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2 Plasma

검색결과 2,600건 처리시간 0.043초

체외순환전 투여된 Thiopental이 Beta-endorphin치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iopental Prevents A Beta-Endorphin Response to Cardiopulmonary Bypass)

  • 송선옥;;박대팔;지대림;김세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4권2호
    • /
    • pp.350-358
    • /
    • 1997
  • 수술에 의해 발생되는 침해성 통증이나 혈역학적 변화 및 내분비계의 반응은 마취 방법에 따라 약화되거나 조정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심장수술시 체외순환 직전에 sodium thiopental을 투여한 경우 beta-endorphin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시행되었다. 관상동맥 우회술과 판막치환술을 위한 체외순환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Isoflurane, $N_2O$ 및 fentanyl 지속 정주(2 ug/kg/hr)에 의한 전신마취 하에서 thiopental군(14명)은 sodium thiopental 500 mg을, 대조군(14명)은 생리식염수 20 ml를 체외순환 직전에 투여하였다. 체외순환 직전과 체외순환 개시 후 30분 및 60분에 beta-endorphin치와 평균동맥압, 심박출량 및 전신혈관저항 등의 혈역학 지수를 각각 측정하였다. Beta-endorphin치가 대조군에서는 체외순환 개시 후 30분 및 60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006, P=0.004) thiopental군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Beta-endorphin치의 변화는 양군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이었다(F=8.7, P=0.001). 혈역학적 변화는 양군 사이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체외순환 개시 직전에 투여된 thiopental은 체외순환중의 beta-endorphin치 변화를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댐수를 이용한 정밀여과 공정에서 막오염 특성 및 최적 화학세정방법 조사 (Characterization of Membrane Fouling and It's Optimal Chemical Cleaning Method in MF Process using D dam water)

  • 김충환;임재림;이병구;채선하;박민구;박상훈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59-569
    • /
    • 200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main foulant of membrane and the optimal chemical cleaning method for MF(microfiltration) drinking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D dam water as water source. The MF pilot plant which can treat maximum $500m^3/d$ consisted of 3 racks and was operated for 10 months under various operation conditions. After 10 months operation, $1^{st}$ and $2^{nd}$ rack of membrane pilot plant system were cleaned chemically and the degree of the restoration of the fouled membrane in terms of the pure water flux was detemnined. Inorganic compounds which contained in chemical cleaning waste was analyz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ICP). One membrane module for 3rd rack was disjointed and membrane fouling materials, especially inorganic compounds were investigated by Electron Probe Microanlysis (EPMA) to elucidate the reason of TMP increase. And also, the various chemical reagents (1N HCl or $H_2SO_4$, oxalic acid as acid and 0.3% NaOCl as alkali) were tested by combination of acid and alkali to determine the optimal chemical cleaning method for the MF system using micro-modules manufactured using the disjointed module. It was verified that the inside and outside of membrane module was colorized with black. As a result of the quantitative and semi-qualitative analysis of membrane foulant by ICP, most of inorganic foulant was manganese which is hard to remove by inorganic acid such as HCI. Especially, it was observed by EPMA that Mn was attached more seriously in inside surface of membrane than in outside surface of that. It was supposed that Mn fouling in inside surface of membrane might be caused by the oxidation of soluble manganese (Mn(II)) to insoluble manganese ($MnO_2$) by chlorine containing in backwashing water. The optimal cleaning method for the removal of manganese fouling was consecutive cleaning with the mixture of 1N HCl and 1% of oxalic acid, 0.3% NaOCl, and 1N HCl showing 91% of the restoration of the fouled membrane.

Effects of Chromium Yeast on Performance, Insulin Activity, and Lipid Metabolism in Lambs Fed Different Dietary Protein Levels

  • Yan, Xiaogang;Zhang, Wei;Cheng, Jianbo;Wang, Runlian;Kleemann, David O.;Zhu, Xiaoping;Jia, Zhiha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6호
    • /
    • pp.853-860
    • /
    • 2008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s of chromium (Cr), dietary crude protein (CP) level and potential interactions between these two factors on growth rate and carcass response, insulin activity and lipid metabolism in lambs. Forty-eight, 9-week-old weaned lambs (Dorper$\times$Small-tail Han sheep, mean initial body weight = $22.96kg{\pm}2.60kg$) were used in a $2{\times}3$ factorial arrangement of supplemental Cr (0 ppb, Cr0; 400 ppb, Cr1; or 800 ppb, Cr2 from chromium yeast) and CP levels (157 g/d to 171 g/d for each animal, LP; or 189 g/d to 209 g/d for each animal, HP). Growth data an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feed trial, after which the lambs were killed. Both Cr additive groups and the HP group increased final weight and average daily gain, especially the Cr1 and HP group (p<0.01). HP increased pelvic fat weight (p<0.05), fat thickness of the 10th rib (p<0.05), longissimus muscle area (p<0.01) and rate of deposition of intramuscular fat (p<0.01). Supplemental Cr decreased the rate of deposition of intramuscular fat (p<0.05). Fasting insulin level and the ratio of insulin to glucose were lower with Cr1 than other groups, but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Glucose concentration was not affected by any treatment. Nonesterified fatty acids increased in the Cr1 (p<0.05) and HP (p<0.05) condition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r{\times}CP$ interaction (p<0.05). Cr1 decreased triglycerides (p<0.05) and total cholesterol (p = 0.151) and HP increase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p<0.05). Cr1 decreased lipoprotein lipase activity in subcutaneous adipose tissue (aLPL, p<0.05) and the ratio of aLPL to lipoprotein lipase activity in skeletal muscle (mLPL, p = 0.079). mLPL and hepatic lipase (hHL) were not affected by any treatment. In the present study, Cr had limited effects on growth rate and carcass response, whereas Cr and CP had some notable effects on plasma metabolites and enzyme activities. Cr has a potential effect on energy modulation between lipid and muscle tissue. In addition, few $Cr{\times}CP$ interactions were observed.

축산식품에 이용하기 위한 쑥 성분중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The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of Mugwort Components for the Utilization to the Foods of Animal Husbandry)

  • 이치호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1998년도 정기총회 및 제21차 춘계학술발표회
    • /
    • pp.37-54
    • /
    • 1998
  • 건국대학교본 연구는 쑥의 추출물을 이용해 생체내에서 에탄올의 분해효능, 간기능 및 Cd 독성 저하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서 에탄올 분해효능은 Rat 1kg 당 25% 에탄을 5g을 경구투여한 후 쑥추출물의 카테킨 농도를 측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일일 사료섭취량의 2% 원료수준으로 각각 미정맥주사를 하였다. 에탄올만 경구투여한 대조군과 에탄올을 경구투여한 후 쑥추출물을 미정맥주사한 실험군은 시간별(0, 1, 2, 3시간)로 미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해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시킨 후 GC(Gas Chromatography)로 혈중 에탄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같은 방법으로 시간만 달리해 (0시간, 5시간) 혈장을 취해 GOT, GPT의 활성치를 측정하여 간손상정도를 측정하였다. 간기능에 미치는 효과는 간실질세포를 기본배지에 배양한 대조군과 쑥추출물을 배지의 1% 및 2% 원료수준으로 기본배지에 첨가하여 간실질세포를 배양한 실험군으로 나누어 36시간 배양한 후 현미경으로 형태를 관찰하고 생존 세포수와 GOT, GPT의 활성치를 함께 측정하였다. Cd 독성 저하작용은 4주령의 Sprague-Dawley 수컷 흰쥐를 구입하여 대조군(CON,0.85% saline 10ml/kg B.W.)과 Cd단독 투여군(CD, 0.4mg $CdCl_2/kg$ B.W.), Cd과 쑥추출물을 복강내 투여한 군(IP, 쑥 추출물은 일일사료섭취량의 1% 수준) 그리고 쑥추출물을 구강내 투여한 군(PO, 쑥 추출물은 일일사료섭취량의 1%수준)으로 분류하여 4주간 사육하였다. 사육 후 각종 장기 및 혈액을 채취하여 장기에서의 GSH 농도, GSH-Px 및 GR의 활성과 혈장 GOT, GPT 활성을 측정하였고 더불어 각 조직에서 Cd축적량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쑥추출물의 카테킨의 함량을 Iwasa와 Torri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한 결과 네 가지의 추출물중에서 카테킨의 함량은 쑥의 열수추출물이 $8{\sim}10mg/100g$으로 가장 많았으며 쑥의 에탄올 추출물은 $3{\sim}4mg/100g$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쑥 추출물을 HPLC를 이용해 주요 카테킨의 성분을 비교한 결과 쑥의 열수추출물 및 에탄올추출물은 (-)-Epigallocatechin (EGC)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3) 시간에 따른 혈중 에탄올 농도를 GC로 측정한 결과 각각 에탄올을 투여한지 1시간 후의 에탄올 농도에서는 CON-E의 경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MDW-E, MOH-E군은 CON-E에 비해 유의하게(p<0.05)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간실질세포 배양 36시간 후 배지를 걷어내고 밑면에 모인 세포를 모아 현미경으로 수를 측정하여 평균을 낸 결과는 2% MDW-L가 가장 많았으며 2% MOH-L을 제외하고는 CON-L의 세포수가 가장 적었다. 또한 배양 후 취한 세포내의 GOT, GPT의 활성치는 실험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6) 간 조직중의 GSH 함량수준은 쑥추출물 투여군들(IP, PO)이 C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p<0.05)하여 대조군과 같은 정상수준으로 되었다. (7) 간 신장에서의 GSH-Px 활성은 저농도의 Cd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8) 혈장 GOT활성은 IP군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C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p<0.05)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쑥추출물이 체내에서 에탄올 분해를 촉진시키고 간기능을 개선시킴은 물론 GSH농도의 정상회복과 GR의 증가 및 혈장에서의 GOT활성의 감소 등으로 보아 Cd의 간독성도 감소시키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Effects of Housing Systems and the Diet Supplements on the Slaughter Value and Concentration of Mineral Elements in the Loin Muscle of Lambs

  • Gabryszuk, M.;Kuicika, E.;Horbanzuk, K.;Oprzadek, 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5호
    • /
    • pp.726-732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intenance system as well as the effect of Se, Zn, and vitamin E supplementation of ram-lambs on the slaughter value and concentration of mineral elements in the loin muscle of lamb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72 Polish Merino ram-lambs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C, indoor with no supplement, 19 lambs; S, indoor with supplement, 23 lambs; G, outdoor with no supplement, 30 lambs. From birth all the lambs were maintained indoor with their dams and then weaned at the age of 8 weeks. The rams from group C and S were placed in individual straw-bedded pens and fattened individually with concentrate mixture offered ad libitum until the age of 16 weeks. The lambs from group G were grazed every day from May to July (2 months). During the fattening period each lamb from the supplemented group S was administered per os 1 mL 0.1% $Na_2SeO_4$ (Se, 0.42 mg), 3 mL 10% $ZnSO_4$ (Zn, 68 mg), and 1 mL premix protect vitamin E (0.1 g ${\alpha}$-tocopherol, 5 mg lysine, 5 mg methionine) daily. A comparison of half carcasses across the groups has shown no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one with supplements, while the weight of half carcasses in the grazing group was smaller in comparison with groups C and S (p<0.001). The meat content in the pelvic limb showed no differences across all groups under study. The pelvic limb of grazing lambs contained less fat compared to the control and supplemented groups (p<0.001). The concentrations of Se and Zn in the blood plasma of ram-lambs from the supplemented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for the control and grazing lambs. Inorganic Se and Zn supplementation with vitamin E to the diet of lambs increased Se and Zn levels in loin muscle (p<0.001) to $0.46{\mu}g/g$ and $32.9{\mu}g/g$ in fresh tissue, respectively.

ICP를 이용한 MTJ stack 위의 Ta 박막의 식각 특성 연구 (Dry etch of Ta thin film on MTJ stack in inductively coupled plasma)

  • 김동표;우종창;김창일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29
    • /
    • 2009
  • 현재 고집적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는 MRAM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과 PRAM (Phase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이 활발하게 미국과 일본, 한국 등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 중에서 MRAM은 DRAM과 비슷한 10 ns의 빠른 읽기/쓰기 속도와 비휘발성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전하를 저장할 커패시터가 필요 없고, 두 개의 자성충에 약 10 mA 정도의 전류를 가하면 그때 발생하는 약 10 Oe의 자장을 개개의 비트를 write하고, read 시에는 각 비트의 자기저항을 측정함으로써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을 있으므로, 고집적화가 가능성하다 [1]. 현재 우수한 박막 재료가 개발 되었으나, 고집적 MRAM 소자의 양산에는 해결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다층 박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식각 공정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지금까지 MRAM 재료의 식각은 주로 Ion milling, ICP, ECR등의 플라즈마 장치를 되었고, 식각 가스로는 할로겐 기체와 금속카보닐 형성을 위한 Co/$NH_3$$Ch_3OH$ 기체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할로겐 계열의 기체를 사용할 경우, 식각 부산물들의 높은 끓는점 때문에 식각 부산물이 박막의 표면에서 열적 탈착에 의하여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이온의 도움에 의한 식각이 필요하다. 또한 Cl 계열의 기체를 사용할 경우, 식각 공정 후, 시료가 대기에 노출되면 대기 중의 수분과 식각 부산물이 결합하여 부식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추가 공정이 요구된다. 최근에는 부식 현상이 없고, MTJ 상부에 사용되는 Ta 또는 Ti Hard mask와의 높은 선택비를 가지는 $CH_3OH$ 또는 CO/$NH_3$가 사용되고 있다. 하부 박막에 따른 식각 특성에 연구와 다층의 박막의 식각 공정에 발생에 관한 발표는 거의 없다. MRAM을 양산에 적용하기 위하여서는 Main etch 공정에서 빠른 식각 공정이 필요하고, Over etch 공정에서 하부박막에 대한 높은 선택비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식각 변수에 따른 플라즈마 측정과 표면 반응을 비교하여 각 공정의 식각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Main Etch 공정에서는 $Cl_2$/Ar 또는 $BCl_3$/Ar 가스를 이용하여 식각 실험을 수행하고, Over etch 공정에는 낮은 Ta 박막 식각 속도를 가지는 $Ch_4/O_2$/Ar 또는 $Ch_3OH$/Ar 가스를 이용하고자 한다. 플라즈마 내의 식각종과 Ta 박막과의 반응을 XPS와 AES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식각 공정 변수에 따른 식각 속도, 식각 선택비와 식각 프로파일 변화를 SEM을 이용하여 관찰한다.

  • PDF

폐경 전, 폐경 후 여성의 혈청 25-hydroxyvitamin D 수준과대사증후군 위험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erum 25-hydroxyvitamin D Concentration and the Risks of Metabolic Syndrome in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 김유진;문민선;양윤정;권오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1호
    • /
    • pp.20-29
    • /
    • 2012
  • Metabolic syndrome (MetS) has become a global epidemic. In particular, it is known that there is a dramatic increase in the prevalence of MetS among women during the postmenopausal period. Recently, accumulating studies have suggested that vitamin D deficiency may be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risk factors regarding MetS. However, evidence from postmenopausal women is limite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erum 25-hydroxyvitamin D [25(OH)D] and the MetS in Korean adult women aged 20-69 years (n = 2,618) by using the 2007-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The geometric mean of plasma 25(OH)D were $17.16{\pm}6.28\;ng$/mL and $20.20{\pm}7.69\;ng$/mL for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respectively. The percentages of vitamin D deficiency [25(OH)D < 12 ng/mL] were 22.5% and 14.4%, respectively. MetS was more prevalent in postmenopausal women (43.0%) compared with premenopausal women (11.2%). When serum concentrations of 25(OH)D were categorized in quintiles, there was no relationship in the prevalence of MetS in both premo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However, in premenopausal women, compared with the lowest 25(OH)D quintile, the odds ratio for hypertriglyceridemia in the highest quintile was 0.57 (95% CI 0.34-0.95, $P_{trend}$ = 0.041) and for low serum HDL cholesterol 0.60 (95% CI 0.42-0.85, $P_{trend}$ = 0.014) after adjusting for all potential confounders. On the other hand, we observed the tendency of an inverse relationship for 25(OH)D regarding low serum HDL cholesterol (OR 0.78, 95% CI 0.50-1.22, $P_{trend}$ = 0.029) and a direct relationship with abdominal obesity (OR 1.94, 95% CI 1.01, 3.74, $P_{trend}$ = 0.049) in postmenopausal wome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se findings in other research settings.

인간 $\alpha$-fetoprotein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의 제조 및 모노클로날 항체를 이용한 효소면역분석법의 개발 (Production of a Monoclonal Antibody to Human $\alpha$-Fetopotein and Development of Monoclonal Antibody-Base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for Human $\alpha$-Fetoprotein)

  • Michung Yoon;Hyun-Hee Lee;Youngwon Le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0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혈장이나 양수에 있는 $\alpha$-fetoprotein (AFP)을 인식 할 수 있는 모노클로날 항체를 제조하고, 모노클로날 항체를 이용한 효소면역분석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양수로부터 얻은 AFP를 쥐에 주사한 후 비장을 분리하여 종양세포 (Sp2/O-Ag-14)와 융합하였고, 하이브리도마 기술을 이용하여 모노클로날 항체를 제조하였다. 모노클로날 항체를 클로닝하였으며, 생성된 항체를 MabF22로 명명하였고, IgG1 중사슬과 k 경사슬의 isotype을 나타냈다. 또한 immunoblotting 방법과 ELISA로 특이도를 조사한 결과 모노클로날 항체는 AFP와만 반응하였고, 결합 친화상수는 0.8$\times$$10^{-10}$M이었다. 두 종류의 효소면역분석법 -경쟁적 또는 비경쟁적 분석 -을 이용하여 항체의 효용성을 조사하였으며, 두 방법 모두 AFP와 농도에 비례하여 반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생산된 모노클로날 항체는 연구목적으로 뿐만 아니라 AFP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면역진단시약의 개발에도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Data Qualification of 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Spectra in Resist/Nitride/Oxide Etch: Coupon vs. Whole Wafer Etching

  • Kang, Dong-Hyun;Pak, Soo-Kyung;Park, George O.;Hong, Sang-Jeen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2회 동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433-433
    • /
    • 2012
  • As the requirement in patterning geometry continuously shrinks down, the termination of etch process at the exact time became crucial for the success in nano patterning technology. By virtue of real-time 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OES), etch end point detection (EPD) technique continuously develops; however, it also faced with difficulty in low open ratio etching, typically in self aligned contact (SAC) and one cylinder contact (OCS), because of very small amount of optical emission from by-product gas species in the bulk plasma glow discharge. In developing etching process, one may observe that coupon test is being performed. It consumes costs and time for preparing the patterned sample wafers every test in priority, so the coupon wafer test instead of the whole patterned wafer is beneficial for testing and developing etch process condition. We also can observe that etch open area is varied with the number of coupons on a dummy wafer. However, this can be a misleading in OES study. If the coupon wafer test are monitored using OES, we can conjecture the endpoint by experienced method, but considering by data, the materials for residual area by being etched open area are needed to consider. In this research, we compare and analysis the OES data for coupon wafer test results for monitoring about the conditions that the areas except the patterns on the coupon wafers for real-time process monitoring. In this research, we compared two cases, first one is etching the coupon wafers attached on the carrier wafer that is covered by the photoresist, and other case is etching the coupon wafers on the chuck. For comparing the emission intensity, we chose the four chemical species (SiF2, N2, CO, CN), and for comparing the etched profile, measur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n addition, we adopted the Dynamic Time Warping (DTW) algorithm for analyzing the chose OES data patterns, and analysis the covariance and coefficient for statistical method. After the result, coupon wafers are over-etched for without carrier wafer groups, while with carrier wafer groups are under-etched. And the CN emission intensity has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 with OES raw data. Based on these results, it necessary to reasonable analysis of the OES data to adopt the pre-data processing and algorithms, and the result will influence the reliability for relation of coupon wafer test and whole wafer test.

  • PDF

울릉도 섬더덕 추출물의 급여가 제2형 당뇨 동물의 지질대사 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upplementation of Coconopsis lanceolata extract on lipid metabolism amelioration in type 2 diabetes mouse model induced by high fat diet)

  • 윤원갑;배현지;김유정;권오준;임무혁;조현덕;김태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07-113
    • /
    • 2014
  • 본 연구는 섬더덕의 항비만 효능과 지질대사 개선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C57BL/6J 4주령의 마우스에게 고지방식이를 9주간 급여하여 비만을 유발한 후 섬더덕 추출물을 첨가한 식이를 5주간 먹여 실험하였다. 체중은 고지방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섬더덕 추출물을 먹인 마우스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하였다. 식이효율 결과 또한 섬더덕 추출물을 공급한 군이 고지방식이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 및 지방무게에서도 고지방식이군에서 무게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고, 섬더덕 추출물을 공급한 군에서 장기 및 지방의 무게가 전반적으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혈장을 이용한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고밀도콜레스테롤을 측정한 결과 섬더덕 추출물을 공급한 군에서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고밀도콜레스테롤은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맥경화 지수와 심혈관계 위험도 지수는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Western blot을 통해 지방관련 단백질 발현양상을 본 결과 지방분해에 관여하는 $PPAR{\alpha}$의 경우 섬더덕 추출물을 급여함으로써 발현양이 증가하였으며, 지방생성 관련 단백질인 SREBP-1, FAS, ACC의 경우 고지방식이군과 비교 시, 섬더덕 추출물을 공급한 군에서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섬더덕 추출물의 섭취는 체중 감소와 더불어 혈장 지질수준 개선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