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D production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9초

Effects of Glucagon-like Peptide-2 on Morphology, Proliferation and Enzyme Activity of Intestinal Enterocyte Cells of Weaned Piglets In vitro

  • Jia, Gang;Jiang, RongChuan;Wang, KangNi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8호
    • /
    • pp.1160-1166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single-factor design principle to investigate in vitro the effects of different glucagon-like peptide-2 (GLP-2) concentrations (0, $1{\times}10^{-11}$, $1{\times}10^{-10}$, $1{\times}10^{-9}$, $1{\times}10^{-8}$ and $1{\times}10^{-7}$ mol/L) on the morphology, proliferation and enzyme activity of intestinal enterocyte cells of 28-d-old weaned piglets. These cells were primary cultured in 4 pieces of 24-well cell culture plate. After having been grown for 48 h in culture media with hGLP-2, the ileal enterocyte cells of 28-d-old weaned piglets exhibited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simple columnar epithelium.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the quantities of treated cell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and their corresponding absorption values in 540 nm (MTT OD)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p<0.01). Likewise, lactic acid concentration, total protein content and protein retention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Na^{+}$, $K^{+}$-ATP enzyme activity was more active (p<0.05), although the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lactic acid dehydrogenase and creatine phosphokinase in culture media significantly decreased (p<0.01). To summarize, the results indicated that GLP-2 in vitro is capable of promoting the proliferation of intestinal enterocyte cells of 28-d weaned piglets, restraining their apoptosis and maintaining the integrity of their morphology.

Factors Affecting Agrobacterium tumefaciens-mediated Transformation of Panax ginseng C.A. Meyer

  • Kim, Ok-Tae;Jung, Su-Jin;Bang, Kyong-Hwan;Kim, Young-Chang;Shin, Yu-Su;Sung, Jung-Sook;Park, Chun-Geon;Seong, Nak-Sul;Cha, Seon-Woo;Park, Hee-Woon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0-104
    • /
    • 2007
  • A protocol for the production of transgenic Panax ginseng C.A. Meyer was established via Agrobacterium tumefaciens-mediated genetic transformation of direct somatic embryos. A number of conditions related to the co-cultivation were tested with respect to maximizing transformation efficiency. The results showed that pH of the co-cultivation medium (5.7), the bacterial growth phase (optical density; $OD_{600}$ = 0.8), co-cultivation period (3 days), and acetosyringone concentration $(100\;{\mu}M)$ had positive effects on transformation. Selected plantlets were cultured on the medium at an elevated hygromycin level(30 mg/l). Integration of the transgenes into the P. ginseng nuclear genome was confirmed by PCR analysis using hpt primers and by Southern hybridization using hpt-specific probe. The transgenic plantlets were obtained after 3-month cultivation and did not show any detectable variation in morphology or growth characteristics compared to wild-type plants.

인공 항원제시세포의 표면 분자의 특성 및 상호작용이 T 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perties and interactions of surface molecules in antigen presenting cells on T cell activation)

  • 민영실;강윤중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64-176
    • /
    • 2020
  • 인체 적응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데 중요한 항원 특이적 T 세포를 활용한 면역 세포 치료에서 T 세포를 체외에서 배양하고 클론 확장시키는 과정은 매우 섬세하고 복잡하여 조절하기가 쉽지 않아 T 세포의 활성화와 클론 확장을 유도하면서도 조절 및 취급이 용이한 인공 항원제시세포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인공 항원제시세포는 인체의 항원제시세포의 세포 표면 분자와 작용을 모방하게 되는데, 기본적인 신호 분자인 MHC-항원 복합체, 공동 자극 분자, 그리고 용해성 면역 조절 분자를 필수적으로 발현하여야 한다. 또한 T 세포가 항원과 접촉할 때, 이들 분자들이 잘 조직화되어 작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T 세포 활성화에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인공 항원제시세포 제작 방법과 세포 표면 분자들의 결합 방법과 물리적인 특성이 T 세포와의 상호작용에 중요함을 고찰하였으며, 효과적인 T 세포 활성화를 유도하며 면역세포치료에 적용 가능한 인공항원제세세포의 제작 방법을 살펴보았다.

Sensitivity of Escherichia coli to Seaweed (Ascophyllum nodosum) Phlorotannins and Terrestrial Tannins

  • Wang, Yuxi;Xu, Z.;Bach, S.J.;McAllister, T.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2호
    • /
    • pp.238-245
    • /
    • 2009
  • Pure cultur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bacteriostatic and bactericidal effects of phlorotannins (PT) isolated from Ascophyllum nodosum (brown seaweed) on Escherichia coli O157:H7. In Exp. 1, one non-O157:H7 strain (25922) and three strains of E. coli O157:H7 (3081, EDL933 and E318N) were cultured in M9 medium with PT included at 0 (control), 25, 50 or $100{\mu}g/ml$ (n = 3). Bacterial growth was monitored by $OD_{600}$ at 0, 4, 6, 12 and 24 h, and by dilution plating at 0, 4, 6 and 24 h. All strains were inhibited (p<0.001) by PT to varying degrees. At 50 or $100{\mu}g/ml$, PT prevented growth of all four strains. At $25{\mu}g\;PT/ml$, growth of 25922, 3081, E318N and EDL933 was inhibited for 6, 12 and 24 h, respectively, but 25922 and 3081 resumed growth by 12 and 24 h. Direct plating confirmed bactericidal effects of PT on all four strains at $100{\mu}g/ml$, and on EDL933 and E318N at $50{\mu}g/ml$. In Exp. 2, strains 25922 and 3081 were incubated with no tannins or with $50{\mu}g/ml$ of PT, purified condensed tannins (CT) from Quebracho (Schinopsis balansaei), or purified tannic acid from Rhus semialata (Anacardiaceae) as hydrolysable tannins (HT). Strain 3081 was unaffected by HT or CT, but was completely inhibited (p<0.001) by PT at 4, 6 and 24 h. Strain 25922 was unaffected by HT, slightly inhibited by CT, and almost eradicated by PT at 4 and 6 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tannin-mediated alterations to bacterial cell walls. Phlorotannins from A. nodosum exhibit growth-inhibiting and bactericidal effects in vitro against the strains of E. coli O157:H7 investigated. Anti-E. coli efficacy of A. nodosum PT is superior to that of terrestrial tannins purified from Quebracho and from Rhus semialata.

Milk Yield and Immune Response of Periparturient and Early Lactation Friesian Cows Fed Diets Supplemented with a High Level of Amino-acid Chelated Chromium

  • Terramoccia, S.;Bartocci, S.;Lillini, 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8호
    • /
    • pp.1098-1104
    • /
    • 2005
  • The trial was carried out on twenty-one Friesian cows at the end of eight months gestation, nine multiparous and twelve primiparous; allocated into three groups (1 control, 2 and 3 experimental). The same diet was administred to all three groups before partum (12.8 kg DM/head/day) and after partum (18.8 kg DM/head/day). The cows in groups 2 and 3 received two different daily quantities of amino-acid chelated chromium (0.6 and 1.2 mg Cr/kg DM) from 4 weeks prior to presumed parturition to 6 weeks after. The milk yield control was carried out at 15, 30, 42 and 60 days. All animals were immunised two weeks prior to the presumed parturition and two weeks after with the following antigens: ovalbumin and brucellergene.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weekly to monitor humoral and cell-mediated immune responses. When analysing the results of antibody immunity (ovalbumin) in the sixth blood collection both treated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group 1 (0.5230 and 0.4536 vs. 0.1812 OD; p<0.05). The results of the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brucellergene) had significant differences (p<0.10) in correspondence to the third (between group 2 and control) and the fifth (between groups 3 and 2) blood collecti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t corrected milk were observed at 42 days between group 3 and the other two groups (31.01 vs. 26.99 and 28.66 kg/d, p<0.05) and at 60 days between group 3 and control (30.88 vs. 26.69 kg/d, p<0.05). Before partum and at partum a positive immune response was obtained with a lower dose of chromium. After partum a positive immune response, anti-OVA indicator, was obtained with the higher dose of chromium while, $\gamma$-IFN indicator, with the lower dose. A significant increase of the milk yield resulted at both 42 and 60 days with the highest level of chromium.

Biochemical Quantitation of PM2 Phage DNA as a Substrate for Endonuclease Assay

  • Joo, Yoo-Jin;Kim, Hee-Ju;Lee, Jae-Yung;Kim, Joo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2권2호
    • /
    • pp.99-102
    • /
    • 2004
  • Bacteriophage PM2 has a closed circular form of double stranded DNA as a genome. This DNA from the phage is a useful source for nick-circle endonuclease assay in the fmol range. Due to difficulties in the maintenance of viral infectivity, storage conditions of the phage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puri-fication of PM2 DNA. The proper condition for a short-term storage of less than 2 months is to keep the PM2 phage at 4$^{\circ}C$; whereas the proper condition for a long-term storage of the PM2 phage for over 2 months is to keep it under liquid nitrogen in 7.5 % glycerol. The optimal conditions for a high yield of phage progeny were also considered with the goal to achieve a successful PM2 DNA preparation. A MOI(Multiplicity Of Infection) of 0.03, in which the OD$\sub$600/ of the host bacteria was between 0.3 and 0.5, turned out to be optimal for the mass production of PM2 phage with a burst size of about 214. Considerations of PM2 genome size, and the concentrations and radiospecific activities of purified PM2 DNA, are required to measure the endonuclease activity in the fmol range. This study reports the proper quantitation of radioactivity and the yield of purified DNA based on these conditions.

Vibrio fluvialis oligopeptide permease (oppA) 유전자 deletion에 의한 생리적 특성 (Characterization of Physiological Properties in Vibrio fluvialis by the Deletion of Oligopeptide Permease (oppA) Gene)

  • 안선희;이은미;김동균;홍경은;박은미;공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1-135
    • /
    • 2006
  • 미생물이 이용할 수 있는 nitrogen source는 di-, tri-, oli- go-peptide 또는 amino acid의 형태로 세포내로 uptake되어 대사과정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peptide는 특이한 transport system에 의해서 이동되고 있는데 oligo peptide(Opp) transport system에는 binding protein, permease protein, energy 생성을 위한 ATP 분해에 관여하는 protein 이 관여하고 있으며 염색체 상에서 이들 단백질들은 operon 형태의 유전자로부터 발현되고 있다. 본 연구는 gram 음성 세균이며 수해양 서식 세균인 V, fluvialis로부터 얻어진 Opp operon 유전자 가운데 oligopeptide binding protein을 coding하고 있는 oppA 유전자가 deletion된 mutant를 사용하여 여러 환경변화에 따른 생육을 wild type과 비교한 연구 결과 이다. 생육을 위한 완전배지인 brain heart infusion (BHI) 배지와 최소배지인 M9 minimal 배지를 사용한 결과 OppA protein의 생성 결핍에 따라 초기 및 대수증식기 과정 중에는 mutant의 생육이 늦어지고 있으나 Opp system이 아닌 다른 peptide전달 경로로 추정되는 system을 이용하여 대수 증식기 후반에서는 wild type과 거의 같은 생육 형태를 보여 주고 있었다. pH의 변화에 따른 생육은 pH 7에서는 생육정도가 비슷하였으나 약알칼리 부근에서는 oppA mutant의 생육이 wild type에 비하여 낮아지고 있었다. 또한 5 mM $H_2O_2$를 사용하여 $OD_{600}=1.2$농도의 세포들에 대한 영향을 검토한 결과 두 균 모두 높은 생존율을 보여 주었으며 이는 대수증식기 세포들을 사용한 결과와는 매우 다른 형태를 보여 주고 있었다. 항생제 내성에 대한 연구에서는 mutant가 streptomycin과 tetracycline 에 대해서는 wild type과는 다르게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생육이 되고 있지 않으나 polymyxin B에 대해서는 wild type과 같이 $10{\mu}g/ml$의 농도에서도 잘 자라고 있었다.

된장 분획물의 항돌연변이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와 interleukin-2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lvent Fractions from Doenjang on Antimutagenicity, Growth of Tumor Cells and Production of Interleukin-2)

  • 김광혁;박건영;이숙희;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6호통권86호
    • /
    • pp.791-797
    • /
    • 2007
  • 된장을 극성이 다른 유기용매로 분획하여 Ames test를 이용한 항돌연변이성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Yac-1과 sarcoma-180암세포들의 증식에 대한 된장 분획물의 효과를 측정함과 동시에 면역과정의 생물학적 작용과 대사적 변화를 유도하는 interleukin-2 (IL-2)의 생성에 대한 효과도 검토하였다. AFB$_1$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효과는 된장의 메탄을 추출물을 2.5 mg/plate 농도로 첨가했을 때 84%의 돌연변이 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같은 첨가농도에서 메탄을 분획물들중 디클로로메탄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각각 96%, 97%로 상당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직접돌연변이원인 MNNG의 경우, AFBI에 비해 돌연변이 저해효과가 다소 떨어지지만 그 중에서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75%로 가장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Sarcoma 180 cell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실험에서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첨가농도 15.6 ${\mu}$g/ml)은 60%의 저해효과를 나타내면서 농도 의존적으로 그 저해효과가 컸으며 250 ${\mu}$g/ml 농도에서는 80%의 저해효과를 관찰 할 수가 있었다. 에틸아세테이트분회물의 경우 디글로로메탄 분회물에 비해 다소 낮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지만 250 ${\mu}$g/ml 농도에서 약 60%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디클로로메탄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의한 면역 활성 증진 효과를 검토한 결과, 디글로로메탄 분획물은 첨가농도 1 ${\mu}$g/ml에서 94%로 Yac-1표적세포를 사멸시켰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도 동일 농도에서 96%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CTLL세포를 이용하여 이들 분획물들에 의한 interleuk된장을 극성이 다른 유기용매로 분획하여 Ames test를 이용한 항돌연변이성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Yac-1과 sarcoma-180암세포들의 증식에 대한 된장 분획물의 효과를 측정함과 동시에 면역과정의 생물학적 작용과 대사적 변화를 유도하는 interleukin-2 (IL-2)의 생성에 대한 효과도 검토하였다. AFB$_1$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효과는 된장의 메탄을 추출물을 2.5 mg/plate 농도로 첨가했을 때 84%의 돌연변이 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같은 첨가농도에서 메탄을 분획물들중 디클로로메탄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각각 96%, 97%로 상당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직접돌연변이원인 MNNG의 경우, AFBI에 비해 돌연변이 저해효과가 다소 떨어지지만 그 중에서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75%로 가장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Sarcoma 180 cell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실험에서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첨가농도 15.6 ${\mu}$g/ml)은 60%의 저해효과를 나타내면서 농도 의존적으로 그 저해효과가 컸으며 250 ${\mu}$g/ml 농도에서는 80%의 저해효과를 관찰 할 수가 있었다. 에틸아세테이트분회물의 경우 디글로로메탄 분회물에 비해 다소 낮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지만 250 ${\mu}$g/ml 농도에서 약 60%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디클로로메탄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의한 면역 활성 증진 효과를 검토한 결과, 디글로로메탄 분획물은 첨가농도 1 ${\mu}$g/ml에서 94%로 Yac-1표적세포를 사멸시켰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도 동일 농도에서 96%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CTLL세포를 이용하여 이들 분획물들에 의한 interleukin-2 (IL-2)의 활성 증진 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대조군의 OD가 0.16인데 비해 디클로로메탄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첨가농도 1 ${\mu}$g/ml에서 각각 0.30과 0.24를 나타내어 면역 활성 증진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된장에 의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는 IL-2같은 cytokine생성 증진에 따른 면역 담당 세포 활성화 작용과 관련을 가질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in-2 (IL-2)의 활성 증진 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대조군의 OD가 0.16인데 비해 디클로로메탄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첨가농도 1 ${\mu}$g/ml에서 각각 0.30과 0.24를 나타내어 면역 활성 증진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된장에 의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는 IL-2같은 cytokine생성 증진에 따른 면역 담당 세포 활성화 작용과 관련을 가질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부재료의 첨가에 따른 절임배추의 숙성 중 Chlorophyll 및 그 유도체의 함량변화 (Changes in the Conrent of Chlorophylls and Their Derivatives in Brined Korean Cabbages Added with Ingredients during Sorage)

  • 김경업;김성희;정효숙;이종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15-623
    • /
    • 2000
  • 각종 부재료를 각각으로 첨가한 절임배추를 제조하여 5$^{\circ}C$와 15$^{\circ}C$에서 13일간 저 장하면서 pH, 산도 및 아스코르브산의 함량변화를 측정하고 chlorophyll분해 및 그 유도체 의 생성과의 증가는 온도가 높을수록 뚜렷하여 온도와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첨가한 부재료의 영향을 보면 마늘, 고춧가루 및 젓갈은 pH의 저하나 산도의 증가를 촉진 하였고, 파와 생강은 큰 영향없이 나타났다. 5$^{\circ}C$ 및 15$^{\circ}C$의 발효기간 중 아스코로브산의 잔 존량은 대체적으로 갓을 첨가한 절임배추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Chlorophyll의 분해는 발효 기간 중 대체로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이 높았던 갓을 첨가한 절임배추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 으나 발효기간중 아스코르브산의 잔종량이 전반적으로 높았던 마늘을 첨가한 절임배추에서 chlorophyll의 분해가 심하였고, pheophytin과 pheophorbide 생성량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산도의 증가와 pH의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난 것과 일치되었다. 따라서 발효중의 chlorophyll의 분해는 아스코르브산 함량변화와도 연관이 있을뿐만 아니라역시 산 의 생성에 의한 pH의 감소와 관련성이 있었다.

  • PDF

Lux operon을 함유한 유전자 재조합 Escherichia coli의 발광 안정화 조건 및 독성물질에 대한 민감성 (Conditions for Stable light Production of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Containing Lux Operon and Sensitivity to Toxic Chemicals)

  • 배희경;이상민;정윤철;송방호;신평균
    • KSBB Journal
    • /
    • 제17권6호
    • /
    • pp.571-576
    • /
    • 2002
  • 수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독성물질을 확인하기 위한 생물학적 경보장치로 현재 상용화된 Lumistox의 단점을 보안하기위해, Photohabdus luminescence의 lux CDABE 유전자가 응합되어 기질첨가의 번거러움이 없는 재조합 E. coli DH5$\alpha$/pSB311을 제조하였다. 적정 생장 상태와 생균수, 발광 측정 완충용액들을 중심으로 재조합 S. coli DH5$\alpha$/pSB311의 발광 안정화 조건을 조사한 결과, 적정 세포수가 유지되면 측정 완충용액은 그 종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O $D_{660nm}$ 0.6~0.7 정도의 middle-exponential stage까지의 cell age를 가지고 $10^{6}$-$10^{7}$ 정도 희석한 세포수가 가장 안정화된 발광량을 보여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온도에 따른 재조합 E. coli와 Lumistox의 발광량의 변화를 살펴보면, Lumistox는 15$^{\circ}C$에서는 안정하나 실온(25 ~ 3$0^{\circ}C$)에서는 급격하게 발광량이 감소하는 현상을 보이는 반면, E. coli DH5$\alpha$/pSB311은 Photohabdus luminescence의 lux operon을 함유함으로써 온도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재조합 E. coli와 Lumistox의 중금속에 대한 독성정도를 EC값으로 산출하였다. Cd, Cu, Hg, Zn에 대해서 E. coli DH5$\alpha$/pSB311은 Lumistox보다 더 민감하거나 유사한 반응을 보였다. 이는 Lumistox의 성장과 발광을 안정화시켜 주는 고농도의 salt에 의한 민감도의 저하에 따른 현상으로, 광산이나 공장폐수와 같은 수계의 중금속 독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생물경보장치로 사용하기에는 해양 발광 미생물을 이용하기보다는 재조합 E. coli가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