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th-West area of the Korean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38초

제주지역(濟州地域) 도축우(屠畜牛)의 주육포자충(住肉胞子蟲) 감염실태조사(感染實態調査) (Prevalence of Sarcocystis infections in the slaughtered cattle in Cheju)

  • 양재현;강영배;위성환;이승택;김공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07-510
    • /
    • 1990
  • A preliminary survey of Sarcocystis species in the slaughtered cattle in Cheju was undertaken during May through October 1989, using digested diagnostic technique for the heart, the esophagus and the dorsal muscles of the neck specimens digested in 0.5% trypsin solut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overall infection rate of Sarcocystis in a total of 218 slaughtered cattle was as high as 36.7% with the highest frequencies in the esophagus muscles(21. 6%), followed by in the dorsal muscles of the neck(19.1%) and in the heart rnuscles(17.9%). 2. Age difference was noticed as 64.3% in the cattle older than five years in comparison with 41.7%, 34.4%, in the group of two to four years and in the group of younger than two years respectively. 3. It was also noticed that the prevalence in the Brahman cross breed was higher(40.0%) than in any other breeds. 4. Regional distribution of Sarcocystis infections was observed as 75.0% in south-east area, 50.0% 44.7%, 35.0%, 32.0% and 20.6% in the areas of Seogwipo city, north-west, south-west, Cheju city and northeast area respectively. 5. According to the type of rearing the infection rate in the ranch type farm was noticed with and in the stock farms(36.2%).

  • PDF

목포연안지역의 안개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Characteristics of Fog in the Coastal Area of Mokpo)

  • 김도용;이상득;김지영;우종택;오재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7호
    • /
    • pp.623-634
    • /
    • 2006
  •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fog at Mokpo as the west coastal area of Jeonnam were investigated, using statistical analysis of observed fog and meteorological data. Higher frequency of the fog occurrence at Mokpo was showed in spring(32%) and summer(34%) due to the seasonal high atmospheric pressure. Regional characteristics as radiation cooling, advection of fog and water vapor from surrounding sea and Yeongsan lake, and frontal fog had major effect on the coastal fog at Mokpo on the meteorological conditions of north-west/south wind and calm($0{\sim}2m/s$). Also, as the results of analyzing data of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Yeongsan dam, the frequency of annual mean fog days increased 41 %, specially increased 178% in autumn. The increase of fog days mainly resulted from evaporation during colder seasons and from temperature inversion during warmer seasons over the water surface of Yeongsan lake. The construction of Yeongsan dam had a little effect on the meteorological conditions concerning fog occurrence, because Yeongsan dam which only supplies the water for use do not always carry out outlet of the cold water. In addition, the sea fog at Heuksando located in offshore had not effect on the occurrence of fog at Mokpo.

인도네시아 Pasir 탄전에서의 노천채탄장 사면의 안전성해석 (Stability Analysis of Open Pit Slopes in the Pasir Coal Field, Indonesia)

  • 정소걸;선우춘;한공창;신희순;박연준
    • 한국암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암반공학회 2000년도 암반공학문제의 수치해석(Numerical Analysis in Rock Engineering Problems)
    • /
    • pp.183-193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인도네이사 Kalirnantan섬에 위치하는 Pasir탄전의 노천채탄장을 대상으로 기존 지질자료의 분석 및 지질조사, 암반평가, 현지 및 실험실 시험을 통하여 관련 암석들에 대한 물성시험의 수행과 평사투영법과 수치해석에 의한 안정성해석 등을 근거로 채광장내의 전체사면 특히 Roto 북부 및 남북구역의 사면을 적절하게 설계할 수 있는 방안을 재시하고자 하였다. Roto 지역의 주요 불연속면들은 주로 층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층리의 경사는 북쪽의 약 $60^{\circ}$ 에서 남쪽 지역은 $80^{\circ}$ 전후로 남으로 가면서 경사가 급해지며, 많은 사면에서 평면파괴와 전도파괴가 일어나고 있따. Roto 전 지역의 암석물성 시험결과는 이암온 평균 일축압축강도가 9MPa 이고, 사암은 12MPa로 이암보다는 다소 강도가 높다. 현장조사에 의한 암질을 국제암반역학회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면 Roto 북부지역의 암석은 R2~R3 등급에 속할 정도로 대부분 연약하였으며, 석탄층의 강도는 R1~R2 등급에 해당된다. Roto 북부의 4개 지역(동부, 서부,남부 및 북부)과 Roto 남부의 2개 지역(동부 및 서부)의 사면에 대한 상세한 안정성 해석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소 사면안전율을 1.2로 결정하여 평사투영법과 한계평형법의 해석을 통해 계산된 30~60$60^{\circ}$의 사면 경사각에 대하여 다시 유한차준법(FLAC)에 의한 안정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 사면각으로 Roto 북부지역의 동부사면은 $34^{\circ}$, 서부사면은 $33^{\circ}$, 북부사면은 $32^{\circ}$, 그리고 Roto 남부의 최종사면각은 동부 및 남부사면 모두 $36^{\circ}$로 제안하였다. 본 노천채탄장의 최종사면과 같이 장기적인 유지를 필요로 하는 사면은 사면의 변형거동을 감시하기 위해 보다 체계적인 계측을 필요로 하며, 또한 사면이 많은 비에 노출되기 쉽기 때문에 사면의 풍화와 침식에 대한 대책연구도 수행되어야 한다.

  • PDF

설악산국립공원 지역의 노루 서식지 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Habitat-using of Siberian Roe Deer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 박용수;이우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1-109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research about Siberian roe deer (Capreolus pygargus), and to establish a conservation area into Seoraksan(Mt.) National Park, South Korea. We recorded Siberian roe deer field signs (bedding sites, feeding areas, feces and tracks etc), and habitat variables such as nearest distance to the watercourse, trails, slope, aspect, forest type and land cover etc. from Jan. 2006 to Dec. 2007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habitat characteristics of Siberian roe deer inhabited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preferred mixed forest consisted of aged forest and middle-aged forest on the gentle slope which was close to hydrosphere in the middle elevation area of altitude of 400~600m above sea level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The results indicated that Siberian roe deer appeared to prefer south slope or north slope during the snow season and west or east slope during the non-snow season. The area of most suitable habitat for Siberian roe deer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was $128.5km^2$ (32% of the total area) followed by $244.3km^2$ buffer area (62.2% of the total area), and $22.9km^2$ unsuitable habitat area (5.8% of the total area), which means environmentally unsuitable habitat for Siberian roe deer was rare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Thus, the area classified as major area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appeared to be most important for the protection of Siberian roe deer.

Comparing Plant Species Diversity of Mountainous Deserts - Successes and Pitfalls

  • Van Etten, Eddie J.B.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2호
    • /
    • pp.79-86
    • /
    • 2004
  • An extensive study of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Hamersley Ranges, a mountainous desert area of north-west Australia, facilitated the comparison of plant species diversity measures with mountainous deserts of other parts of the world. Alpha diversity was defined as the number of species co-existing at local scales and was found to average 18 species per 0.1 ha for the Hamersley Ranges. This was found to be similar to seven other mountainous deserts in North and South America, and southern Africa. Variation in alpha diversity between these deserts was found to considerably lower than within deserts, suggesting that local processes control species richness at local scales. Beta diversity, defined here as turnover in species composition at various spatial scales, can be measured in many ways. For the Hamersley Ranges, Wilson's β ranged from 1.2 to 1.6 for five sites along a topographic gradient, whereas Whittaker's β between different plant communities was found to average 0.93. Comparable data was not found for other desert areas, but comparisons to non-desert areas suggest beta diversity within landscapes is relatively high and is likely to reflect the considerable landform heterogeneity of the Hamersley Ranges. 55∼70% of species were shared between different landscapes of the Hamersley Ranges; comparisons to other regions suggest beta diversity at this scale is relatively low. Gamma diversity, the number of species over large spatial extents, was successfully compared using regression analysis of the log-log species - area relationship. This revealed that the northern Sonoran desert has significantly less species than the Nama (inland) Karoo and Hamersley Ranges over medium spatial extents, but species numbers were similar at a regional scale. Several constraints to the valid comparison of species diversity were identified, including lack of standardisation of sampling techniques, the wide range of measures employed, general lack of published data, and the influence of the various components of spatial scale on most diversity measures. Recommendations on how to improve future comparative work are provided.

The Construction of Seoul Subway Line 3 and 4

  • Huh, Ginn
    • 기술사
    • /
    • 제18권3호
    • /
    • pp.1-20
    • /
    • 1985
  • The traffic congestion of Seoul city has been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to be settled since the advent of 1970s. As a means to mitigate traffic mess, the authority concerned launched the construction of subway line 3 and 4 in 1980. The two Subway lines slated for completion by 1985 cross each other and run north-south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city fraught with high-rise edifices and large-scale shopping centers, and, in order to reduce blasting vibration, NATM was executed for a distance of 10 Km, instead of ASSM previously employed when subway line 1 and 2 were constructed. Tunnel blastings were implemented, preceded by classifying the rocks at construction area into five categories, namely, hard rock, semi-hard rock, weak rock weathered rock and silt and by calculating their respective specific charges through standard test blastings, by employing the pre-splitting and smooth blasting with drilling patterns of burn cut type, so as not to cause damages to surface structures. Most of explosives used were the slurry of low specific gravity and low velocity, and the firings executed by the use of milli-second detonators. Empiric formula were also formulated to check blasting vibrations, based on the vibration allowable values of West Germany standard, for the application to vulnerable construction zones. Should the two lines be placed for public service in 1985, about 40% of the total traffic population of Seoul city amounting to 15 million as of 1984 is estimated to be carried by subway with no difficulties.

  • PDF

경북 봉화군 남면저수지 일대의 지질특성 및 비탈면 안정성 검토 (Study on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lope Stability of Nammyeon reservoir in Bonghwa County, Kyungpook Province)

  • 임명혁;박진영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7권2호
    • /
    • pp.77-88
    • /
    • 2017
  • 연구지역의 지질은 주로 역암과 사암, 협재한 셰일 및 현무암류로 구성되고, 신생대 말에서 최근기간 동안 여러 번의 취성변형작용과 다양한 응력장을 거치면서 비교적 최근까지 움직임이 확인된 암반으로서 단층작용의 영향을 많이 받아 파쇄가 심한 완만한 지형을 형성한다. 비탈면은 북북동주향의 태곡단층과 서북서 주향의 북곡단층이 교차하는 지역에 위치하며, 그 구성 암반에는 여러 규모의 수많은 단층과 단층대 및 파쇄대가 발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탈면에 대한 지질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대책공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지역 비탈면에 대한 대책공법으로 시공 중 혹은 보강이 완료된 이후에도 주변도로 및 지반에 대한 안전관리를 위하여 각 구조물별 사안에 따라 계측기를 설치하여 주기적인 계측 및 분석이 꾸준히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의 동계한발의 종관기후학적 특성 (Synoptic Climot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nter Droughts in Korea)

  • 양진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29-439
    • /
    • 2005
  • 본 연구는 한국에 있어서 동계한발의 지역적 출현빈도 분포특성과 한발시 해면기압장 및 500hPa면의 종관기후학적 특성을 평년과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 한국의 동계한발의 출현빈도 분포는 월별 지역적 강수변동률의 분포를 반영하여 1 12월은 강수변동률이 높은 한국의 동부가 높고 강수변동률이 낮은 서부가 낮아서 동고 서저유형, 2월은 북고 남저유형을 나타내고 있다. 해면기압 및 500hPa면 고도편차 분포에서 1, 2월의 한발시 한반도 주변 및 시베리아 고기압 지역은 양의 편차, 알류샨 저기압 지역 및 북태평양 서안은 음의 편차를 나타내므로 서고 동저형의 기압배치가 탁월하여 남동쪽으로부터 온난습윤한 공기의 유입이 차단될 때 한발이 출현한다. 따라서 이 때 한반도 주변은 동서풍의 풍속은 강하다. 12월의 한발 시에는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중위도 전역이 양의 편차를 나타내어 남쪽으로부터 온난습윤한 공기의 유입이 적을 뿐만 아니라 저기압 통과의 빈도가 적음을 반영하고 있다.

  • PDF

인도네시아 Pasir 탄전에서의 노천채탄장 사면의 안정성 해석 (Stability Analysis of Open Pit Slopes in the Pasir Coal Field, Indonesia)

  • 정소걸;선우춘;한공창;신희순;박연준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0권3호
    • /
    • pp.430-440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인도네시아 Kalimantan섬에 위치하는 Pasir 탄전의 노천채탄장을 대상으로 기존 지질자료의 분석 및 지질조사, 암반평가, 현지 및 실험실 시험을 통하여 관련 암석들에 대한 물성시험의 수행과 평사투영법과 수치해석에 의한 안정성해석 둥을 근거로 채광장내의 전체사면 특히 Roto 북부 및 남부구역의 사면을 적절하게 설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Roto 지역의 주요 불연속면들은 주로 층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층리의 경사는 북쪽의 약 60$^{\circ}$에서 남쪽 지역은 80$^{\circ}$ 전후로 남으로 가면서 경사가 급해지며, 많은 사면에서 평면파괴와 전도파괴가 일어나고 있다. Roto 전 지역의 암석물성 시험결과는 이암은 평균 일축압축강도가 9MPa 이고, 사암은 12MPa 로 이암보다는 다소 강도가 높다. 현장조사에 의한 암질을 국제암반역학회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면 Roto 북부지역의 암석은 R2~R3 등급에 속할 정도로 대부분 연약하였으며, 석탄층의 강도는 R1~R2 등급에 해당된다. Roto 북부의 4개 지역 (동부, 서부, 남부 및 북부) 과 Roto 남부의 2개 지역(동부 및 서부)의 사면에 대한 상세한 안정성 해석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소 사면안전율을 1.2로 결정하여 평사투영법과 한계평형법의 해석을 통해 계산된 30~36$^{\circ}$의 사면경사각에 대하여 다시 유한차분볍 (FLAC)에 의한 안정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 사면각으로 Roto 북부지역의 동부사면은 34$^{\circ}$, 서부사면은 33$^{\circ}$, 남부사면은 35$^{\circ}$, 북부사면은 32$^{\circ}$, 그리고 Roto 남부의 최종사면각은 동부 및 남부사면 모두 36$^{\circ}$로 제안하였다. 본 노천채탄장의 최종사면과 같이 장기적인 유지를 필요로 하는 사면은 사면의 변형거동을 감시하기 위해 보다 체계적인 계측을 필요로 하며, 또한 사면이 많은 비에 노출되기 쉽기 때문에 사면의 풍화와 침식에 대한 대책연구도 수행되어야 한다.

  • PDF

위성영상의 신경망 분류에 의한 평안남도 온천군 해안지역의 환경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hanges of Coastal Area in Oncheon Gun of Pyeongnam Province by Neural Network Classification Using Satellite Images, West Coast of North Korea)

  • 이민부;김남신;이광률;한욱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78-290
    • /
    • 2005
  • 본 논문은 1988년 Landsat TM 영상과 2002년 ETM 영상의 신경망 분류법을 이용하여 북한 서해안 평남 온천군 해안지역의 지형 및 환경변화, 토지이용의 변화과정을 추정한 것이다. 연구지역 내에서도 변화가 특히 심한 광량만과 서부지역은 해상도 60cm의 Quick Bird 영상을 통해 정밀한 지표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인공신경망 기법은 역전파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보다 높은 분류 등급과 분석 오차의 감소 등 개선된 지표 피복 변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1988년 TM영상과 2002년 ETM 영상의 비교에 의한 측정 변화의 결과를 보면, 1988년 건설 중이던 광량만 방조제가 2002년에는 완성된 상태였다. 그리고 1988년의 간척지는 주로 염전으로 많이 이용되었으나, 2002년에는 염전과 함께 안정화된 간척지, 염전에서 전향된 논농사 지역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두드러진 변화는 간척된 염전이나 방조제 외곽에 새로운 간석지 지형이 형성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북한 해안환경 변화의 database화, 북한의 합리적이고도 생산성 있는 토지이용에 대한 협력방안 강구, 통일 후 국토관리 및 계획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