다. 또 양성자성용매인 MeOH과 EtOH에서는 dB/dT의 순위가 NaI > KI > RbI > CsI이나, 비양성자성용매인 DMSO와 TMS에서는 반대순위이다. 한편 모든 용액에서 전해질의 삼투 계수는 Raoult 법칙의 양의 벗어남으로 인해 농도증가에 따라 삼투계수는 감소하였다. 각용매에서의 전해질의 삼투계수가 커지는 순위는 EtOH > DMSO > MeOH > TMS이다. 이러한 사실로 부터 요오드화알칼리금속은 양성자성용매와 비양성자성용매에서의 용매화현상이 매우 다르며, 이온쌍형성 및 용매의 구조파괴현상 등이 있음을 알았다.

  • PDF

초임계수 중에서 NaOH 첨가에 의한 o-chlorophenol의 분해 및 부산물 생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ormation of Byproducts and the Decomposition of o-Chlorophenol by Addition of NaOH in Supercritical Water)

  • 송병주;김종국;이근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73-27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수 중에서 o-chlorophenol(o-CP)의 분해 및 중간 생성물 형성에 미치는 NaOH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NaOH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o-CP의 분해율은 20% 이하로 낮았으나 NaOH를 o-CP의 몰 농도에 대하여 200% 이상 첨가한 경우 체류 시간 1초 이내에 100% 가까운 분해율을 얻을 수 있었다. 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PAHs 및 페놀 화합물의 양도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NaOH 첨가가 부산물 생성 억제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NaOH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와 첨가한 경우 공통적으로 페놀, 크레졸, 염화 페놀류, PAHs 및 1-indanone, dibenzofuran, dibenzo-dioxin, p,p'-dihydroxybiphenyl 등과 같이 2개 이상의 벤젠 고리가 산소로 연결된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반면에 NaOH를 첨가한 경우에는 2-ethylphenol, o-hydroxyacetophenone, hydroquinone, 4-allylphenol, 3-phenoxyphenol 및 4,4'-oxybisphenol이 생성되어 NaOH 첨가로 인한 o-CP의 분해는 훨씬 더 복잡한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페놀의 소각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보고된 화합물인 dibenzofuran, dibenzo-p-dioxin 등도 본 연구에서도 생성된 것으로부터 소각과 초임계수에 의한 열분해 사이에는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Crude Polysaccharide from Inonotus obliquus Sclerotia by Fractionation including MeOH Reflux

  • Lee, Kyung-Haeng;Kim, Hoon;Oh, Sung-Hoon;Hwang, Jong-Hyun;Yu, Kwang-Won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6-104
    • /
    • 2017
  • To obtain the immunomodulating polysaccharide from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sclerotia, IO), crude polysac- charide fractions (IO-M-CP and IO-CP, respectively) prepared from hot-water extract (IO-W) of I. obliquus by EtOH precipitation after MeOH reflux or not. After IO-W was re-dissolved in water followed by EtOH addition in the case without MeOH reflux, EtOH mixture was fractionated into EtOH-soluble (IO-E) and crude polysaccharide (IO-CP). In the meanwhile, MeOH-soluble fraction (IO-M) was separated from IO-W after MeOH reflux. The residue was dissolved in water and was added by EtOH, and then EtOH mixture was also fractionation into EtOH-soluble (IO-M-E) and crude polysaccharide (IO-M-CP). As a result of the macrophage stimulating activity of these fractions, IO-CP and IO-M-C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and cytokines production than IO-W. Particularly, IO-M-CP promotes the production of IL-12 more than IO-CP. In the splenocytes proliferating activity and intestinal immune system modulating activity through Peyer's patch, both of 2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s were significantly promoted in cell proliferation and cytokines production than IO-W, and IO-M-CP was more potent than IO-CP in IL-2 production from splenocytes and GM-CSF production ($10{\mu}g/mL$) in Peyer's patch cells. In addition, immunomodulating polysaccharide fractions (IO-M-CP and IO-CP) prepared from IO-W by EtOH precipitation with or without EtOH reflux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component suga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eOH reflux might exclude low-molecular weight materials from IO-W and consequently increase the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IO-M-CP.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immunomodulation of polysaccharide prepared from hot-water extract of chaga mushroom was enhanced by fractionation including MeOH reflux and EtOH precipitation.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토양세척기법에서 수산화물의 첨가와 온도의 영향 (Effects of Hydroxides and Temperature on Soil Washing Technology Enhanced by Nonionic Surfactants)

  • 류두현;장민;최상일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71-176
    • /
    • 1998
  •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에 여러 종류의 수산화물을 혼합하여 오염토양에 대한 세척영향을 관찰 .분석한 후, 적합한 계면활성제 및 첨가제의 종류와 최적 농도를 찾고자 하였다. 또한 중요한 운전변수인 온도에 따른 세척효율을 분석하여 혼합 계면활성제의 HLB 값과 운점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실험결과, 염기의 강도가 증가할수록 세척효율은 NaOH>KOH> Mg(OH)$_2$>Al(OH)$_3$순서로 증가하였다. Al(OH)$_3$는 계면활성제를 응집시켜 세척효율은 매우 낮았다. 단독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POE$_{5}$에 NaOH를 첨가하는 경우 적정 농도인 0.01 M과 0.1 M에서 각각 62.5%와 67.3%로 급격하게 세척효율이 향상하다가 1 M의 농도에서 약 4.2%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혼합 계면활성제에 NaOH를 0.01 M 첨가했을 때, 첨가하지 않을 때보다 세척효율이 증가하였다. NaOH가 첨가되지 않을 때의 혼합 계면활성제에서는 POE$_{5}$/POE$_{14}$의 농도비가 1.8%/1.2%일 때 세척효율이 가장 높았지만, 0.01 M의 NaOH을 첨가했을 때는 1.2%/1.8%에서 85.4%의 높은 세척효율을 나타내었다. 혼합 계면 활성제[POE$_{5}$/POE$_{14}$]용액에 대해 NaOH 첨가량에 따른 용액의 표면장력과 CMC 값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NaOH를 첨가하는 경우 혼합 계면활성제의 표면장력을 감소시켰다. 한편,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HLB값이 증가할수록 운점은 증가하였고, 운점 이상의 온도에서 세척효율이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수 있었다.

  • PDF

Ni/Cd 전지에서 전해액에 의한 페이스트식 카드뮴 전극 특성 향상 (An Improve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Pasted Cadmium Electrodes by Electrolytes in Ni/Cd Battery)

  • 한민영;이완진;이우태;김선일;김진환
    • 공업화학
    • /
    • 제10권8호
    • /
    • pp.1192-1199
    • /
    • 1999
  • Ni/Cd 전지의 페이스트식 카드뮴전극에 있어서 방전시 생성되는 $Cd(OH)_2$의 구조를 전해액에 의하여${\gamma}-Cd(OH)_2$의 구조로 변화시켜 전극에 활물질을 고밀도로 충전시키므로써 전극의 특성을 향상시켰다. 전해액은 KOH 수용액에 NaOH를 농도별로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NaOH를 1.82 M 첨가한 전해액 내에서 충 방전한 전극의 활물질 이용률이 가장 높았으며, NaOH 첨가량의 증가에 의해 방전생성물인 $Cd(OH)_2$${\beta}$상에서 ${\gamma}$상으로 변화하는 정도가 증가하였다. 방전시 NaOH가 참가된 전해액에서 생성된 ${\gamma}-Cd(OH)_2$구조의 활물질 비표면적은 NaOH가 첨가되지 않은 전해액에서 생성된 ${\beta}-Cd(OH)_2$ 구조의 활물질 비표면적에 비하여 170% 이상 증가하였다. 밀폐형 전지에서는 NaOH가 첨가된 전해액의 전지가 첨가되지 않은 전지에 비하여 1.0 C와 2.0 C rate의 고율 충 방전 조건에서 방전용량이 증가하였으며, 1.0 C rate의 cycle에서도 향상된 성능이 500 cycle까지 지속되었다.

  • PDF

포도주 부산물의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 함량 및 항산화 효과 (Flavonoid and 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Effect of Wine By-product Extracts)

  • 백재열;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948-954
    • /
    • 2016
  • 포도주 가공 중에 발생하는 포도주 부산물의 항산화 활성 검토를 위해 포도주 부산물을 유기용매로 추출 및 분획하여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고 포도주 부산물의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포도주 부산물의 분획 및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의 양을 측정한 결과 MeOH 추출물은 A+M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의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분획물들 중에서는 85% aq. MeOH 분획물이 105.1±0.93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총 페놀 함량은 MeOH 추출물과 n-BuOH 분획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를 통한 라디칼 소거활성능을 측정한 결과, 0.5 mg/ml 첨가농도에서 MeOH 추출물은 74%의 소거율을 나타내었으며 분획물들 중에서는 n-BuOH 분획물이 72%의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ABTS+를 통한 라디칼 소거활성능을 측정한 결과, 0.5 mg/ml 첨가농도에서 85% aq. MeOH 및 n-BuOH 분획물들은 각각 90% 및 92% 소거활성을 나타내어 동일한 BHT 농도에서 92%인 것과 비교해 보았을 경우 합성항산화제만큼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세포내 활성 산소종 소거 효과를 나타내는 ROS 실험을 통해 0.1 mg/ml 첨가농도에서 MeOH 추출물과 n-BuOH 분획물은 각각 64%와 60%의 소거 활성을 나타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포도 및 포도씨와 비교했을 때 포도주 부산물의 경우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페놀 함유량은 다소 낮았지만 항산화 효과도 지속되는 것으로 여겨지므로 향후 포도주 부산물의 응용이 기대되어진다.

택란 잎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활성과 세포독성효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Free Radical Scavenging, Cytotoxic Effects, and Flavonoid Content of Fractions from Leaves of Lycopus lucidus Turcz.)

  • 나은;이정우;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37-34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택란 잎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택란 잎을 극성이 다른 용매로 분획하여 분획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택란 잎 분획물에 의한 라디칼 소거활성과 세포독성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택란 잎 85% MeOH 및 n-BuOH분획물들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41.5{\pm}0.00mg/g$$77.2{\pm}0.01mg/g$으로 n-BuOH 분획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DPPH assay에서 택란 잎 n-BuOH 분획물의 활성산소 소거능이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으로 85% MeOH 분획물에 의한 소거활성이 높았다(p<0.05). 각 분획물들의 $IC_{50}$값은 n-Hexane 9.76 mg/ml, 85% MeOH 0.50 mg/ml, n-BuOH 0.03 mg/ml 및 water 0.78 mg/ml로 나타났다. 또한 택란 잎 85% aq. MeOH 및 n-BuOH 분획물들에 의한 ABTs+소거활성은 각각 89.3% 및 92.1%이었으며 대조군인BHT와 L-ascorbic acid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p<0.05). ABTs+ assay에서 각 분획물들의 $IC_{50}$값은 n-Hexane 0.96 mg/ml, 85% MeOH 0.16 mg/ml, n-BuOH 0.01 mg/ml 및 water 0.31 mg/ml로 나타났다. 택란 잎 n-Hexane, 85% MeOH, n-BuOH 및 water 분획물들은 농도의존적으로 암세포들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분획물들 중 특히 n-Hexane과 85% MeOH 분획물들에 의한 세포독성 효과가 가장 높았다. AGS 암세포에 대한 택란 잎 n-Hexane, 85% MeOH, n-BuOH 및 water 분획물들의 $IC_{50}$ 값은 각각 0.18, 0.03, 0.62 및 0.12 mg/ml이었고 HT-29 암세포에 대한 $IC_{50}$ 값은 각각 0.26, 0.16, 0.60 및 1.14 mg/ml이었다. HT-1080 암세포에서 택란 잎n-Hexane, 85% MeOH, n-BuOH 및 water 분획물들의 $IC_{50}$ 값은 각각 0.34, 0.14, 0.48, 및 1.05 mg/ml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로부터 택란 잎 n-BuOH 분획물은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에 효과적이었고 n-Hexane과 85% MeOH 분획물들은 높은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향후 택란 잎을 이용한 식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산 처리 및 LiOH 첨착 활성탄에서 이산화탄소의 흡착 특성에 대한 연구 (Study of CO2 Adsorption Characteristics on Acid Treated and LiOH Impregnated Activated Carbons)

  • 한재욱;김대중;강민;김진원;김지만;이재의
    • 공업화학
    • /
    • 제16권3호
    • /
    • pp.312-31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원시 활성탄에 질산을 이용한 산 처리 또는 LiOH를 첨착한 후, 이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흡착 특성을 수분의 공존 유, 무 상태에서 고정층 파과 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질산 처리 및 LiOH 첨착에 따른 활성탄의 표면 성상 및 물리, 화학적 특성은 SEM, EDS, 질소 흡착, FTIR, XRD를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질산 처리로 인해 원시 활성탄의 비표면적은 감소하였지만 활성탄 표면에서 산소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질산의 산화 반응으로 활성탄 표면에 탄소 및 산소 외에 질소를 포함한 새로운 관능기가 생성되었다. LiOH 첨착으로 인한 비표면적의 감소 폭은 질산 처리한 활성탄이 원시 활성탄에 비해 작게 나타났다. LiOH를 2 wt% 이상으로 첨착하면 상당 부분의 LiOH가 활성탄 세공 내부에 들어가지 못하고 외부 표면에 존재하였다. 고정층 파과 실험을 통해 질산 처리 및 LiOH 첨착량 증가에 따라 활성탄의 이산화탄소 흡착 성능은 향상되었다. 또한 공급가스 내에 수분이 공존함에 따라 이산화탄소 흡착량이 증가하였다. LiOH가 첨착된 활성탄에서 이산화탄소 흡착 후 LiOH는 화학반응에 의해 $Li_2CO_3$로 전환함을 확인하였다.

도라지 부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nitric oxide 생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Extra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the Ballon Flower) on Oxidation and Nitric Oxide Production)

  • 장주리;황성연;임선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5-7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도라지 분말을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도라지의 추출물과 분획물들에 의한 세포 내 활성산소종 및 glutathione (GSH)를 측정하여 항산화효과를 검토하였고 NO 생성 저해 효과를 알아보았다.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억제 실험에서 건조 도라지의 A+M 및 MeOH 추출물과 추출물을 n-hexane, 85% aq. MeOH, n-BuOH, water로 다시 추출하여 얻어진 각각의 분획물들을 농도별로 HT1080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A+M과 MeOH 추출물 모두 측정시간 120분 동안 $500\;{\mu}M$ $H_2O_2$만을 처리한 control군에 비해 세포 내 활성산소종을 크게 억제시켰으며, MeOH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각 분획물들 중 n-BuOH 분획물이 다른 분획물들에 비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GSH 농도 측정 실험에서 A+M 및 85% aq. MeOH 분획물를 처리했을 때 GSH 함량이 증가하였다. NO 생성 저해 실험에서는 A+M 및 MeOH 추출물이 0.01 및 0.05 mg/mL의 농도에서 NO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M 추출물에 의한 저해 효과가 높았다. 각 분획물들은 모두 control보다 낮은 NO 생성량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85% aq. MeOH 및 n-BuOH 분획물은 0.05 mg/mL 농도에서 blank에 가까운 NO 생성 억제율을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n-BuOH 분획물에 의한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 억제 효과 및 NO 생성 저해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분획물의 분리 정제를 통한 새로운 기능성 물질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