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tive salt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6초

METHODS TO IMPROVE UTILIZATION OF RICE STRAW I. EFFECTS OF MOISTENING, SODIUM CHLORIDE AND CHOPPING ON INTAKE AND DIGESTIBILITY

  • Badurdeen, A.L.;Ibrahim, M.N.M.;Schiere, J.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7권2호
    • /
    • pp.159-164
    • /
    • 1994
  • Two studies were conducted using 40 cross-bred bulls to study the effect of chopping, moistening with water or common salt solution on the nutritive value of rice straw (variety BG-400). Moistening with water did not significantly effect digestibility or intake of rice straw. As compared to straw fed in the long form, chopping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intake (2.33 vs 1.97kg $100kgBW^{-1}day^{-1}$, respectively), but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the digestibility (41.6 vs 37.4%) and intake of digestible dry matter (0.99 vs 0.74kg $100kgBW^{-1}day^{-1}$). Rice straw moistened with 2 or 4% common sea salt solution and directly fed to animals (Exp. 1) did not significantly effect its digestibility (43.9 and 43.1%, respectively) or intake (2.66 or 2.59kg $100kgBW^{-1}day^{-1}$, respectively), but over night storing of 2% salt solution sprayed straw (Exp. 2) significantly reduced its digestibility (33.6%). The latter is difficult to explain because the sodium concentration (mg/g straw dry matter) was lower than 4% salt solution treatment used in experiment 1 (3.30 vs 5.22). It is concluded that chopping, moistening with water or NaCl salt solution did not significantly improve the nutritive value of rice straw.

Agricultural Systems for Saline Soil: The Potential Role of Livestock

  • Masters, D.G.;Norman, H.C.;Barrett-Lennard, E.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2호
    • /
    • pp.296-300
    • /
    • 2005
  • Human-induced soil salinity is becoming a major threat to agriculture across the world. This salinisation occurs in both irrigated and rain-fed agricultural zones with the highest proportions in the arid and semi-arid environments. Livestock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of this land. There are a range of plants that grow in saline soils and these have been used as animal feed. In many situations, animal production has been poor as a result of low edible biomass production, low nutritive value, depressed appetite, or a reduction in efficiency of energy use. Feeding systems are proposed that maximise the feeding value of plants growing on saline land and integrate their use with other feed resources available within mixed livestock and crop farming systems. Salt-tolerant pastures, particularly the chenopod shrubs, have moderate digestible energy and high crude protein. For this reason they represent a good supplement for poor quality pastures and crop residues. The use of salt-tolerant pasture systems not only provides feed for livestock but also may act as a bio-drain to lower saline water tables and improve the soil for growth of alternative less salt tolerant plants. In the longer term there are opportunities to identify and select more appropriate plants and animals for saline agriculture.

제올라이트와 제강슬래그에 의한 중금속과 영양염류 복합오염물질의 제거 효과 (Removal Efficiency of Heavy Metals and Nutrients by Zeolite and Basic Oxygen Furnace Slag)

  • 김용우;오명학;박준범;권오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11호
    • /
    • pp.13-19
    • /
    • 2014
  • 투수성 반응벽체 공법은 지하수 오염을 정화하는 대표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다. 영양염류와 중금속 등 여러 가지 오염물질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두 가지 이상의 반응성 매질을 적용한 반응벽체공법으로 복합오염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반응성 매질로 제올라이트와 제강슬래그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복합오염물질의 제거능을 평가하였다. 영양염류인 암모늄과 인산염, 중금속인 카드뮴이 혼합된 복합오염물질에 대하여 연속회분식실험을 통하여 제올라이트 및 제강슬래그와의 반응순서에 따른 오염물질 제거능을 분석하였다. 연속회분식실험 결과에 의하면 제올라이트-제강슬래그 순서로 반응하는 경우 영양염류와 중금속의 복합오염물질에 대한 제거능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Nutrient Value of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 as Feed for Ruminants

  • Ishikawa, N.;Shimizu, K.;Koizumi, T.;Shimizu, T.;Enishi, 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7호
    • /
    • pp.998-1001
    • /
    • 2002
  •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 a kind of halophytes in Japan, is under investigation as a feed source for livestock as well as potential oilseed crop in salt marshes and salt fields. The present experiment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nutritive value of saltwort as feed for ruminants. To determine the apparent digestibility and nutritive value of saltwort, five Japanese native goats were fed the diets consisting of alfalfa hay cubes with 15 or 20% (n=3 and n=2, respectively) inclusion levels of saltwort in the total diet on a DM basis. All the animals were randomly offered alfalfa hay cubes as a base diet or a mixed diet of alfalfa hay cubes and saltwort at maintenance level, thereafter, alternative feed (a base or mixed diet) was offered to the experimental animals (the incomplete crossover design). Analysis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altwort showed that the plant contained high levels of total ash (40.2% DM), sodium (12.7% DM) and chlorine (19.7% DM), and relatively high levels of CP (11.7% DM) and NDF (40.4% DM). Contents of TDN and digestible CP (DCP), DE and ME of saltwort were 33.5% DM, 8.4% DM, 7.4MJ/DM kg and 5.0MJ/DM kg,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altwort is rich in DCP and minerals (mainly sodium chloride), but poor in energy, suggesting that saltwort could be used as a mineral or CP supplement for ruminants raised around salinized areas in which high quality feed may not be available.

Determination of Nutrient Contents and In vitro Gas Production Values of Some Legume Forages Grown in the Harran Plain Saline Soils

  • Boga, M.;Yurtseven, S.;Kilic, U.;Aydemir, S.;Polat, 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6호
    • /
    • pp.825-831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nutritive value of some legume species in salt-affected soils of South-East Anatolian region using chemical composition and in vitro gas production kinetics. In this study, Lotus corniculatus, Trifolium alexandrinum, Medicago sativa were sown and tested in four different locations. A 3 by 4 factorial design with 3 legume species and 4 salt levels (non salty electrical conductivity (EC)<4 dS/m; low salt: 4 dS/m>EC<8 dS/m, medium saline: 8 dS/m>EC<16 dS/m and high salt: 16 dS/m>EC) was used in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salinity and plant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ash and ether extract. Dry matter (DM), acid detergent fiber, digestible dry matter, dry matter intake (DMI) were affected by plant, salinity and plant${\times}$salinity interaction. On the other hand neutral detergent fiber, relative feed value (RFV), and DMI were affected by salinity and plant${\times}$salinity interaction. Mineral contents were affected by plant species, salinity and salinity${\times}$plants interactions. In vitro gas production, their kinetics and estimated parameters such as were not affected by salinity whereas the gas production up to 48 h, organic matter digestibility, metabolizable energy (ME), and net energy lactation ($NE_L$) were affected by plant and plant${\times}$salt interaction. Generally RFVs of all species ranged from 120 to 210 and were quite satisfactory in salty conditions. Current results show that the feed value of Medicago sativa is higher compared to Lotus corniculatus and Trifolium alexandrinum.

TMDL 적용을 위한 소유역별 유출부하 특성 분석 (Estimation of Flow Loads Characteristics each Sub-watershed for TMDL)

  • 김주훈;김경탁;이진원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43-453
    • /
    • 2011
  • 본 연구는 소유역별 토지피복특성을 분석하고, 각 소유역로부터 발생되는 비점오염원 부하 특성을 분석하여 각 소유역별로 토지피복특성에 적합한 오염부하 저감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대상유역은 무심천 유역으로 하였으며, 사용된 수질모형은 HyGIS-SWAT을 이용하였다. 토지피복도 분석에서 특정 분류항목이 50%이상의 토지피복 비율을 갖는 토지피복에 따라 시가화지역, 농업지역, 그리고 산림지역으로 구분하여 유출부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유사량 및 영양염류의 연간 발생부하량의 크기는 농업지역, 산림지역, 시가화지역의 순서로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번 소유역에 대해서 하천을 중심으로 버퍼구역을 설정하고 버퍼구역내 농업지역을 자연초지로 토지피복을 변화시켜 발생부하량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토지피복변화는 변경전과 비교하여 토지피복변화는 농경지 면적이 소유역내 36.6%에서 27.9% 및 15.3%로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번 소유역에 대한 유사발생량 및 영양염류 발생량 분석결과 유사발생량은 52%에서 약 46%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영양염류의 경우에도 변경전보다 49% 34%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는 각 소유역별로 다양한 오염부하 저감 대책 시나리오를 수립한 후 어떠한 저감대책이 효과적인지를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간척지에서 요소 및 유안비료 시용이 총체보리의 생산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rea and Ammonium Sulfate Application on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Whole Crop Barley in Reclaimed Tideland)

  • 신재순;김원호;이승헌;임영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5-30
    • /
    • 2006
  • 간척지에서 요소와 유안비료의 시용이 총체보리의 수량성, 사료가치 그리고 토양염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2003년 10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충남 당진에 위치한 대호간척지에서 시험한 결과, 평균 토양 염류도는 요소를 시용한 표준시비구(T2)에 비해 유안을 시용한 구(T3, T4 및 T5)에서 낮게 나타났다. 생초수량은 요소를 시용한 표준시비구(T2)에 비해 유안을 시용한 T3, T4 및 T5 처리구에서 각각 62% (p>0.05), 41% (p<0.05) 그리고 23% (p<0.05) 증수되었다. 건물수량과 TDN 수량도 생초수량과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유안대체구(T3)가 가장 높았으며, 유안을 증량시용(T4와 T5) 할수록 감소하였다. TDN 함량은 유안 200kg/ha 대체시용구(T3)와 유안 300kg/ha 대체시용구(T4)에서 높았다. 나트륨함량은 유안시용구(T3, T4 및 T5)에서 $0.50%{\sim}0.61%$로 낮았다. 위의 결과로 볼 때 간척지에서 겨울철 사료작물로 총체보리를 재배할 경우, 질소질 비료는 요소대신 유안을 ha당 200kg 시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규합총서(閨閤叢書)"에 수록된 부식류의 조리법에 관한 고찰 (A Literature Review Examining the Ingredients and Cooking Methods of the Side Dishes in "Gyuhapchongseo")

  • 김업식;한명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38-447
    • /
    • 2008
  • "Gyuhapchongseo" was published in 1809, and introduced the cooking method of the noble cla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de dishes in "Gyuhapchongseo" are as follows. Firstly, red pepper was used as whole red pepper, shredded red pepper, powdered red pepper, or Korean hot pepper paste. Secondly, salt-fermented fish was used in some forms of Kimchi, including Sukbakgi, Dong A Sukbakgi, and Gyochimhae. Thirdly, to retain the juiciness of meat during roasting, meat was spread cold water on the surface, dipped into the washing water of rice or wrapped with wet paper. Fourth, to improve the visual effect of a dish, cooked foods were displayed with various color schemes, panfried foods with two tones (egg white and yellow) of color on each side and the use of radish pigmented with deep red color. On 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food in "Gyuhapchongseo", I would suggest applicable practices for the present cuisine. The use of gravy produced from the boiling down of fish flesh could raise the nutritive value of Kimchi. In "Gyuhapchongseo", Yak po (semi-dried minced beef) is noted as being good for elderly people with bad teeth. A steamed dish with dog meat in Dong A in "Gyuhapchongseo" is made by hollowing out Dong A and putting a dog in it to cook the dog meat to well done in a fire made with the hulls of rice. This technique could be used to present cuisine for steamed and roasted dishes using food ingredients such as pumpkin, sweet pumpkin, and overripe cucumber.

한국형 시판 도시락의 영양가 및 식염함량 (A Study on Nutritive Values and Salt Contents of Commercially Prepared Take-Out Boxed-Lunch In Korea)

  • Kim, Bok-Hee;Lee, Eun-Wha;Kim, Won-Kyung;Lee, Yoon-Na;Kwak, Chung-Shil;Mo, Sumi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4권3호
    • /
    • pp.230-242
    • /
    • 1991
  • 시판 도시락의 이용도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시판 중인 한국형 도시락의 영양가와 염분량 등을 조사하고자 백화점, 체인점, 열차 등에서 10가지 종류의 도시락을 구입하였다. 영양가는 식품분석표에 의하여 계산하였고 염분은 원자흡광법에 의하여 Na 함량을 분석한 후 환산하였다. 도시락은 두가지를 제외하고는 모두 밥과 반찬이 따로 포장되어 있었고, 그 무게는 각각 304.6g, 312.4g으로 무거운 편이었다. 반찬의 수는 평균 12가지였는데 그중 단백질 식품이 6가지로 가장 많았고, 칼슘 식품은 3도시락에만 있었고 그것도 멸치 볶음 한기지였다. 열량은 평균 840.7kral로 남녀성인이 1끼 권장량보다 많았고, 단백질 38.9g, 지질 22.7g, 칼슘 300.8mg, 인 410.8mg, 철분 6.61mg, 비타민 A 219.8R.E., 티아민 0.46mg, 리보플라빈 0.67mg, 나이아신 10.5mg, 비타민 C 27.5mg으로 비타민 A만이 남녀성인 1끼 권장량에 약간 미달하였고, 다른 영양소들은 평균적으로 권장량이상 이었다. 또한 3000원 이상의 도시락은 2000원 이하의 도시락에 비해 동물성 식품이 많아서 단백질, 칼슘, 철, 나이아신이 유의적으로 더 많았다(P<0.05).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의 열량비율은 평균 57.4%, 18.3%, 24.3%로 양호하였다. 조리법은 전(22.3%)과 튀김(16.0%)이 가장 많았고 조림, 구이, 볶음 등 건식 조리법이 주로 이용되어 많은 반찬가짓수에 비해, 실제 식단은 단조로운 편이었다. 염분의 함량은 3.53g에서 8.80g으로 평균 5.76g이나 되어, 한끼 필요량을 크게 초과하고 있었다. 앞으로 도시락의 염분함량을 줄이는 동시에 다양한 조리법과 식단으로 맛있고 보기좋고 영양적으로 균형잡힌 도시락 식단을 개발하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에 세계적 기술 경쟁력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해설에서는 로봇 및 시스템 제어에 관한 기초 이론과 신경회로 적용기술을 소개하고 기존방법과 비교했을 때의 우월성, 전세계적인 응용연구, 국내외 연구개발 현황, 상업화 가능성, 산업계 응용례, 기술상의 문제점, 향후 전망 등을 다루기로 한다.중에 의한 천이 구조응답 해석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서도 연구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이 무거울수록 우화율이 높은 편이었다. 이앙시기별 월동유충에서 우화시기까지의 기간은 조기이앙답이 44일, 중기이앙답이 47일, 후기 이앙답이 51일간으로 늦게 이앙할수록 기간이 더 긴 경향이었다.-35.6dB였다. 또, 50kHz에서 말쥐치, 민어, 노래미, 넙치에 대한 그 값은 각각 -37.2dB, -37.3dB, -31.9dB, -36.0dB였다. 한편, 어체의 평균반사강도의 추정정도는 자원량추정치의 신뢰도를 좌우하는 직접적인 요인이 되므로, 앞으로 이 문제에 대해서는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물베도라치 Dictyosoma burgeri Van der Hoeven 및 황점 베도라치Dictyosoma wbrimaculata Yatsu, Yasuda et Taki, 그리고 황줄베도라치란 Pholididae의 황줄베도라치 Phoris taczanowskii(Steindachner), 오색베도라치 Phoris omotus (Girad), 베도라치 Pholis nebuloso(Temminck et Schlegel), 횐베도라치 Pholisfangi(Wang et Wang) 및 점베도라치 Pholis crossispino(Temminck et Schlegel)의 17속 25종이 분류되었다. 이중에서 Zoarchias glaber, Chirofophis oui, Alectrias benjamini, Dictyosoma

  • PDF

율무쌀의 경구투여(經口投與)가 백서(白鼠)의 성장(成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earl Barley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Albino Rats)

  • 조수열;박명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1-47
    • /
    • 1977
  • 율무쌀의 영양적(營養的)인 가치(價値)를 평가(評價)하기 위하여 체중(體重) $55.6{\pm}3.5g$의 Leuise계(系) albino rats 암수 각(各) 40수(首)를 8 group으로 나누고 각(各) group에 casein 15%+starch 75%+oil 8.0% diet(A), 율무쌀 98% diet(B), 쌀 98% diet(C), 보리쌀 98% diet(D), 쌀 49%+율무쌀 49% 혼합 diet(E), 쌀 73.5%+율무쌀 24.5% 혼합 diet(F), 보리쌀 49%+율무쌀 49% 혼합 diet(G), 보리쌀 73.5%+율무쌀 24.5% 혼합 diet(H)의 8종류(種類)의 diet에 각각 비타민 mixture 1% 및 salt mixture 1% 씩을 첨가(添加)한 것을 7주간(週間) 급여(給與)하여 체중증가량(體重增加量), 소화율(消化率), liver의 중량(重量), liver 및 plasma중의 protein 양(量), plasma 중의 free amino acid양(量), hematocrit 및 hemoglobin양(量)을 측정(測定)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체중증가량(體重增加量)은 율무쌀 98% diet(B) group 이 가장 낮았고, 다음이 쌀 49%+율무쌀49% 혼합 diet(E) group으로써 이들 사이에는 유의(有意)한 차(差)가 없었으나 쌀 98% diet(C) group, 보리쌀 98% diet(D) group 및 기타 혼식(混食) group과는 유의(有意)한 차(差)(P<0.01)가 있었다. 2. 율무 현미(玄米) 및 백미(白米)의 소화율(消化率)은 protein과 carbohydrate는 백미(白米)가 높았고 fat는 현미(玄米)가 높았다. 3. liver의 중량(重量)은 율무쌀 98% diet(B) group은 쌀 98% diet(C) group과는 유의(有意)한 차(差)(P<0.05)가 있었으나 기타 group과는 유의(有意)한 차(差)가 없었다. 그리고 단위체중(單位體重)에 대한 무게는 차이(差異)가 없었다. 4. live 및 plasma의 total protein과 plasma의 A/G ratio는 율무쌀 98% diet(B) group이 가장 낮았다. 5. plasma 중의 free amino acid 조성(組成)은 식이(食餌)의 조성(組成)과 비슷하였다. 6. hematocrit와 hemoglobin content는 율무쌀 98% diet(B) group이 가장 낮았다. 7. 혼식(混食) group에 있어서는 쌀과 율무쌀 및 보리쌀과 율무쌀의 혼합비율(混合比率)이 1:1보다 3:1이 더 좋은 결과(結果)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