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tional program

검색결과 799건 처리시간 0.027초

전북지역 일부 고등학생의 거주지에 따른 식행동 및 건강관련 생활습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etary Behavior and Health-Related Lifestyles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Living Area in Chonbuk Province)

  • 차연수;김종순;노정옥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9-99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etary behavior and health-related lifestyles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living area in Chonbuk province,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489 students.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a SPSS v. 10.0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verage weight and height of male students in urban and rural area were 173.52cm, 65.26kg; 172.89cm, 64.02kg. The female students were 161.18cm, 52.48kg: 160.96cm, 52.82kg. The breakfast skipping ratio of students urban area were higher than the students in rural area, About 85% of students responded to have a lunch at school foodservice canteens. About 30% of students responded to have a dinner irregularly, which mainly caused by the reasons 'irregularity of life style' and 'weight control'. The ratio of snacks intake of the students were high, but female students eaten more fruits, cookies and coffee than male students. More than 50%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one of the important influencing factor for health was 'a good eating habits'. About 44% of students in urban area and 40% of in rural area responded to take exercise one or three times a week. Students in urban area(37.3%) have more experiences of taking nutrient supplements than those in rural area(15.8%). TV/Radio (48.7%), clinic/apothec(19.0%), and family(16.0%) were essential sources of pertinent information about nutrition. The dietary behavior and health related lifestyle between the students in urban and rural area were very similar, but the female students showed more bad dietary behaviors in comparison with the male students. Therefore, they should have a gender oriented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to correct their dietary behaviors and health-related lifestyle for health.

  • PDF

영양교육과 운동을 병행한 프로그램이 중등도비만여성의 비만도와 행동변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on Obesity Index and Behavioral Modification in Moderate Obese Women)

  • 장명희;정수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18-33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12주 동안 성인 여성 중 체지방률 40% 이상 또는 BMI 30 이상인 여성을 대상으로 37차시의 비만관리 프로그램일환으로 영양교육과 운동중재를 병행 실시하여 대상자의 식습관 및 운동 습관 조사, 신체성분과 식이섭취와 생화학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1.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4.8세였으며 참여자의 55%가 폐경이었다. 2. 체중조절 관심도 변화에서 체중 조절 방법은 식사조절과 운동이 프로그램 참여 전 34.4%에서 프로그램 후 37.5%로 증가하였다(p<0.01). 3. 신체활동 변화에서 중등도 신체활동을 10분 이상 한날은 프로그램 참여 전 3.20일에서 프로그램 후 4.25일로 증가하고, 스트레칭 등 유연성 운동을 한 날은 프로그램 참여 전 2.60일에서 프로그램 참여 후 3.85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1). 4. 바른 식습관 점수 변화는 프로그램 참여 전 4.15점에서 프로그램 참여 후 7.10점으로 유의적(p<0.001)으로 증가하였다. 5. 에너지 및 다량 영양소 섭취는 프로그램 전후간 차이는 없었으나 식이섬유(p<0.01), 철, 칼륨, 비타민A, 비타민 $B_6$, 나이아신의 섭취는 프로그램 참여 전에 비해 프로그램 참여 후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6. 혈압과 혈액 생화학적 특성 지표인 TC, 공복혈당 및 TG는 프로그램 참여 전후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7. 영양교육과 운동 프로그램 종료 후 체중, 체지방률, 복부둘레 및 내방지방 수치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근육양과 신체발달 점수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중등도 비만여성에서 12주간 영양교육과 운동 중재 프로그램 실시는 식사의 질을 향상시키고 바림직한 식습관의 변화를 유도하였으며 비만도는 감소하면서 근육양이 증가하여 요요현상이 없이 비만관리 프로그램 교육 내용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향후 장기적인 비만의 지속관리와 체계적인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농촌지역 노인의 생활실태 조사연구 -의.식.주생활 및 심리적 적응을 중심으로- (Living Conditions of the Rural Elderly: Clothing, Nutrition, Housing,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 윤복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5-86
    • /
    • 1990
  • Living conditions of the rural elderly were assessed in terms of clothing behavior,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housing and envioronmental condition,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The subjects were eighty individuals over sixty residing in the rural community of Iksan-kun, Chollabukdo. The interview method using questionnaires, direct measurement, and observation was used for this study. Data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from a previous study of the elderly residing in an urban area. Clothing behavior showed that the elderly residing in the rural community were more concerned about plain and conservative design of clothes than their urban counterparts. Special protective clothes for cropdusting with agricultural chemicals had not been prepared. The following urgent needs were pointed out: development and supply of agricultural chemical protective clothing and development and education of appropriate washing and clothing care methods.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was generally good, but poor eating habits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the rural elderly than among the urban dwellers. Several dietary nutrient intakes were insufficient. Contrasting the urban elderly with the rural group, it was found that the urban group lacked sufficient vitamin A and vitamin C and the urban women had insufficient calorie whereas the rural group was deficient in protein, vitamin A, calorie, and fat.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dietary nutrient intake and health index, food habit points, self recognized health status, meal satisfaction, and economic status. Urgent needs of the development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were pointed out. Most of elderly residing in the surveyed rural communities were living alone or with their spouse only, therefore only one room was used among the three or four available rooms. Most of the rural elderly were living either in a traditional Korean house built with differing floor levels or in a modified Korean style house. Minimal modernization had been made for kitchen facilities such as sink and gas range or for heating facilities with the briquette boiler. However, sanitary space such as lavatory and bathroom had not been remodeled. A housing welfare program for rural communities should be implemented at the national level. The comparison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elderly with their city counterparts revealed that the rural elderly have a more stable psychological status and optimistic attitude than those living in a city. However,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elderly did not have any future plan. Community programs for the elderly including hobbies or leisure activities or education programs to generate clos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 PDF

곤충 유래 항균 펩타이드의 작용 기작 (Mode of Action of Antimicrobial Peptides Identified from Insects)

  • 이희정;이동건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15-723
    • /
    • 2015
  • 지구상에 존재하는 전체 동물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 하고 있는 곤충은 예로부터 인간의 식품, 농업, 산업, 의약 등의 일상 생활에 이용되어 왔다. 많은 수와 높은 영양학적 가치로 곤충의 생리활성물질이 미개발 생물자원으로 재평가 되고 있다. 곤충은 면역세포, 곤충 혈구세포, 효소들의 연쇄반응 혹은 항균 단백질/펩타이드 같은 방법으로 외부의 감염에 저항성을 가지게 된다. 항균 펩타이드는 곤충의 혈림프의 선천성 면역 시스템 중 주요한 성분중의 하나로 항생제 내성 균주의 출몰이 빈번하게 일어나 해결책으로 새로운 항생제 개발이 시급한 시점에서 유력한 후보물질로 주목 받고 있다. 곤충 유래 항균 펩타이드는 150개가 넘게 분리되었으며 크게 세크로핀, 디펜신, 글라이신/프롤린이 풍부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다. 이 논문에서, 향균 펩타이드를 생산하는 여러 곤충 중에서 벌, 소똥구리, 울도하늘소, 나비 그리고 울도하늘소에서 얻을 수 있는 펩타이드의 종류 그리고 작용 기작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펩타이드들은 항균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멜리틴을 제외하고 적혈구의 용혈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주로 세포막을 붕괴시키거나 세포자살기작을 유도하여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한다. 곤충 유래 펩타이드와 같은 생리활성물질이 그 활용 가능성의 면에서 엄청난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더 주목을 받을 것이다.

Bone Mineral Density and Affecting Factors in College Women

  • Na, Hye-Bok;Jung, Shin-Yong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1권2호
    • /
    • pp.98-107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one Mineral Density(BMD) and affecting factors on BMD of college women in Seoul. The subjects were 47 healthy college women aged 18-25 years. Antrophometric and body fat measurements were perform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Fatness Analyzer(Tanita TVF 202). Blood pressure and pulse frequency were measured. Dietary intakes and general living habits were examin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nutrient intakes were analyzed by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CAN) program for professional. Serum total cholesterol, TG(triglyceride), HDL-cholesterol, total protein, albumin, GOT, calcium were measured by Spotchem(SP-4410). Serum osteocalcin and alkaline phosphatase(ALP) were measured to monitor bone formation. BMD of lumbar spine(L2-L4), right hip(neck, ward's triangle, trochanter) and right forearm were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DEXA). Muscle strength was measured by examining leg flexion strength(right and left), leg extension power(right and left), handgrip power(right and left) and back strength. All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the SAS PC package program. BMD of college women was normal(by WHO, 1994). Their muscle strength was bad(by national fitness guidebook, 1995). Only a mall number of them exercised (32.6% of subjec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BMD, muscle strength and % body fat(p<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MD and total cholesterol as well as TG and VLDL-cholesterol(p<0.05). Total cholesterol was associated with decreasing BMD of the right forearm(p<0.05). TG and VLDL-cholesterol are associated with increasing BMD of right hip ward's triangle(p<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BMD, ALP and serum total protein. ALP was associated with decreasing BMD of the right forearm(p<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MD and Ca as well as between Na and K intakes (p<0.05). Intakes of Na and K were associated with decreasing BMD of the right forearm (UD)(p<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 BMD and pulse frequently and serum albumin (p<0.05). Serum albumin is associated with increasing BMD of L3-L4(p<0.05), right hip neck(p<0.05). %Body fat, TG, VLDL-C, Ca intake, pulse frequency and serum albumin were associated with increasing BMD(p<0.05). Intakes of Na and K, ALP, total 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total protein and height are associated with decreasing BMD(p<0.05).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Ca intake but to be moderate in protein and Na intakes in order to increase BMD. Body exercise was recommended to increase BMD as well.

  • PDF

국민건강영양조사 구강검사 개요 (Data resource profile: oral examination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우경지;이혜린;김윤정;김혜진;박덕영;김진범;오경원;최연희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 /
    • 제42권4호
    • /
    • pp.101-108
    • /
    • 2018
  • Objective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s a national surveillance system that has been assessing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Koreans since 1998.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Act, the surveys have been conduct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Methods: An oral examination as part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was proposed to calculate the sample design and survey participation. The surveying system was presented by classifying the measurement environment, screening, and survey items by year, and the merits and limitations of using the data were suggested by examining the status of survey quality management and the process of disclosing raw data. Results: This nationally representative cross-sectional survey samples approximately 10,000 individuals each year and collects information on oral examinations and oral health interviews. Data for the oral health component of KNHANES was obtained to assess the oral health status of Koreans and determine the prevalence of dental caries and periodontitis. The oral health data quality control of KNHANES was composed of three parts: "Education Program" and "Field Training Program" for quality control of oral health examiners (dentists) by the professional academy, and "Data management" by the KCDC. After completion of the three-step data check, the indicators of dental caries, periodontal disease, and oral health behavior were published in the National Health Statistics. Conclusions: To achieve the goals of oral health indicators, we will continue to monitor so that we can use it as basic data for oral policies and carry out various linkage analyses related to oral diseases.

변화단계 이론에 근거한 취약계층 노인의 식 행위 관련 요인분석 (Factors Affecting Dietary Behavior Change of Vulnerable Elderly Based on the Stage of Change)

  • 고영;임은실
    • 한국노년학
    • /
    • 제30권3호
    • /
    • pp.695-708
    • /
    • 2010
  • 본 연구는 변화단계 이론에 근거하여 취약계층 노인의 식 행위 변화단계를 파악하고, 식 행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대상자 중 노인 사례관리 대상에게 수집된 기초자료를 이용한 2차 분석연구로, 1,262명 중 설문문항에 모두 응답한 984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변화단계이론을 기반으로 한 식 행위 변화단계 문항과 일반적 특성, 건강상태, 건강행위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담당 사업부서의 협조로 제공받았다. 자료는 서술적 통계분석, 경향성 분석 및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24.6%가 계획전단계였으며, 46.1%는 계획단계로 나타났다. 우울할수록,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의존적일 수록, 의료급여의 경우가 식 행위 이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약계층 노인의 영양 상태는 생리적 변화뿐만 아니라 인구학적 특성, 사회경제적 수준 및 건강상태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노인에서의 식 행위 변화단계와 행위에 있어서의 장애요인에 중점을 둔 맞춤형 영양중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특히 식 행위 이행을 위해서는 보유능력을 유지하고 정서적 지지를 함께 제공한다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학교급식 음료 선호도에 대한 초등학생과 영양사의 인식 비교 (Prefer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ared by Dietitians' Perception in School Lunch Program)

  • 배문희;서선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1083-1093
    • /
    • 2007
  •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초등학생 705명과 초등학교 영양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학교급식에서의 음료 선호도에 대한 인식과 제공 실태를 파악하고 영양사와 초등학생간의 음료 선호도 인식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급식에서 나오는 우유 선호도에 대한 초등학생의 의견은 보통이다(35.2%), 좋다(22.0%), 싫다(18.3%), 매우 좋다(12.2%), 매우 싫다(12.2%) 순이었다. 남학생과 여학생의 학교급식 우유 선호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학생(평균=2.79)보다 남학생(평균=3.24)의 학교급식 우유 선호도가 높았다. 학교급식에서 나오는 요구르트 선호도에 대한 의견은 매우 좋다(39.9%), 좋다(35.1%), 보통이다(20.1%), 싫다(2.9%), 매우 싫다(1.9%) 순으로 우유 선호도와 달리 요구르트 선호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과 여학생의 학교급식 요구르트 선호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학생(평균=3.88)보다 남학생(평균=4.26)의 요구르트 선호도가 높았다. 학교급식에서 나오는 과일주스 선호도에 대한 의견은 매우 좋다(53.5%), 좋 다(30.4%), 보통이다(13.9%), 싫다(1.3%), 매우 싫다(0.9%) 순이었다. 학교급식에 나오는 과일주스 선호도는 우유나 요구르트보다 비교적 높게 나다났으며 남학생(평균=4.37)과 여학생(평균=4.32)의 과일주스 선호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초등학생의 과일주스 섭취빈도 조사 결과 설문 응답자의 41.8%가 과일주스를 일주일에 2-3번 섭취하고 설문 응답자의 21.5%가 한 달에 2-3번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일주스를 마시는 동기로는 과일주스 맛을 느끼고 싶을 때(30.1%), 간식(27.3%), 갈증해소(24.2%)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이 가장 좋아하는 과일주스는 오렌지주스(34.1%), 사과주스(20.77%), 포도주스(17.5%) 순이었으며 가장 자주 마시는 과일주스로는 오렌지주스(57.3%), 포도주스(13.8%), 사과주스(8.1%) 순으로 조사되었다. 초등학생이 선호하는 과일주스와 가장 자주 마시는 과일주스 1순위로 모두 오렌지주스를 선택하였으며 사과주스와 포도주스는 선호도에 비해 섭취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사를 대상으로 학교급식에서 과일주스 제공 실태 조사 결과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이 한 학기에 1회 미만(61.0%)으로 과일주스를 제공한다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급식에서 과일주스 제공빈도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감귤주스와 사과주스가 학교급식에서 자주 제공되는 과일주스로 꼽혔으며 영양사들은 학교급식에서 1인용 과일주스의 포장용기로 종이팩이 가장 적당하다고 대답하였다. 현재 57.8%의 학교 급식에서 1인당 125 mL의 사과주스를 제공하고 있고 14.7%의 학교급식에서 1인당 100 mL 의 사과주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양사들이 인식하는 적당한 1회용 과일주스 양은 125 mL(58.1%). 100 mL(31.4%) 순이었다. 학교급식 메뉴로서 과일주스보다 요구르트를 더 선호하는 이유로 유산균 및 칼슘 보충가능, 저렴한 가격, 선호도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영양사들은 초등학생들이 과일주스보다 요구르트를 더 좋아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실제 초등학생들의 과일주스에 대한 선호도는 우유와 요구르트의 선호도보다 매우 높았다. 초등학생의 우유 선호도에 대해 영양사들은 초등학생들의 실제 우유 선호도보다 초등학생들이 우유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양사가 인식하고 있는 초등학생의 요구르트 선호도는 실제 초등학생의 요구르트 선호도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사들은 초등학생의 실제 과일주스에 대한 선호도보다 매우 낮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사들의 학력수준과 영양사들이 인식하는 초등학생의 과일주스 선호도에 대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초등학생들의 높은 과일주스 선호도에 비해 학교급식에서 과일주스의 제공빈도는 한 학기에 1회 미만인 학교가 61.0%로 나타나 학생들의 과일주스 선호도와 학교급식에서의 과일주스 제공빈도 사이에는 큰 격차가 있음을 본 연구의 결과가 보여주고 있다. 학교급식에서 과일주스 제공시 높은 단가와 과일 자체의 당으로 인해 학생들의 비만이 우려되는 면도 있지만 영양사들은 초등학생의 과일주스에 대한 높은 선호도와 급식 제공의 편리성 및 비타민 공급원이라는 것을 인식하여 학교급식에서 과일 주스의 제공빈도 증가를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과일주스 생산 및 판매 업체는 학교급식에서 과일주스 소비 촉진을 위해 과일주스의 정확한 영양 정보(당 함유율 등)를 표시하고 원산지 공개 등을 통하여 영양사와 학부모들이 신뢰할 수 있는 제품임을 확인시켜 줄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학교급식을 위한 적정한 용기와 양을 조사하고 주스 단가를 이전보다 낮추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을 제안한다. 초등학생의 설문조사 회수율은 99.7%로 매우 높은 비율을 보였지만 영양사 대상 설문조사는 17.9%로 낮은 회수율을 보였다. 이는 직접 학교를 방문하여 설문조사를 한 초등학생과 우편으로 설문지를 발송하고 회수한 방식에 따른 차이로 해석될 수 있다. 회수율과 서울 지역의 영양사만을 대상으로 한 점을 고려해 볼 때 영양사 대상으로 조사된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후속 연구로 조사 대상을 전국 지역으로 확대하여 본 연구결과와 비교해 봄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개별 학교별로 해당 학교의 영양사와 해당 초등학교의 학생들 간의 매치된 자료를 통한 분석을 통하여 인식의 차이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실용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복부비만 관리프로그램이 성인 비만여성의 식이섭취, 스트레스지수 및 복부비만율에 미치는 영향 - 복부비만감소군과 복부비만증가군의 비교를 중심으로 - (Effect of an abdominal obesity management program on dietary intake, stress index, and waist to hip ratio in abdominally obese women - Focus on comparison of the WHR decrease and WHR increase groups -)

  • 이지원;유숙영;양소영;김혜숙;조성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2호
    • /
    • pp.127-139
    • /
    • 2012
  • 본 연구는 비만연구소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복부비만율 0.80 이상인 복부비만 여성 195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복부비만 감소 여부에 따라 복부비만율 감소군과 복부비만율 증가군으로 나누어 신체계측치의 변화, 식이섭취의 변화, 혈관나이, 스트레스 지수 및 건강지수의 변화를 비교 하였다. 영양소의 섭취량을 살펴본 결과, 체중, 허리둘레, 엉덩이둘레가 유의적으로 감소한 복부비만율 감소군에서 식물성 단백질, 칼륨, 비타민 A, 엽산, 식이섬유, 칼슘, 인, 비타민 $B_2$, 비타민 $B_6$, 비타민 C, 식물성지방, 철분, 나트륨, 나이아신, 비타민 E 및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영양밀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단백질, 칼슘, 인, 비타민 A, 비타민 $B_1$, 비타민 $B_2$ 그리고 비타민 C의 INQ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식이섬유, 칼슘, 인, 아연, 비타민 $B_6$, 비타민 C 그리고 비타민 E의 변화율은 복부비만율 감소군에서 더 컸으며, 두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식품섭취 다양성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식품군별 섭취 가짓수를 비교해 본 결과, 복부비만율 감소군에서 어패류, 두류, 견과류, 채소류 그리고 버섯류 가짓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부비만율 감소군에서는 스트레스 지수와 건강지수가 유의적으로 개선된 반면 복부비만율 증가군에서는 건강지수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복부비만율 변화와 영양밀도, 혈관나이, 스트레스 지수 및 건강지수 변화간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복부비만율 감소의 변화율이 높을수록 식물성 단백질, 식물성 지질, 섬유질, 칼슘, 철분, 칼륨, 아연, 비타민 A, 비타민 $B_2$, 비타민 $B_6$, 비타민 C 그리고 엽산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복부비만율 증가의 변화율이 높을수록 동물성 단백질과 총 지질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스트레스 지수와 건강지수와의 관련성에서는 복부비만율 감소율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지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건강지수는 증가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을 통해 볼 때, 영양교육과 식습관 및 생활습관 개선 교육으로 구성된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은 식이섭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도 완화시켜 복부비만율 개선에 도움이 되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육을 장기프로그램에 적용시킨 뒤 이러한 복부비만율 개선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만성 폐질환 환자에서 재택 호흡재활치료방법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the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

  • 윤성호;나주옥;제갈양진;김명화;김응석;심태선;임채만;이상도;고윤석;김우성;김원동;김동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6호
    • /
    • pp.597-607
    • /
    • 2002
  • Background : Even though it is well known that pulmonary rehabilitation (PR) improves exercise capacity, and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s, not many patients can attend hospital based intensive PR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ethod for a home-based PR program, and study its effectiveness.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 a home PR group comprising of 10 male patients, with a mean age of 70 years, and a control group comprising of 10 male patients, with a mean age of 65 years. We developed exercise programs, depending on the exercise capacity of each patient, which were easy to do at home. The PR program consisted of a 12 week period of enforced aerobic (mostly walking) and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as prescribed by the exercise specialist,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al capacity of the patient. In addition to the education, nutritional and psychiatric consultation was undertaken, and respiratory muscle training arranged. Patients visited hospital every 2 weeks for evaluation and exercise prescription. Results : All patients finished the 12 week course of therapy. Following the home PR, the endurance times and work capacity of the upper and lower extrem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treatment group in comparison to the controls. The six minute working (Eds note:should) 'working' read "walking"?) distance was increased from $465{\pm}60m$ to $508{\pm}37m$ and the maximal inspiratory pressure from $72.8{\pm}27.2cmH_2O$ to $91.4{\pm}30.9cmH_2O$. The quality of life, as assessed by St Geo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 (SGRQ), was also improved following PR. (Eds note:do you have figures for before and after, and a reference for the SGRQ?i.e. for the main paper.) Conclusion : The home PR program we developed seemed to be applicable, and effective, to most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s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