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ent solution.

검색결과 768건 처리시간 0.026초

배양액내 $\textrm{NO}_3^\;-$, $\textrm{K}^+$$\textrm{Ca}^{++}$ 농도가 무등산수박 유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centration of $\textrm{NO}_3^\;-$ $\textrm{K}^+$ and $\textrm{Ca}^{++}$ in Nutrient Solution on the Seedling Growth of ‘Mudeungsan’ Watermelon)

  • 이범선;정순주;박순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06-213
    • /
    • 1998
  • 본 실험은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연구온실에서 무등산수박의 건묘 생산에 있어 묘의 소질을 결정하는 NO$_{3}$$^{1}$, $K^{+}$$Ca^{++}$을 농도별(Total-N=94, 106, 112, 206, 406ppm; $K^{+}$= 100, 150, 200, 400ppm; $Ca^{++}$= 80, 150, 200, 320ppm)로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 배양액의 N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초장, 엽면적, 엽수, 지상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K 농도를 증가시켰을 경우 수박 유묘의 초장은 200ppm까지는 약간 증가하지만 200ppm 이상으로 증가시키면 엽면적, 엽수, 엽장, 생체중 및 건물중이 감소하였다. Ca처리의 경우도 농도의 증가에 따른 엽면적과 엽생체중 및 건물중의 감소가 현저하였다. N의 농도를 206ppm으로 증가시킨 경우 무등산수박 묘의 엽병내 N, K 및 Mg의 함량은 증가하였지만 P 및 Ca의 함량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K의 농도를 150ppm으로 증가시킨 경우 수박유묘의 엽병내 N, K 및 Mg의 함량이 증가한 반면 200ppm이상으로 증가시킨 경우에는 N와 Mg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P 및 Ca의 함량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배양액에 Ca의 농도를 증가시킨 경우 엽병내 N, K, Ca 및 Mg의 농도가 증가하는 반면 200ppm 이상에서는 N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 PDF

바이오세라믹 분말의 엽면살포와 배양액내 처리가 분무경재배 토마토의 생장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oceramic Powder in the Nutrient Solution and Foliar Spray on the Growth and Fruit Quality of Aeroponically Grown Tomato)

  • 이정현;이범선;정순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0-56
    • /
    • 1996
  • 본 연구는 서광 토마토(Lycopersicon esculentum MILL. cv. Seokwang)의 분무경재배시 신소재인 바이오세라믹 분말을 엽면살포(0.2%)와 배양액내에 처리(0.02%)하여 토마토의 생장 및 과실품질 특성을 비교하고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상부와 지하부의 바이오세라믹 처리시 대조구에 비해 초장은 감소하였으나 뿌리의 생장은 증가하였다. 2. 바이오세라믹 분말의 엽면살포시 과방의 생장이 대조구에 비해서 약 14% 정도 증가하였다. 바이오세라믹 분말의 지상부와 지하부 처리시 총건물중이 증가하였다. 3. 바이오세라믹 처리시에 T/R율은 대조구에 비해 낮았으며, 순동화율(NAR)과 상대생장율(RGR)은 바이오세라믹을 엽면살포했을 경우에 12.13g/d$m^2$/day와 0.05g/g/day로 가장 높았다. 4. 대조구에 비해 바이오세라믹 분말의 근권처리시에는 총누적생과중 및 건과중이 감소하였으나, 엽면살포시에는 증가하였다. 바이오세라믹 파우더의 근권 및 엽면살포시 대조구에 비해 과실의 수량이 감소하지 않고 당도가 높아졌다.

  • PDF

강원도 춘천지역 낙엽활엽수림에서의 수분이동에 따른 양분동태 (Nutrient Dynamics through Water Transport in Natural Deciduous Hardwood Forests in Chunchon, Kangwon Province)

  • 진현오;손요환;이명종;박인협;김동엽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1호
    • /
    • pp.13-1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춘천지역 낙엽활엽수림(굴참나무, 신갈나무)에서의 강우의 이동에 따른 수량, 용존원소 농도 및 물질량 등을 조사하였다. 임외우량에 대한 각 강우량의 비율은 굴참나무임분이 신갈나무임분에 비하여 수관통과우에서 2∼3%, 그 외의 강우에서 10∼15%의 증가량을 나타내고 있었다. 임외우에 비하여 수관통과우에서는 K/sup +/농도가, Ao층통과우에서는 Ca/sup 2+/, Mg/sup 2+/, NO₃/sup -/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전자의 원소농도에서는 수관으로부터의 용탈, 후자의 원소농도에서는 Ao층으로부터의 용탈 및 질산화 작용에 기인한 것이라 판단된다. 수관통과우, Ao층통과우 및 A, B층토양수에 있어서 원소농도는 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K/sup +/, Mg/sup 2+/, Cl/sup -/농도에서 현저하였다. Ao층통과우의 Ca/sup 2+/에서 굴참나무임분이 신갈나무임분에 비하여 1.5배 정도 높은 값을 나타낸 것 이외에는 다른 강우의 물질량에 있어서는 임분 간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연간 수간류 물질량은 임상으로 도달하는 강우(수관통과우+수간류)물질량의 10% 미만이었는데, 양적인 면으로 보아 물질순환 과정에 있어서 수간류의 비중은 작다고 판단된다.

미생물에 의한 자귀나무·참싸리·비수리 종자의 발아촉진 (The Increase of Seeds Germination in Albizzia julibrissin, Lespedeza cyrtobotrya and Lespedeza cuneata by Microbial Treatment)

  • 차고운;허영진;안태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07-115
    • /
    • 2008
  • Herbs and plants widely used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were selected for germination rate analysis under treatment of microorganisms to determine ideal treatment conditions and medium for enhanced germination rate. Albizzia julibrissin, when submerged in a nutrient medium or distilled water, presented a decrease in germination period rather than increase in germination rate. When treated with microorganism culture solution (JM-2) for 24 hours, 90% germination was achieved in two days, which is sufficient evidence to conclude that such treatment accelerates the germination of Albizzia julibrissin. Germination period decreased for Lespedeza cyrtobotrya samples submerged in microorganism solution for 15 and 48 hours, however, increases in germination rates were not observed. Sample treated in the solution for 24 hours had increased germination rate and enhanced germination period. Microorganism solution treat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germination for Lespedeza cuneata, unlike Lespedeza cyrtobotrya and Albizzia julibrissin. Microorganism treated seeds of Lepsedeza cuneata had a lower germination rate than that of the control with no treatment. However, submerging treatments in a nutrient medium or distilled water for 24 to 48 hours were proven effective with higher germination rates than control sample with no treatment. Herbs and plants widely used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were selected for germination rate analysis under treatment of microorganisms to determine ideal treatment conditions and medium for enhanced germination rate. Albizzia julibrissin, when submerged in a nutrient medium or distilled water, presented a decrease in germination period rather than increase in germination rate. When treated with microorganism culture solution (JM-2) for 24 hours, 90% germination was achieved in two days, which is sufficient evidence to conclude that such treatment accelerates the germination of Albizzia julibrissin. Germination period decreased for Lespedeza cyrtobotrya samples submerged in microorganism solution for 15 and 48 hours, however, increases in germination rates were not observed. Sample treated in the solution for 24 hours had increased germination rate and enhanced germination period. Microorganism solution treat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germination for Lespedeza cuneata, unlike Lespedeza cyrtobotrya and Albizzia julibrissin. Microorganism treated seeds of Lepsedeza cuneata had a lower germination rate than that of the control with no treatment. However, submerging treatments in a nutrient medium or distilled water for 24 to 48 hours were proven effective with higher germination rates than control sample with no treatment.

삽수 직접정식이 방울토마토 양액재배에 있어서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mmediate Setting with Lateral Branch Cuttings on Growth and Yield of Cherry Tomatoes in Soilless Culture)

  • 장전익;박용봉;지성한;양희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9-88
    • /
    • 1996
  • 방울토마토 잠액 수경재배에 육묘단계를 생략한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Pico’, ‘Pepe’ 및 ‘Koko’ 3품종의 측지를 육묘상에서 15일간 육묘한 것과 양액 재배상에 바로 정식하고 양액의 농도를 표준과 50% 농도의 2수준으로 처리하여 생육상태와 수량을 조사하였다. 1. 직접정식이 육묘정식보다 초기 생육단계에서 초장이 길었고, 엽수가 많았으며 엽면적이 넓었다. 수확시기는 직접정식이 육묘정식보다 6일 정도 빨랐고 품종간에는 ‘Pepe’가 다른 2품종보다 빨랐으며 양액 농도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2. 과일 1개당 평균 무게는 정식묘가 양액의 농도에 따른 영향은 없었고 품종간에는 ‘Pepe’가 적었다. 그리고 수량은 표준농도의 양액에 직접 정식한 ‘Pepe’에서 가장 많았다. 3. 과즙의 당도는 직접 정식한 구가 육묘 정식한 구보다 높았고 품종간에는 ‘Pepe’가 높았다.

  • PDF

수돗물을 용수로 사용한 결구상추의 수경육묘시 배양액내 $\textrm{NH}_4\textrm{H}_2\textrm{PO}_4$ 에 관한 연구 (Study on $\textrm{NH}_4\textrm{H}_2\textrm{PO}_4$ in Nutrient Solution using Tap Water during Hydroponic raising of Crisp Lettuce)

  • 김주희;김혜진;김영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81-187
    • /
    • 1995
  • 본 실험은 수돗물을 용수로 사용한 결구상추(Lactuca sativa var. capitata)의 수경육묘시 배양액의 pH에 대한 NH$_4$H$_2$PO$_4$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배양액의 pH를 안정시키기 위하여 시작배양액과 추가배양액의 조성을 달리하여 공급하였다. 배양액의 pH는 추가배양액의 공급시 급격한 하락을 나타낸 후에 회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배양액의 pH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EC는 반대로 감소하는 일중변화를 보였다. 1, 2차 실험에서 pH는 추가배양액 공급 이후에 NH$_4$H$_2$PO$_4$ 0.25me/$\ell$ 처리구에서 7정도를 유지하였으나 NH$_4$H$_2$PO$_4$ 3me/$\ell$과 6me/$\ell$ 처리구에서는 6.4-6.5정도를 유지하였다. 3차 실험에서 NH$_4$H$_2$PO$_4$ 0.25me/$\ell$ 처리구의 pH는 6.7에서 7.4 까지 서서히 증가하였으나, NH$_4$H$_2$PO$_4$ 3me/$\ell$과 6me/$\ell$ 처리구에서는 6-6.5에서 5-5.5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배양액의 pH를 안정시키기 위하여는 배양액에 존재하는 NH$_4$H$_2$PO$_4$의 전체 양을 1me/s$\ell$과 7me/6$\ell$사이로 설정하거나, 농도를 기준으로 0.25 me/$\ell$와 3 me/$\ell$ 사이로 하는 것이 적정하리라 사료된다.

  • PDF

밀의 Aluminum 耐性에 관한 硏究 (A study of aluminum toarance of wheats)

  • Chung, Hee-Joo;Lee, In-Soo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2호
    • /
    • pp.157-172
    • /
    • 1992
  • Studi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differential al tolerance of suwon 205 and olmil wheats grown is nutrient solution and determine the impact of NH4+-N or Ca2+ nutrition of the response of the two wheat vareties to al. In various concentrations of al, olmil induced lower ph levels than suwon 205 in nutrient solutions and the reduction of root length and dry weight was greater in olmil than in suwon 205. The uptake of al was greater in root than in shoot of the two wheat varieties, but more increased in root of olimil. also the uptake of ca, mg, k and p was inhibited by al especialy decrease of ca and p uptake in roots of olmil was more pronounced than in those of suwon 205. In nutrient solutions that contained NH4+-N plus 9ppm al, the ability of both varienties to raise the ph was reduced as the level of NH4+-N in nutrient solutions was increased, and al-sensitive olimil induced lower ph than did al-tolerant suwon 205. al toxicity was intensified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NH4+-N in nurient and toxic effect was greater in olmil. al toxicity in the two wheat varieties was steadily increased as the ca level of nutrient solution was reduced, sepecialy this effect was stronger in al-sensitive olmil than in al-tolerant suwon 205.

  • PDF

순환식 양액재배에서 상추의 성장에 따른 양액성분의 변화 (Changes in the Nutrient Components Associated with the Growth of Lettuce in Circulating Hydroponics)

  • 김동석;박영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075-1084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nutrient components ($NO_3{^-}-N$, $NH_4{^+}-N$, $PO_4{^{3-}}P$, $K^+$, $Ca^{2+}$, and $Mg^{2+}$) and environmental parameters (electrical conductivity, total dissolved solids and pH) on the leaf lettuce (Lactuca sativa L.) grown with hydroponics. Recirculating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was consisted of planting port, LED lamp, water tank, and circulating pump for hydroponic. Nutrient solution was used in the standard solution for Japan vegetables experimental station and commercial hydroponic. The result showed that electrical conductivity (EC), total dissolved solids (TDS) and pH, depending on the growth of lettuce decreased continuously. With the growth of the lettuce, nitrate nitrogen, ammonia nitrogen, phosphate phosphorus were required for periodic replacement. The number of pH compensation due to the growth of lettuce are the most high. The concentration of $Ca^{2+}$ and $Mg^{2+}$ during the lettuce growth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However, $K^+$ concentration increased due to the replacement with nitrogen and phosphorus. Electric conductivity and total dissolved solids with total nutrient concentration showed the linear relationship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2$ were 0.8601 and the 0.827, respectively.

순환식 수경재배에 적합한 토마토 배양액 개발 (Development of Optimal Nutrient Solution of Tomato(Lycopercicon esculentum Mill.) in a Closed Soilless Culture System)

  • 유성오;배종향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03-211
    • /
    • 2005
  • 토마토 순환식 고형배지경 시스템에서 생육단계별 작물의 양분 흡수율을 밝히고 최적 배양액을 개발하고자 일본야채시험장 표준액($NO_3-N$ 16.0, $NH_4-N$ 1.3, $PO_4-P$ 4.0, K 8.0, Ca 8.0, Hg 4.0 $me{\cdot}L^{-1}$)을 1/2, 1 및 2배액의 3수준 농도로 조성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생육초기와 후기 모두 1/2배액 처리에서 생육이 양호하고, 근권 내 pH와 EC의 변화도 적었으며, 식물체내 무기이온 함량도 적정치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육단계별 양${\cdot}$수분 흡수(n/w)율에 의해 개발된 토마토 순환식 배양액 조성은 생육초기에는 $NO_3-N,\;PO_4-p$, K, Ca, Mg 및 $SO_4-S$ 농도가 각각 7.1, 2.1, 4.0, 3.1, 1.2 및 1.2 $me{\cdot}L^{-1}$, 생육후기에는 각각 6.5, 2.3, 3.4, 3.1, 1.1 및 1.1 $me{\cdot}^L^{-1}$로 나타났다. 개발된 배양액의 적합성 검정을 위하여 네델란드 온실작물연구소의 순환식 PTG(Proefstation voor tuinbouw onder glas te Naaldwijk) 배양액으로 비교 실험을 하였다 초기 생육은 PTG와 WU 배양액의 2배액 처리에서, 후기 생육은 WU 2배액 처리에서 가장 좋았다. 정식 후 72일째까지의 수량은 WU 2배액 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배꼽썩음과는 PTG와 WU 배양액의 모든 농도에서 나타났다. WU 2배액의 EC와 pH변화는 재배되는 동안 안정적이었다. 생육이 높았던 WU 2배액의 식물체내 무기성분 함량 N과 P 함량이 높음에 따라 배양액 조성시 N, P 함량을 낮추어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착색단고추 수경재배 시 적정 급액농도 (Optimum Concentration of Supply Nutrient Solution in Hydroponics of Sweet Pepper using Coir Substrates)

  • 김호철;차승훈;김철수;이혜진;이용범;배종향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0-214
    • /
    • 2008
  • 코이어 배지(코코넛 분말:섬유=70%:30%, v/v)를 이용한 착색단고추 수경재배에서 공급 배양액의 적정 농도를 구명하자 EC 2.5, 3.0, 3.5 및 $4.0dS{\cdot}m^{-1}$의 농도를 공급하였다. 생육 기간 동안 배양액의 급액 농도에 따른 슬라브 내의 EC는 급액 농도가 높아지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분 함량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배액의 pH는 안정적이었으며, EC는 급액 농도 EC $4.0dS{\cdot}m^{-1}$에서 EC $7.3dS{\cdot}m^{-1}$로 높았을 뿐만 아니라 표준편차와 변이계수도 높았다. 초장은 급액농도 간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광합성율은 급액 농도 EC $4.0dS{\cdot}m^{-1}$에서 전반적으로 높았다. 과중은 급액 농도 EC $4.0dS{\cdot}m^{-1}$에서 가장 무거웠으며, 과형은 급액 농도 EC $3.5dS{\cdot}m^{-1}$에서 정사각형에 가까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