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urrent Trend and Task for the Nosa Studies: focusing on the researches in Korean Philosophy

노사학(蘆沙學) 연구(硏究)의 현황(現況)과 과제(課題) - 한국 철학계의 연구를 중심으로 -

  • 박학래 (군산대학교 역사철학부)
  • Received : 2018.02.26
  • Accepted : 2018.03.24
  • Published : 2018.03.30

Abstract

This paper has two goals: first, I will analyze the current research trend of studying the Nosa School, which is composed of Ki Jeongjin(1798~1879) and his students and then, provide with some tasks we have to solve. The Nosa Studies, which I suggest here, means the one that the scholarship and thought of Ki Jeongjin, one of the six masters and the representatives of neo- Confucianism in late Choson Korea, and all kinds of academic achievements, which had been succeeded and established by his students. Their diverse activities as well as scholarship play crucial roles in both modern Korean Confucianism and Dao Studies in late Choson Korea. Ki's core thought is a conclusion of various issues, which had been raised since Korean Confucianism of Toegye and Yukgok. Their diverse activities kicked into high gear after Ki's death can be understood as one of remarkable cases, which was how to be transformed by encounters with realities in modern Korea. Especially, some controversies and responses to practical issues that linked with their philosophical values of the Nosa Studies in Kiho school in early twentieth century will be a criterion to shed light on the identity of Korean Confucianism today. Thus, I will summarize the content of researches on the Nosa Studies, which begins to appear in the early-mid twentieth century, through an overview of the Nosa Studies, examine research results by dividing part by part, and provide with some prospects and tasks, which are based on what I mention above.

본고는 조선 성리학 6대가 중 한 사람이자 한말(韓末) 도학(道學)을 대표하는 학자로 평가받고 있는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1798~1879)과 그의 문인들로 구성된 '노사학파(蘆沙學派)'에 관한 연구 현황을 정리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한 것이다. 본고에서 제시한 '노사학(蘆沙學)'은 '기정진의 학문과 사상 및 그의 문인들을 통해 계승되고 정립된 일체의 학문사상적 성과를 아우르는 것'을 의미한다. 기정진 및 노사학파 문인들의 학문과 사상, 그리고 그들이 펼친 다양한 활동은 한말(韓末) 도학(道學) 영역뿐만 아니라 근현대 한국 유학의 핵심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기정진의 핵심적인 사상은 퇴계(退溪)와 율곡(栗谷) 이후 전개된 조선 유학의 여러 쟁점들에 대한 총결로서 그 의미를 가지며, 기정진 사후 본격화된 노사학파 문인들의 학문과 다양한 활동은 한국 유학이 근현대라는 공간 속에서 어떻게 현실과 만나고 변용되는가를 보여주는 특징적인 사례 중 하나라 이해할 수 있다. 특히 20세기 초반 기호학계 내부에서 '노사학(蘆沙學)'을 중심으로 전개된 여러 논쟁과 그들의 사상적 지향과 결부된 현실 대응은 현재의 한국 유학의 정체성을 해명하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유의하여 노사학(蘆沙學) 연구의 개황을 통해 20세기 초중반부터 구체화된 노사학(蘆沙學) 연구 내용을 사적으로 개괄하고, 노사학(蘆沙學) 연구 성과를 영역별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검토한 후, 이에 기초한 향후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