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tional Components

검색결과 602건 처리시간 0.033초

참치(Katsuwonus pelamis) 자숙액 농축물의 마우스 대식세포 및 비장세포에 대한 면역증강활성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of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Cooking Juice Concentrates on Mouse Macrophages and Spleen Cells)

  • 강보경;김꽃봉우리;안나경;최연욱;김민지;박시우;박원민;김보람;박지혜;배난영;안동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76-784
    • /
    • 2014
  • Tuna cooking juice concentrate (TCJC) is by-produced during the canning processing of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and it is well known that TCJC contains various nutritional components. Therefore, the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TCJC was investigated using macrophage RAW 264.7 cell line and the spleen cell isolated from BALB/c mice. The TCJC increased the production of IL-6, TNF-${\alpha}$, and IL-$1{\beta}$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to the control in RAW 264.7 cells without any toxicity. In particular, the production of TNF-${\alpha}$ was increased over 300-fold. The production of both Th1 cytokine (such as IFN-${\gamma}$, TNF-${\alpha}$, IL-2, and IL-12) and Th2 cytokine (IL-4, IL-6, IL-10) was also increased by TCJC treatment in splenocytes. Moreover, the TCJC increased the splenocyte prolifer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compared to contro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CJC may enhance immune function by promoting various cytokine production.

Effect of acidified milk feeding on the intake, average daily gain and fecal microbiological diversity of Holstein dairy calves

  • Chen, Yong;Gao, Yan;Yin, Shuxin;Zhang, Shuai;Wang, Lu;Qu, Yongl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8호
    • /
    • pp.1265-1272
    • /
    • 2020
  •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ect of feeding acidified milk on the growth and fecal microbial diversity of dairy calves. Methods: Twenty healthy 3-day-old female Holstein calves with similar body weights were selected and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fed pasteurized milk (PM, Control), while the other was fed acidified milk (AM) ad libitum until weaned (day 60). The experiment lasted until day 180.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tritional components between PM and AM. The numbers of Escherichia coli and total bacteria in AM were lower than in PM. At 31 to 40 and 41 to 50 days of age, the milk intake of calves fed AM was higher than that of calves fed PM (p<0.05), and the solid feed intake of calves fed AM was higher than that of calves fed PM at 61 to 90 days (p<0.05). The average daily gain of calves fed AM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calves fed PM at 31 to 60, 61 to 180, and 7 to 180 days (p<0.05). The calves fed AM tended to have a lower diarrhea rate than those fed PM (p = 0.059). Bacteroides had the highest abundance in the feces of calves fed AM on day 50, while Ruminococcaceae_UCG_005 had the highest abundance in the feces of calves fed AM on day 90 and calves fed PM on days 50 and 90. At the taxonomic level, the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scores of 27 microorganisms in the feces of calves fed AM and PM on days 50 and 90 were higher than 4.0. Conclusion: Feeding AM increased calf average daily gain and affected fecal bacterial diversity.

우렁이의 생체부위별 일반성분, 아미노산, 무기질 및 지방산 분석 (Proximate Composition, Amino acid, Fatty acid and Inorganic Matter of Apple Snail)

  • 오병태;최성길;조숙현;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49-753
    • /
    • 2006
  • 우렁이 생체에 대하여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함량은 74.8%, 조단백질 12.7% 및 조지방 0.6%의 함량을 보여 고단백 저지방의 식품재료로써 그 이용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우렁이를 껍질, 내장 및 근육 3부분으로 분류하여 무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우렁이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P, Ca, Mg 및 Na이었으며, 그 중 껍질 및 내장, 근육모두에서는 Ca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어 중요한 Ca 급원으로 이용 가능하다. 우렁이 생체의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arginine이 31.7%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alanine 21.2%, 와 glutamic acid 7.1% 순이었다. 아미노산의 경우 식용할 수 있는 근육에서 조개의 감칠맛과 풍미성분인 alanine 과 glutamic acid 조성이 많으므로 가공식품제조에 바람직하였으며, 또한 arginine 역시 매우 풍부 해 건강식품으로도 이용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지방산의 경우 포화지방산이 생체, 내장에서 각각 5.4,2.8%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우렁이의 이용성 제고 및 가공 제품화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꾸지뽕나무 열매의 숙기별 식품학적 특성 (Foo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fruit of Cudrania tricuspidata in its various maturation stages)

  • 정기태;주인옥;최소라;유동현;노재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30-335
    • /
    • 2013
  • 본 연구는 꾸지뽕나무 열매의 숙기에 따른 식품학적 가치를 분석하여 가공이용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꾸지뽕나무 열매의 과즙 pH는 4.2~5.1이고 총산은 1.4~2.0%이며 환원당은 5.4~8.6%이었다. 숙기가 진전됨에 따라 총산과 환원당 함량이 증가되었다. 꾸지뽕나무 열매의 일반성분을 보면 수분은 76.0~80.1%, 조단백질 2.2~3.5%, 조지방 1.7~2.9%, 회분 0.8~1.2%, 탄수화물 14.5~16.4% 이었다.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가 검출되었으며 적숙과와 과숙과에서 fructose가 glucose 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유기산은 oxal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malic acid와 succinic acid가 성숙시기에 관계없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무기성분은 Ca, Fe, K, Mg, Na, P 등이 검출되었고 K 함량이 836~1207 mg%로 가장 높았다. 비타민 C함량은 127.5~149.2 mg%이었으며 총 식이섬유함량은 22.7~38.7%이었으며 불용성 식이섬유가 수용성 식이섬유 보다 월등히 많았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8.9~19.7mg%와 40.9~48.2mg%이었다.

곤충 유래 항균 펩타이드의 작용 기작 (Mode of Action of Antimicrobial Peptides Identified from Insects)

  • 이희정;이동건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15-723
    • /
    • 2015
  • 지구상에 존재하는 전체 동물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 하고 있는 곤충은 예로부터 인간의 식품, 농업, 산업, 의약 등의 일상 생활에 이용되어 왔다. 많은 수와 높은 영양학적 가치로 곤충의 생리활성물질이 미개발 생물자원으로 재평가 되고 있다. 곤충은 면역세포, 곤충 혈구세포, 효소들의 연쇄반응 혹은 항균 단백질/펩타이드 같은 방법으로 외부의 감염에 저항성을 가지게 된다. 항균 펩타이드는 곤충의 혈림프의 선천성 면역 시스템 중 주요한 성분중의 하나로 항생제 내성 균주의 출몰이 빈번하게 일어나 해결책으로 새로운 항생제 개발이 시급한 시점에서 유력한 후보물질로 주목 받고 있다. 곤충 유래 항균 펩타이드는 150개가 넘게 분리되었으며 크게 세크로핀, 디펜신, 글라이신/프롤린이 풍부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다. 이 논문에서, 향균 펩타이드를 생산하는 여러 곤충 중에서 벌, 소똥구리, 울도하늘소, 나비 그리고 울도하늘소에서 얻을 수 있는 펩타이드의 종류 그리고 작용 기작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펩타이드들은 항균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멜리틴을 제외하고 적혈구의 용혈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주로 세포막을 붕괴시키거나 세포자살기작을 유도하여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한다. 곤충 유래 펩타이드와 같은 생리활성물질이 그 활용 가능성의 면에서 엄청난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더 주목을 받을 것이다.

발효 동충하초의 유용성분 및 생리 활성 작용 (Biological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rdyceps militaris Powder Fermented by Several Microscopic Organisms)

  • 안희영;박규림;윤경훈;이재윤;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7-205
    • /
    • 2015
  • 본 실험은 동충하초 분말과 8가지 균주로 각각 발효한 동충하초 분말의 혈전용해 활성, 항산화 활성, tyrosinase 저해 활성 그리고 총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미네랄 함량을 비교 검토하였다. 발효한 결과 CAo군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발효 전에 비해 가장 증가하였고, 주요 미네랄인 K, Mg, Ca, Zn 등의 함량 역시 증가하였다. 또 native-PAGE를 이용하여 발효 전과 발효 후 단백질을 비교하였을 때, CAo군에서 새로운 단백질이 관찰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는 CMp군이 다른 군에 비해 경미하게 높은 활성을 나타냈지만, 모든 군들이 합성항산화제인 butylated hydroxytoluene (BHT)에 비해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보았을 때 CAo군이 C군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발효 후 번데기 동충하초의 항혈전을 비교한 결과, CAk군과 CBs군에서 큰 항혈전능을 나타내었다. 두 균주를 1%(v/w), 5%(v/w)로 접종하여 발효 시간과 발효 온도를 조정하면서 각각의 항혈전 최적 조건을 분석한 결과, CAk군과 CBs군 모두 5%(v/w)로 접종하여 $40^{\circ}C$에서 24시간 발효하였을 때 최대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번데기 동충하초는 발효 균주에 따라 건강 기능성식품의 원료 또는 혈전용해제의 원료로써 가능성을 보이며 이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산(大蒜)을 포함하는 복합발효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으로부터 Tyrosinase 저해활성 성분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of Bioactive Compounds from the Ethylacetate Fraction of Fermented Garlic Complex and their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ies)

  • 송효남;백남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3-72
    • /
    • 2020
  • 천연미백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대산(마늘)을 포함한 총10종의 약용식물 혼합물을 발효하여 얻은 발효물로부터 tyrosinase inhibition 활성을 확인하고, 이로부터 신규한 화합물 1종 외 3종의 활성 성분을 분리하였다. 마늘복합발효물의 영양성분 13항목을 분석하여 기능성 식품 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발효원액의 tyrosinase 저해효과는 88.6%로 나타났고, 활성성분의 분리를 위하여 EtOAc, n-BuOH 및 H2O로 분배, 추출하였다. 이중 수득률이 가장 높은 EtOAc 분획물(47g)로부터 silica gel 및 ODS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면서 TLC와 효소저해 효과로부터 확인한 활성분획을 순차적으로 분리하였다. 화합물의 화학구조를 NMR 및 MS 등의 스펙트럼으로 분석한 결과 phenylpropanoid류의 신규 화합물인 2,4,5-trihydroxy-benzenepropanoic acid (1) (1.9 mg) 및 화합물 1과 동량으로 혼재하는 2,3,5-trihydroxy-benzenepropanoic acid (2)를 확인하였다. 이외에 2,4-dihydroxy-hydrocinnamic acid (3) (3.3 mg) 및 (+)sesamin (4) (6.1 mg)을 분리·동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이 향후 본 조성물의 지표성분 및 기능성 성분으로 활용된다면 기업에서의 원천기술 확보를 통한 제품개발과 산업화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경남지역 간호사의 스트레스 수준 및 건강관련 행동 (Stress Level and Health-Related Behavior of Nurses Working in the Kyungnam Area)

  • 윤현숙;최윤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781-793
    • /
    • 200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tress level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nurse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in the health care fiel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7 nurses and 94 nursing assistants working at hospitals in the Kyung-nam area.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n November, 200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average age and work experience of the subjects were 26.9 and 5.6 years, respectively. The number of respondents in the shift and non-shift operations was equally distributed. The mean height and weight were 161.2 cm and 52.7 kg, respectively. Even though the average body mass index (BMI) and obesity index were normal in the subjects, 9.2% of the subjects were overweight/obese, while 28.9% of the subjects were under weight, according to the obesity index. The mean score of stress was 27.5 \pm$\pm$ 4.6 out of 50 points. Most of the subjects were highly stressed about the amount of their work, problems regarding their future, and relationships with their superiors. With regard to changes in food intake due to stress, 44.1% showed an increased intake, while 32.3% showed a reduced intake. The degree of health consciousness of the married nurses, those over 36 years of age, and those with over 10 years of nursing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unmarried nurses, those under 35 years of age, and those with under 10 years of nursing experience (p<0.01). Fifty-one point three percent of the subjects thought their health status was unhealthy. Fifty-seven percent of the subjects had tried weight control. Their main reason for trying weight control was to have a slender figure (62.3%), and their methods of weight control were moderation in intake(45.6%), exercise and dieting (36.9%). TV/radio (49.5%) and newspaper/magazines (47.1%) were the primary sources of nutritional and health information for the subjects, and professional (25.1%) and the internet (13.4%) were ranked relatively highly. The food components of most concern to the subjects during meal time were (in order of importance) fats (51.9%), calories (40.2%) and salt (35.1%). The subjects considered 'taking a rest' (73.5%)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maintaining an optimal health status, followed by self-relaxation (56.4%), moderation in diet (39.5), bathing or using a sauna (25.7%) and exercising (22.7%).

느티만가닥 버섯의 품질 및 휘발성 향기 성분 특성 (Quality and Volatile-Flavor Compound Characteristics of Hypsizigus marmoreus)

  • 박명수;박중현;오덕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52-558
    • /
    • 2011
  • 본 연구는 느티만가닥 버섯의 식품학적 이용성 증진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써 느티만가닥 버섯의 일반성분, 아미노산 및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느티만가닥 버섯의 일반성분은 탄수화물이 60.1%, 조단백질 32.0%, 수분 8.98%, 회분 5.0%, 조지방 2.0%의 함양을 보였다. 무기물함량은 건조물 100 g을 기준으로 칼륨 429.5 mg, 인 101.9 mg, 나트륨 20.3 mg, 마그네슘 54.86 mg, 칼슘 2.7 mg, 아연 0.8 mg, 철 0.7 mg, 망간 0.2 mg, 구리 0.1 mg의 함량을 보였다. 느티만가닥 버섯의 총 아미노산 분석 결과 17가지의 아미노산이 분석되었으며, glutamine acid가 2,340 mg/100 g으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연속증류추출장치와 GC-MS를 사용하여 느티만가닥 버섯의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8종의 aldehyde류, 7종의 alcohol류, 1종의 acid 류 및 1종의 함황화합물을 비롯하여 총 17종의 향기성분이 확인되었다. 이 중 2,3,6-trimethy1 pyridine이 전체 향기성분의 42.51%를 차지하였고, 1-octen-3-ol, buty1hydroxytoluene (BHT), isoocty1 phthalate, 3-octanal, 1-undecanol, 2-amylfuran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느티만가닥 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식품재료로서의 이용성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채취시기에 따른 고들빼기의 성분 조성과 산화방지활성 (Effect of collection time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levels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of Godulbaegi (Youngia sonchifolia M.))

  • 황태연;허창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86-79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식품으로서 활용범위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고들빼기 식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화학 성분과 기호성에 관계되는 특수성분을 조사하기 위하여 10월(A)과 12월(B) 2회에 걸쳐 채취시기별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고들빼기에 함유된 항산화물질을 분석하여 가공식품으로 정착시키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고들빼기의 채취 시기별 일반성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잎과 뿌리에서 채취 시기가 경과할수록 수분 함량과 조지방 함량은 공통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섬유질, 단백질, 가용성무질소물 및 회분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무기질은 채취 시기가 경과할수록 잎의 Mg과 Na를 제외하고는 모든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Vit. C와 Niacin은 채취 시기가 경과할수록 잎과 뿌리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Vit. $B_1$, $B_2$는 소량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들빼기 잎과 뿌리의 주된 유기산은 구연산, 사과산 및 주석산이 검출되었고, 시기별로 성분함량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주요 구성아미노산은 잎과 뿌리 모두에서 isoleucine과 leucine이었고,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증가하였다. 고들빼기의 잎과 뿌리에 함유된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등 4개의 당이 확인되었고 총 유리당 함량은 채취 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다. Phenol화합물은 arbutin, catechin, chlorogenic acid, p-coumaric acid 등 4개의 성분이 확인 되었으며, 잎보다 뿌리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그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들빼기 항산화력은 잎보다 뿌리의 항산화력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취 시기가 늦을 수 록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