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rf2/HO-1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26초

프로안토시아니딘의 항염증효과 (Proanthocyanidins Suppresses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Inflammatory Responses via Heme Oxygenase-1 Induction in RAW264.7 Macrophages)

  • 천혜진;박선영;장희지;조다영;정지원;박기민;정경미;김진경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84-491
    • /
    • 2019
  • 프로안토시아니딘(proanthocyanidins)은 식물계에 가장 풍부한 폴리페놀성 화합물로 다양한 고등식물의 뿌리, 잎, 열매, 나무껍질 등에 널리 존재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원료로 만들어진 차, 와인, 맥주 등과 같은 식품에도 상당량 함유되어 있다. 세포 및 실험동물을 이용한 다수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프로안토시아니딘은 항산화활성 및 면역조절활성, DNA 복구 및 항종양 작용과 같은 인체 건강에 유익한 무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면역 세포 중 대식세포(macrophage)는 염증반응을 매개하는 중요한 세포로 외부 병원체 제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대식세포가 만성 염증을 유발하고 비만, 당뇨병, 대사 증후군 및 암과 같은 다양한 질병에 관여한다는 것 또한 널리 보고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마우스의 대식세포주인 RAW264.7세포를 이용하여 프로안토시아니딘의 항염증활성의 일단이 Heme oxygenase-1 (HO-1)의 유도에 의해서 매개됨을 밝혔다. RAW264.7세포에 프로안토시아니딘을 처리한 결과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은 농도에서 HO-1의 발현을 증강시켰다. 또한 프로안토시아니딘의 처리는 HO-1의 발현을 조절하는 핵심 전사인자인 Nrf (nuclear factor-erythroid 2-related factor)-2의 핵으로의 이동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프로안토시아닌딘의 처리는 LPS (lipopolysaccharide)에 의해 유도된 NO (nitric oxide)의 생성 및 iNOS (inducible NO synthase)의 발현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및 발현도 유의적으로 억제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안토시아니딘의 항염증제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는 결과이다.

Effects of quercetin and coated sodium butyrate dietary supplementation in diquat-challenged pullets

  • Zhou, Ning;Tian, Yong;Liu, Wenchao;Tu, Bingjiang;Gu, Tiantian;Xu, Wenwu;Zou, Kang;Lu, Lizhi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9호
    • /
    • pp.1434-1443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hypothesis that dietary quercetin (QUE) and coated sodium butyrate (SB) supplementation alleviate oxidative stress in the small intestine of diquat (DIQ)-challenged pullets. Methods: A total of 200 13-week-old pulle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he control group (CON), the DIQ group, the QUE group, and the coated SB group, and injected intraperitoneally with either saline (CON) or diquat (DIQ, QUE, and SB) to induce oxidative stress on day 0. Results: On the first day, the malondialdehyde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concentrations in the SB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the DIQ and QUE groups (p<0.05), and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SB increased serum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levels compared with the DIQ group (p<0.05). Quercetin and SB increased the levels of CLAUDIN-1 and zonula occludens-1 (ZO-1) in the jejunum. On the tenth day of treatment, QUE attenuated the decrease in GSH-PX levels compared to those of the CON group (p<0.05), while SB increased SOD, GSH-PX, and total antioxidant capacity levels compared to those of the DIQ group.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NRF2) and heme oxygenase-1 (HO-1) mRNA levels in the QUE and SB groups increased (p<0.05) and CLAUDIN-1 mRNA levels in the QUE and SB groups were upregulated compared to those in the DIQ group ileum tissue.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QUE and SB demonstrated the ability to relieve oxidative stress in pullets post DIQ-injection with a time-dependent manner and QUE and SB may be potential antioxidant additives for relieving oxidative stress and protecting the intestinal barrier of pullets.

고지방식사로 유도된 신장 산화스트레스를 개선하는 가압볶음 무말랭이 열수추출물 효과 (Effects of hot water extracts of roasted radish against renal oxidative stress induced by high-fat diet)

  • 전연희;김미정;한성경;송영복;송영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03-208
    • /
    • 2017
  • 고지방식사를 섭취한 쥐의 신장에서 가압볶음 무말랭이 추출물의 산화방지,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군은 chow diet와 증류수를 경구 투여하는 NOR group, 고지방식사와 증류수를 경구 투여하는 CON group, 고지방식사와 237 mg/kg bw/day농도의 DR과 RDR를 각각 경구 투여하는 DR group, RDR group으로 나누어 12주간 사육하였다. 신장의 산화스트레스 지표인 ROS, $ONOO^-$, 그리고 지방질과산화물의 농도를 확인한 결과 CON group이 NOR group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DR group과 RDR group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체내 산화방지 지표인 글루타싸이온의 농도와 산화방지단백질의 발현은 DR group과 RDR group 모두 CON group에 비해 증가하였다. NF-${\kappa}B$ 발현은 CON group이 NOR group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DR group과 RDR group은 모두 감소하였다. RDR group은 DR group에 비해 $ONOO^-$ 및 지방질과산화물 농도가 감소하였고 글루타싸이온 농도와 산화방지 관련 단백질 발현 중 Nrf2, HO-1, 카탈레이스, 그리고 GPx가 증가하였고 염증반응 전사인자인 NF-${\kappa}B$의 발현이 낮아졌다. RDR group의 산화스트레스 개선효과는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가압볶음무말랭이를 차로 제조하여 섭취할 때 고지방식사로 유도된 신장의 산화스트레스를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그 효과는 무말랭이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Endoplasmic recticulum stress와 관련된 유전자기능과 전사조절인자의 In silico 분석 (In Silico Analysis of Gene Function and Transcriptional Regulators Associated with Endoplasmic Recticulum (ER) Stress)

  • 김태민;여지영;박찬선;이문수;정명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159-1163
    • /
    • 2009
  • ER stress에 관련된 유전자의 기능변화와 전사조절인자 분석하기 위해 ER stress를 유도한 간세포에서 expression microarray로 유전자 발현을 확보한 후 GSECA로 분석하였다. ER stress가 유도되면, ER에 주어지는 과도한 부하를 감소시키는 기능들이 증가하는 반면, ER stress가 더 증가함에 따라 ATP 생성이나 DNA repair, 더 나아가 세포분열의 기능이 감소하는 등 세포가 damage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ER stress에 관련된 전사조절인자로는 FOX04, AP-1, FOX03, HNF4, IRF-1, GATA 등의 전사조절인자들이 ER stress에 의해 발현이 증가하는 유전자들의 promoter에 공통적으로 존재하였으며, E2F, Nrf-1, Elk-1, YY1, CREB, MTF-1, STAT-1, ATF 등의 전사인자들이 발현이 감소하는 유전자들의 promoter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하여, 이들의 전사인자들이 ER stress에 의한 유전자의 발현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사조절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Involvement of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Response in the Neuronal Differentiation

  • Cho, Yoon-Mi;Jang, Yoon-Seong;Jang, Young-Min;Seo, Jin-Young;Kim, Ho-Shik;Lee, Jeong-Hwa;Jeong, Seong-Whan;Kim, In-Kyung;Kwon, Oh-Jo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1권6호
    • /
    • pp.239-246
    • /
    • 2007
  • Expressions of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response (ERSR) genes were examined during the neuronal differentiation of rat fetal cortical precursor cells (rCPC) and rat pheochromocytoma PC12 cells. When rCPC were differentiated into neuronal cells for 7 days, early stem cell marker, nest in, expression was decreased from day 4, and neuronal markers such as neurofilament-L, -M and Tuj1 were increased after day 4. In this condition, expressions of BIP, ATF6, and phosphorylated PERK as well as their down stream signaling molecules such as CHOP, ATF4, XBP1, GADD34, Nrf2 and $p58^{IPK}$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suggesting the induction of ERSR during neuronal differentiation of rCPC. ERSR was also induced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PC12 cells for 9 days with NGF. Neurofilament-L transcript was time-dependently increased. Both mRNA and protein levels of Tuj1 were increased after the induction, and the significant increase in NeuN was observed at day 9. Similar to the expression patterns of neuronal markers, BIP/GRP78 and CHOP mRNAs were highly increased at day 9, and ATF4 mRNA was also increased from day 7.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e induction and possible role of ERSR in neuronal differentiation process. Further study to identify targets responsible for neuronal induction will be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