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sa Ki Jeongji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초

노사학(蘆沙學) 연구(硏究)의 현황(現況)과 과제(課題) - 한국 철학계의 연구를 중심으로 - (The Current Trend and Task for the Nosa Studies: focusing on the researches in Korean Philosophy)

  • 박학래
    • 동양고전연구
    • /
    • 제70호
    • /
    • pp.347-384
    • /
    • 2018
  • 본고는 조선 성리학 6대가 중 한 사람이자 한말(韓末) 도학(道學)을 대표하는 학자로 평가받고 있는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1798~1879)과 그의 문인들로 구성된 '노사학파(蘆沙學派)'에 관한 연구 현황을 정리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한 것이다. 본고에서 제시한 '노사학(蘆沙學)'은 '기정진의 학문과 사상 및 그의 문인들을 통해 계승되고 정립된 일체의 학문사상적 성과를 아우르는 것'을 의미한다. 기정진 및 노사학파 문인들의 학문과 사상, 그리고 그들이 펼친 다양한 활동은 한말(韓末) 도학(道學) 영역뿐만 아니라 근현대 한국 유학의 핵심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기정진의 핵심적인 사상은 퇴계(退溪)와 율곡(栗谷) 이후 전개된 조선 유학의 여러 쟁점들에 대한 총결로서 그 의미를 가지며, 기정진 사후 본격화된 노사학파 문인들의 학문과 다양한 활동은 한국 유학이 근현대라는 공간 속에서 어떻게 현실과 만나고 변용되는가를 보여주는 특징적인 사례 중 하나라 이해할 수 있다. 특히 20세기 초반 기호학계 내부에서 '노사학(蘆沙學)'을 중심으로 전개된 여러 논쟁과 그들의 사상적 지향과 결부된 현실 대응은 현재의 한국 유학의 정체성을 해명하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유의하여 노사학(蘆沙學) 연구의 개황을 통해 20세기 초중반부터 구체화된 노사학(蘆沙學) 연구 내용을 사적으로 개괄하고, 노사학(蘆沙學) 연구 성과를 영역별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검토한 후, 이에 기초한 향후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였다.

동무(東武)와 노사(蘆沙)의 사상적(思想的) 연계 가능성에 대한 고찰 -이기(理氣)관계를 중심으로- (A discussion on the philosophical associations between Dongmu (東武) and Nosa (蘆沙): an approach based on the Li-Qi (理-氣) theory)

  • 이준희;고병희;이의주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2-23
    • /
    • 2011
  • 1. Objectives: This study reviews the general theory on Li-Qi (理-氣) found in Dongmu Lee Jema (東武 李濟馬) and Nosa Gi Jeongjin (蘆沙 奇正鎭)'s works and explores the associations between their philosophical systems. 2. Methods: The main ideas on Predisposition (氣稟論) found in Dongmu's works were explored in connection with the Li-Qi (理-氣) theory and compared with the perspectives suggested by Nosa. 3. Results and Conclusions 1) Nosa criticized the "weakened supervision of Li (理)" and the "separation of Li (理) and Qi (氣)", proposing that this problem can be overcome through "mutual embracement of Li and its manifestations (理分圓融 理分相涵)". 2) When Dongmu's theory on Predisposition (氣稟論) is interpreted in terms of Li-Qi (理-氣), the Seong-Li (laws governing the organ scheme) (性理(臟理)) represents the Li (理) while the formational variations in organ scheme(臟局短長) and and the level of self-cultivation (心地淸濁) represents the Qi (氣). 3) The concept of "Diversification of Li (理之異)", bearing similarities to Nosa's Li-Qi (理-氣) theory,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Dongmu's theory on Predisposition (氣稟論), which presumably built the fundamental theories in the Sasang Constitutional Typology. 4) Within Dongmu's theory of Predisposition (氣稟論) can be found a dichotomous division of "similitude between the morally unaccomplished and the morally accomplished" in the ontological plane and "dissimilitude between the morally unaccomplished and the morally accomplished" in the axiological plane; this dichotomy is more extensive and developed compared to Nosa's attempt to find a consistent logic in both the ontological and axiological plane through a Li-Qi (理-氣) structure with Li-predomin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