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merical Tracer Model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6초

대청호의 조류발생 분석 (Study on Algae Occurrence in Daecheong Reservoir)

  • 조완희;염경택;김진수;반양진;정세웅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3호
    • /
    • pp.367-380
    • /
    • 2012
  • There are many long and round shape shores due to terrain characteristics in Daecheong reservoir. Therefore it is indicated different spatial distribution of algae every year since the stream is being regulated by these terrain characteristics and reservoir operation about inflow and outflow discharge. Also oversupply of nutrient salt from tributaries of Daecheong reservoir where pollutants were concentrated generates massive growth of algae and depending on hydrological, reservoir operation condition, those proliferated algae at the stagnant tributaries moves to the mainstream of Daecheong reservoir which could create problems of water quality.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the tendency of algae generation by examining algae occurring status for the last 4 years since 2008, and implemented hydraulic analysis at Daecheong reservoir through numerical tracer simulation by applying 3-dimensional hydrodynamic model, ELCOM. Also it was implemented a quantitative analysis of causal relationship based on the algae generation tendency and hydraulic behavior at Daecheong reservoir. Through numerical tracer simulation in this study, it could be noticed the degree of spread of inflow indicated similar trend to the algae occurring status at Daecheong reservoir and verified the different tendency of algae generation in 2011 unlike previous year caused by the rise of water temperature.

장거리 대기 확산모델 검증 (Validation of the Long-Range Atmospheric Dispersion Model)

  • 서경석;김은한;황원태;정효준;한문희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1권1호
    • /
    • pp.9-15
    • /
    • 2006
  • 대기 중으로 방출된 방사성 물질의 이동 확산 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장거리 대기 확산 모델 LADAS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수치모델의 검증을 위하여 ETEX 장거리 확산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LADAS모델 내 혼합층 높이를 일정하게 준 경우보다 Richardson number를 이용하여 혼합층 높이를 계산한 결과가 관측 값에 가장 근접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부 포집 지점에서 관측된 농도의 시계열 자료와 비교한 바 계산 값은 어느 정도 일치하고 있었다.

산악 계곡지형에서의 오염확산에 관한 연구(II) :수치해석 (A Study on the Pollutant Dispersion over a Mountain Valley Region (II) : Numerical Simulation)

  • 심우섭;김석철;유성연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7권11호
    • /
    • pp.1060-1071
    • /
    • 2005
  • Passive gas dispersions over a 1/1000 scale terrain model at Eiffel type wind tunnel were reproduced by numerical simulation. Large eddy simulation was used to treat the sub-grid scale turbulences. The terrain features were represented by millions of point forces densely distributed over the solid surface using the virtual boundary method. The model simulations agreed very well with the experiments in a consistent fashion for all wind directions. The measured profiles of the wind speeds as well as the tracer gas concentrations were nicely simulated by the CFD model at most locations scattered over the model terrain. With scale factor adjusted and the thermal stratification effects incorporated, the CFD model was expected to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on pollutant dispersions over the real complex terrains.

비선형 hydromechanic 효과를 고려한 이산 균열망 모형에서의 유체흐름과 오염물질 이송에 관한 수치모의 실험 (Fluid Flow and Solute Transport in a Discrete Fracture Network Model with Nonlinear Hydromechanical Effect)

  • 정우창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1권3호
    • /
    • pp.347-360
    • /
    • 1998
  • 균열 암반 매질에서의 지하수 흐름과 오염물질 이송에 대한 수치모의 실험이 hydromechanic 모형과 추계적 그리고 이산적 3차원 균열망 모형에 바탕을 둔 비정상상태 흐름 수치 모형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오염물질 이송에 대한 수치모의 실험에서 random walk의 일종인 particle following 알고리즘이 사용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하 깊은 곳에 위치한 Hot dry rock에서의 지열 개발을 위해 프랑스 Soultz sous Foret 지역에 설치된 두개의 깊은 착정인 GPK1과 GPK2 사이에서의 tracer test 반응을 1995년에 실행된 유체순환 현장 실험으로 부터 얻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예측하는 것이다. 모의 실험 결과 비반응입자(nonreactive particles)에 대한 평균 이송시간은 두 착정 사이에서 약 5일이었다.

  • PDF

위성영상 및 수치모델을 이용한 낙동강유출 부유토사 확산범위 추정 (Estimation of the Range of the Suspended Solid from the Nakdong River using Satellite Imageries and Numerical Model)

  • 황재동;강용균;서영상;조규대;박성은;장이현;이나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5-33
    • /
    • 2002
  • 위성영상과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낙동강유출 부유토사의 확산범위를 구해 낙동강유출수의 영향권을 간접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수심을 적분한 2차원모델을 이용하여 유속장 계산 결과를 보면 창조시 부산에서 진해만과 거제도방향으로 흐름이 보였으며, 낙조시에는 창조시와 반대의 흐름을 보였다. 유속의 크기는 외양이 연안보다 크게 나타났다. 12시간 조시 평균에 의한 잔차류는 남서에서 북동방향의 흐름이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가덕도 동안에서는 동쪽으로 향하는 흐름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유속장을 기반으로 부유토사의 확산 정도를 라그랑지 방법인 수치추적자 방법을 이용하여 구했다. 그 결과, 낙동강유출 부유토사의 범위는 가덕도 동안에서 부산방향으로 나타났다. SeaWiFS와 LANDSAT위성자료로 추정한 낙동강 유출부유토사의 확산범위는 수치모델의 결과와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 PDF

2D Flood Simulation for Estimating the Economic Loss in the Building Areas

  • Kang, Sang-Hyeok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5권4호
    • /
    • pp.397-406
    • /
    • 2007
  • 도시지역의 2차원 모형은 홍수침수과정에 있어서 아직 선구적인 분야이며 이러한 모형은 지형 및 불충분한 지형계수 및 자료로 인하여 제한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DEM에 기초한 제방 붕괴로 인한 표면수의 침수를 재현하고자 한다. 도시지역에 있어서 표면수의 흐름은 Saint-Venant의 방정식을 통해 모형을 구성하였다. 2002년 삼척시에서 발생한 홍수를 재현하기 위하여 추적자를 이용한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여 모형을 보정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홍수지도 제작이나 도시지역에서 침수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 PDF

해양유출기름의 확산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II) - 유류확산모델의 현장 적용 (Development of Simulation Model for Diffusion of Oil Spill in the Ocean (II) - Application of Simulation model to the Field)

  • 김기철;이중우;강신영;도덕희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427-436
    • /
    • 1999
  • Simulation model for diffusion of oil spill is developed. The model can perform real time simulation in the case of oil spill accident in the ocean. The model consists of three dimensional ocean circulation model and model for diffusion of oil spill. Real time flow fields which are used in the calculation of advection of oil spill are obtained in the three dimensional ocean circulation model. The model for diffusion of oil spill includes the evaporation dissolution emulsification and downward diffusion. For the verification of the model it is applied to the oil spill from the accident of Sea Prince. The results shows good agreement.

  • PDF

EMBR이 적용된 연속주조 몰드 내부에서의 유동장 해석 (A Numerical Study on the Flow Fields in the Continuous Casting Mold with Electromagnetic Brake)

  • 하만영;이현구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47-56
    • /
    • 1999
  • We developed a computer program to simulate the flow field in the presence of electro-magnetic fields. The steady, two-dimensional conservation equations for mass and momentum were solved simultaneously with Maxwell equations for electro-magnetic fields. Using this program, a nume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fluid flow in the continuous casting mold with electromagnetic brake. The effects of magnetic fields size, nozzle angle and EMBR yoke position on the flow fields in the continuous casting were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flow fields with EMBR were compared with those without EMBR. We also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tracer concentration as a function of time in order to calculate their residence time in the mold with EMBR. By controlling the flow fields properly using EMBR, we can prevent the direct flow impaction on the wall which can give a damage on the mold surface and reduce surface defects of stainless steel sheet products.

  • PDF

방사성동위원소 추적자를 이용한 폐수처리시설의 응집조에서 유입수의 체류시간분포 분석 (RTD Analysis using Radioisotope Tracer on the Water Flow Characteristics in a Flocculator of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 김진섭;정성희;김종범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6
    • /
    • 2006
  • 폐수처리시설의 응집조를 대상으로 0.392MeV의 감마선을 방출하는 In-113m을 추적자로 이용하여 체류시간분포(RTD; residence time distribution)를 측정하였다. 계측 결과는 CFSTR (constant flow stirred tank reactor) 모델을 바탕으로 구축한 K-RT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학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혼합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모델에 의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계측결과와 맞추는 과정에서 유체 거동의 특성을 표현하는 인자들을 계산하였으며, 이들 인자에 의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실험결과에 매우 성공적으로 부합하였다. 또한 향후 본 실험에서 관찰된 bypass flow의 성분을 이론적 모델에 포함시키고 이를 분석하며 혼합조의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PIV 기법을 이용한 모형철도터널 직관덕트에서 유동 분포 계측 및 수치해석 결과와의 비교분석 (MEASUREMENT OF FLOW DISTRIBUTION IN A STRAIGHT DUCT OF RAILWAY TUNNEL MOCK-UP USING PIV AND COMPARISON WITH NUMERICAL SIMULATION)

  • 장용준;정우성;박일순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9-45
    • /
    • 2010
  • The turbulent flows in a tunnel mock-up($10L{\times}0.5W{\times}0.25H$ m3 : scale reduction 1/20) with rectangular cross section were investigated. The instantaneous velocity fields of Re = 49,029, 89,571 were measured by the 2-D PIV system which is consisted of double pulsed Nd:Yag laser and the tracer particles in the straight-duct mock-up where the flows were fully developed. The mean velocity profiles were taken from the ensemble averages of 1,000 instantaneous velocity fields. Simultaneously, numerical simulations(RANS) were performed to compare with experimental data using STREAM code. Non-linear eddy viscosity model (NLEVM : Abe-Jang-Leschziner Eddy Viscosity Model) was employed to resolve the turbulent flows in the duct. The calculated mean velocity profiles were well compared with PIV results. In the log-law profiles, the experimental data were in good agreement with numerical simulations all the way to the wake region except the viscous sub-layer (near wall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