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 niloticus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41초

성전환 및 염색체 공학 기법을 이용한 초수컷(YY) 및 초암컷(${\Delta}$YY) 나일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 생산 -III. 초수컷 및 초암컷의 수컷 자손 생산능력 비교 (Production of Supermale (YY) and Superfemals (${\Delta}$YY)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by Sex Reversal and Chromosome Set Manipulation -III. Comparative Study on Male Seed Production Traits of Supermale and Superfemale)

  • 노충환;남윤권;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25-330
    • /
    • 2000
  • 본 연구는 유전학적 성전환 기법을 이용한 나일틸라피아(O. niloticus)의 전수컷 자손 집단 생산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실시되었으며, 초수컷(인자형 YY-♂)과 초암컷(인자형 YY-${\Delta}$♀의 수컷 자손 생산 능력을 비교하였다. 초수컷은 정상 암컷(XX-♀)과 그리고 초암컷은 정상 수컷(XX-♂) 및 성전환 수컷(XX-${\Delta}$♂)과 인공 교배시킨 후 발생 단계별 초기 생존율과 생산된 자손의 성비를 구하였다. 초수컷과 정상 암컷의 교배에서 생산된 수정란은 정상 수컷과 정상 암컷의 교배에서 생산된 수정란에 비해 부화율 및 부상 시기 자어의 생존율이 현저하게 낮았으며, 생산된 자손의 수컷율은 95.8~98.8%였다. 초암컷은 성전환 수컷과의 교배에서 생산된 수정란의 부화율 및 부화 시기 자어의 생존률이 정상 수컷과의 교배에서 보다 높았으나, 생산된 자손의 수컷율은 97.5~98.8%로서 정상수컷과의 교배(94.2~98.8%)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유전학적 성전환에 의한 수컷 자손 집단의 생산을 위해서는 정상 암컷과 동일한 자손 생산력을 가지고 높은 수컷 자손을 생산하는 초암컷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나일틸라피아 치어에 미치는 염화나트륨, 포르말린 및 과망간산칼륨의 금성독성 (Acute Toxicity of Sodium Chloride, Formaline and Potassium Permanganate to Nile Tilapia Fry)

  • 박인석;최경철;노재구;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9-121
    • /
    • 2002
  • 염화나트륨(NaCl), 포르말린 및 과망간산칼륨(KMnO$_4$)에 대한 나일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의 24시간 급성 독성을 조사하였다. 1. NaCl의 24시간 $LC_{50}$ 값은 18.6$\textperthousand$이었고 95% 신뢰한계의 상한치는 18.7$\textperthousand$ 하한치는 18.5$\textperthousand$었다. 포르말린의 24시간 $LC_{50}$ 값은 152 ppm 이었고, 상한치는 156ppm, 하한치는 148 ppm 이었다. KMnO$_4$의 24시간 $LC_{50}$ 값은 2.09 ppm 이었고 상한치는 2.11 ppm, 하한치는 2.07ppm 이었다. 2. 모든 처리 화합물은 본 종에 대해 좁은 농도 범위 내에서 급성독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아울러 뚜렷한 농도 의존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본 연구에서 사용된 3가지 화합물의 틸라피아 양식에서의 유용성과 연관시켜 논의하였다.

성전환 및 염색체 공학 기법을 이용한 초수컷(YY) 및 초암컷$({\Delta}YY)$ 나일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 생산 I. 성전환된 XY 암컷으로부터 자성발생성 이배체 유도 (Production of Supermale (YY) and Superfemale $({\Delta}YY)$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by Sex Reversal and Chromosome Manipulation I. Induction of Gynogenetic Diploid from XY Female)

  • 김동수;최윤희;노충환;남윤권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95-306
    • /
    • 1995
  • 본 연구는 틸라피아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유전 육종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성전환 기법과 자성발생성 이배체 유도 기법을 통해 순계의 암컷 및 수컷을 확립하고자 실시하였다. O. niloticus를 대상으로 $17\beta-estradiol$을 480 ppm의 농도로 경구 투여하여 수컷을 암컷으로 성전환시킨 격과 $95\~100\%$의 놀은 성전환 유도율을 보였다. 유도된 XY 암컷 4마리를 수컷을 달리하여 자손 감정을 실시한 곁과 $71.4\~73.3\%$의 수컷 출현 빈도를 보여 \chi^2$(1:1) 에 대해 P<0.01 수준에서 높은 유의차를 보였으나 X" (1 : 3)에 대해서는 P) 0.05 수준에서 유의차가 없었다. 또한 이들 성전환된 XY 암컷으로부터 유도된 난을 4,050 $erg/mm^2$의 자외선으로 불활성화시킨 정y.t와 수정 3분 후 저온 처리하여 자성발생성 이배체를 유도했다. 자성발생성 이배체의 수정율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부화율 및 초기 생존율은 대조군 보다 약간 낮았다. 부화 후 80일째 자성발생성 이배체의 성비 조사격과 수컷이 암컷보다 출현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P<0.01), 자성발생성 이배체의 세포 및 핵의 크기는 정강 이배체와 동일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도된 자성발생성 이배체 틸라핀량 형질의 순계 확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틸라피아 양식의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Occurrence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fish bacteria isolated from Oreochromis niloticus (Nile tilapia) and Clarias gariepinus (African catfish) in Uganda

  • Wamala, S.P.;Mugimba, K.K.;Mutoloki, S.;Evensen, O.;Mdegela, R.;Byarugaba, D.K.;Sorum, H.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1권2호
    • /
    • pp.6.1-6.10
    • /
    • 2018
  • The intention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bacterial pathogens infecting Oreochromis niloticus (Nile tilapia) and Clarias gariepinus (African catfish), and to establish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fish bacteria in Uganda. A total of 288 fish samples from 40 fish farms (ponds, cages, and tanks) and 8 wild water sites were aseptically collected and bacteria isolated from the head kidney, liver, brain and spleen.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by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conventional biochemical tests and Analytical Profile Index test kits.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selected bacteria was determined by the Kirby-Bauer disc diffusion method. The following well-known fish pathogens were identified at a farm prevalence of; Aeromonas hydrophila (43.8%), Aeromonas sobria (20.8%), Edwardsiella tarda (8.3%), Flavobacterium spp. (4.2%) and Streptococcus spp. (6.3%). Other bacteria with varying significance as fish pathogens were also identified including Plesiomonas shigelloides (25.0%), Chryseobacterium indoligenes (12.5%), Pseudomonas fluorescens (10.4%), Pseudomonas aeruginosa (4.2%), Pseudomonas stutzeri (2.1%), Vibrio cholerae (10.4%), Proteus spp. (6.3%), Citrobacter spp. (4.2%), Klebsiella spp. (4.2%) Serratia marcescens (4.2%), Burkholderia cepacia (2.1%), Comamonas testosteroni (8.3%) and Ralstonia picketti (2.1%). Aeromonas spp., Edwardsiella tarda and Streptococcus spp. were commonly isolated from diseased fish. Aeromonas spp. (n = 82) and Plesiomonas shigelloides (n = 73) were evaluated for antibiotic susceptibility. All isolates tested were susceptible to at-least ten (10) of the fourteen antibiotics evaluated. High levels of resistance were however expressed by all isolates to penicillin, oxacillin and ampicillin. This observed resistance is most probably intrinsic to those bacteria, suggesting minimal levels of acquired antibiotic resistance in fish bacteria from the study area.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establish the occurrence of several bacteria species infecting fish; and to determine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fish bacteria in Uganda. The current study provides baseline information for future reference and fish disease management in the country.

면역효소항체법에 의한 $\beta$-용혈성 연쇄구균 Streptococcus sp.의 신속진단에 대하여 (The Rapid Diagnosis of $\beta$-Haemolitic Streptococcus sp. by Immunoperoxidase Method)

  • 전세규;최동림;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03-110
    • /
    • 1988
  • 양식어류의 세균성 질병의 신속한 진단을 위하여 틸라피아(O. niloticus)로부터 분리된 $\beta$용혈성 연쇄구균인 Streptococcus sp. KST-2균주를 사용하여 면역효소법으로 검출실험을 하였으며, 면역효소법의 현장사용의 용이함과 검출의 민감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ounterimmunoelectrophoresis(CIE), 및 이중면역확산법등과 비교하여 보았다. 다른 어류 병원균과의 교차반응 결과 교차반응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이 방법은 $\beta$용혈성 연쇄구균(KST-2균주)에 매우 특이적임을 알 수 있었다. 연쇄구균의 검출실험한 결과 면역효소법은 $1{\times}10^3CFU/ml$의 농도까지 검출가능하였으며, 검출의 민감성이 CIE에 비해 $10^2$배, 이중면역확산법에 비해 $10^4$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면역효소법은 이번 연구에서 사용된 진단법 중에서 현장사용이 가장 용이하며, 민감성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Dietary Energy Level and Feeding Ration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L.)

  • Cho, Sung-Hwoan;Jo, Jae-Yoon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71-273
    • /
    • 2000
  • Recently, possibility of low protein diet with high energy level for improvement of fish production has been proposed in several fish species, especially under restricted feeding rate, fish responded better on high energy diet than low energy diet McGoogan and Gatlin (1999) stressed another benefit of low protein diet with high energy for fish production, in terms of reduction of nitrogen waste from fish metabolism However, others reported no effect of high lipid in feed on performance of fish (Jover et al. 1999). This was probably because that energy availability o requirement for fish varied based on fish species, protein content or quality in feed, rearing water temperature condition and feeding ration. (omitted)

  • PDF

$17\alpha$-Methyltestosterone의 침적처리에 의한 나일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의 성전환 (Sex Reversal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by Immersion in a Solution of $17{\alpha}$-Methyltestosterone)

  • 노충환;남윤권;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1-149
    • /
    • 1996
  • 나일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는 암컷에 비해 수컷의 성장이 빨라 전 수컷 종묘만을 생산하여 양식함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나일틸라피아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유전 육종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17{\alpha}$-methyl-testosterone ($17{\alpha}-MT$)의 침적법에 의한 성전환연구로써 침적 처리에 따른 사망율 및 높은 수컷 유도를 위한 적정 처리 조건을 조사하였다. 부화 후 12일된 자어를 500 ppb의 농도에서 $0\~96$ 시간 침적 처리하고, $0\~2,000$ ppb 농도의 $17{\alpha}-MT$ 희석 용액에 24 시간 동안 침적 처리한 결과 사망율은 $1.7\~25.0\%$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처리 시간 및 처리 농도에 따른 사망률 변화의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초기 성장율 조사 결과에서 부화 직후 개체의 전장은 $5.64{\pm}0.18$ mm 였으며 난황이 흡수되고 첫 먹이를 먹기 시작하는 부화 후 8일째에는 $9.76{\pm}0.25$ mm로 나타나 부화 후 20일까지의 조사기간에서 부화 직후부터 부화 8일까지의 기간이 가장 높은 성장율을 보였으며 그 이후 부터 전장 성장이 둔화되었다. 발생 과정에 따른 가장 효과적인 최초 처리 시간을 구하기 위하여 $17{\alpha}-MT$를 500 ppb 농도로 사육수에 희석하여 부화 직후부터 16일까지 그리고 부화 직후부터 20일까지 반복 실험한 결과 최초 처리 시간이 늦어질수록 수컷 유도율이 높아져 부화 후 12일째 처리군에서 수컷 유도율이 $86.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때의 전장은 $12.01{\pm}0.42$ mm였다. 부화 14일 이후 처리군에서 수컷 유도율이 감소하다가 부화 후 18일 및 20일째 처리군에서 다시 약간 증가하였다. 적정 호르몬 농도를 구하기 위하여 부화 12일된 자어를 대상으로 24시간 동안 침적 처리한 결과 모든 처리군에서 $80\%$ 이상의 수컷 유도율을 보였고 통계분석시 매우 유의하게 나타났으며(P<0.005), 500 ppb 처리군에서 수컷 유도율이 가장 유의하게 높았다($85.7\%$, p<0.001). 처리 시간에 따른 성전환율 결과에서 24시간 처리군에서 $85.2\%$의 가장 높은 수컷 유도율을 보였으며, 12, 18,30시간 처리군에서도 각각 $75.0\%,\;81.1\%,\;l84.0\%$로 나타났다. 따라서 $17{\alpha}-MT$의 침적 처리법에 의한 이 종의 성전환 연구에서 가장 효과적인 처리 조건은 부화 후 12일째 500 ppb 농도에서 24시간 처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나일틸라피아의 암모니아 배설에 미치는 어체중과 사료 내 단백질 함량의 영향 (Effects of Body Weight and Dietary Protein Level on Ammonia Excretion by the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 오승용;조재윤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2-129
    • /
    • 2005
  • 암모니아는 양식 생산성을 제한하는 주요 인자로서 암모니아 배설의 정량화는 양식시스템 내 수질 관리를 위해 중요하다. 어류의 암모니아 배설은 체중과 사료내 단백질 함량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실험에서는 나일틸라피아의 암모니아 배설에 미치는 체중과 사료 내 단백질 함량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세가지 크기의 나일틸라피아, 초기 평균 무게가 4.8 g, 42.7 g, 그리고 176.8 g를 대상으로 두가지 단백질 함량(30.5%와 35.5%)의 사료를 각각 어체중의 6%, 3%,그리고 1.5%공급하였다. 각 실험어는 17.1 L수조에 3반복 수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사료 공급 후 최대 총암모니아성 질소(total ammonia nitrogen, TAN) 배설률은 $4{\sim}8$ 시간 사이에 나타났으며, 24시간 이내로 사료 공급 이전 농도로 회복되었다. TAN 배설률$(mg\;kg^{-1}\;h^{-1})$은 어류 무게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사료 내 단백질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P<0.05). 단백질 함량이 다른 두 가지 사료를 공급했을 때 나일틸라피아의 어체중(X, 습중량)에 따른 일간 TAU 배설식$(Y\;mg\;kg^{-1}\;d^{-1})$은 다음과 같다. 저단백질(30.5%)실험구$(Y\;mg\;kg^{-1}\;d^{-1})=955.69-147.12\;lnX\;(r^2=0.95)$, 고단백질(35.5%) 실험구$(Y\;mg\;kg^{-1}\;d^{-1})=1362.41-209.79\;lnX\;(r^2=0.99)$. 섭취된 질소에 대한 TAN 배설 비율은 저단백질(30.5%) 및 고단백질(35.5%)실험 구에서 각각 $28.5{\sim}37.1%$$37.4{\sim}38.5%$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총 질소 손실은 각각 $0.22{\sim}0.68g\;kg^{-1}\;d^{-1}$$0.26{\sim}0.91g\;kg^{-1}\;d^{-1}$으로 고단백질 실험구와 어체중이 감소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순환여과식 나일틸라피아 양식장 내 수질 및 사육관리를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HCB와 PCBs에 노출된 나일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의 혈액성분의 변화 (Changes of Haematological Constituents in the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Exposed to HCB and PCBs)

  • 조규석;민은영;강주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0-114
    • /
    • 2002
  • 유용 양식어류인 틸라피아를 대상으로 어체중당 1일 0.05, 0.25 및 0.50mg/kg의 HCB와 PCBs의 경 구투여에 의해 30일 동안 혈액성상 및 혈액화학적 변동을 조사하였다. HCB의 투여에 의한 틸라피아의 RBC 수는 20일 이후 0.50mg/kg, 30일째는 0.25mg/kg의 농도, hemoglobin 농도와 hematocrit 값은 20일 이후 0.50mg/kg 농도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PCBs의 투여에 의한 틸라피아의 RBC 수, hemoglobin 농도 및 hematocrit 값은 20일 이후 0.25mg/kg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혈청 무기성분인 calcium, magnesium 및 inorganic phosphorus 농도는 HCB를 투여한 모든 실험에서 뚜렷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PCBs를 투여한 모든 실험에서도 magnesium과 inorganic phosphorus 농도의 변동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calcium 농도는 20일 이후 0.50mg/kg 농도, 30일째는 0.25mg/kg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HCB의 경구투여에 의한 혈청 total protein 농도는 30일째 0.50mg/kg 농도에서, PCBs의 경구투여에 의해서는 20일 이후 0.25mgfg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HCB 및 PCBs의 경구투여에 의한 glucose 농도는 20일 이후 0.25mg/kg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HCB 및 PCBs의 경구 투여에 의한 GOT와 GPT 활성은 20일 이후의 0.50mg/kg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HCB 및 PCBs의 경구투여에 의한 틸라피아의 혈액화학적 변동은 0.25 mg/kg 농도 이상에서 적어도 20일 후부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s of water physico-chemical parameters on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growth in earthen ponds in Teso North Sub-County, Busia County

  • Makori, Agano J.;Abuom, Paul O.;Kapiyo, Raphael;Anyona, Douglas N.;Dida, Gabriel 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0권11호
    • /
    • pp.30.1-30.10
    • /
    • 2017
  • Small-scale fish farmers in developing countries are faced with challenges owing to their limited information on aquaculture management. Nile tilapia farmers in Teso North Sub-County recorded lower yields than expected in 2009 despite having been provided with required inputs. Water quality was suspected to be the key factor responsible for the low yields. This study sought to assess the effects of earthen pond water physico-chemical parameters on the growth of Nile tilapia in six earthen fish ponds under semi-intensive culture system in Teso North Sub-County. The study was longitudinal in nature with pond water and fish being the units of analysis. Systematic sampling was used to select five ponds while a control pond was purposively selected based on its previously high harvest. Four ponds were fed by surface flow and two by underground water. Each pond was fertilized and stocked with 900 fry of averagely 1.4 g and 4.4 cm. Physico-chemical parameters were measured in-situ using a multi-parameter probe. Sixty fish samples were randomly obtained from each pond fortnightly for four months using a 10 mm mesh size and measured, weighed and returned into the pond. Mean range of physico-chemical parameters were: dissolved oxygen (DO) 4.86-10.53 mg/l, temperature $24-26^{\circ}C$, pH 6.1-8.3, conductivity $35-87{\mu}S/cm$ and ammonia 0.01-0.3 mg/l. Temperature (p = 0.012) and conductivity (p = 0.0001) levels varied significantly between ponds. Overall Specific Growth Rate ranged between 1.8% (0.1692 g/day) and 3.8% (1.9 g/day). Ammonia, DO and pH in the ponds were within the optimal levels for growth of tilapia, while temperature and conductivity were below optimal levels. As temperature and DO increased, growth rate of tilapia increased. However, increase in conductivity, pH and ammonia decreased fish growth rate. Temperature and DO ranging between 27 and $30^{\circ}C$ and 5-23 mg/l, respectively, and SGR of 3.8%/day and above are recommended for higher produ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