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th Korean Fish Fauna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Brackish Lakes in Shinpo District North Korea. III. Fish

  • Gil, Joon-Woo;Hong, Young-Pyo;Park, Joon-Ho;Kim, Saywa
    • 한국환경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 /
    • pp.23-23
    • /
    • 2004
  • Four times of field survey were carried out to collect fish samples at six stations in Shinpo district, North Korea in October 1997, July 1998, May and October 2002. Sampling stations were located in upstream, middle and down of the southern river of Bukchong and three brackish lakes of lake Hommanpo, Daein and Hyunkum, respectively. A total of 29 species belonging to 11 families occurred. Family Cyprinidae showed the prosperity in species number of 28% among total species occurred. No natural monument fishes or rare species were captured. Ten commercial fishes, five anadromous ones and five brackish ones were identified. Feeding habits divided fish fauna with 11 carnivores, two herbivores and seven omnivorous ones. In the river, 20 species belonging to seven families inhabited, 18 species of 6 families in lake Homanpo, 21 of seven III Hyunkum and 23 of eight in Daein, respectively. Ecological indices of richness, diversity and evenness were highest in lake Daein and dominance index was highest in lake Hyunkum.

  • PDF

북한 신포지구내 북청 남대천과 기수호의 어류상 (Fish Fuana in Southern River of Bukcheong and Brackish Lakes, the Shinpo District, North Korea)

  • 길준우;홍영표;김세화
    • 환경생물
    • /
    • 제25권3호
    • /
    • pp.279-287
    • /
    • 2007
  • 1997년도 가을 (10월), 1998년도 여름 (1월), 2002년도의 봄 (5월)과 가을 (10월)의 4회에 걸쳐 함경남도 신포특구내 북청 남대천 수계, 현금호, 대인호 및 호만포호에서 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총 11과 29종의 어류가 확인되었으며 이중 잉어과가 약 28%를 차지하였다. 천연기념물 및 희귀어류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상업용도의 어류가 10종, 소하성어류가 5종, 기수역어류가 5종으로 나타났다. 식성에 있어서는 육식성어종이 11종, 초식성어종이 2종, 잡식성어종이 7종이었다. 지점별로는 남대천이 7과 20종, 현금호가 7과 21종, 대인호가 8과 23종, 호만포호가 6과 18종으로 나타났다. 종의 풍부도와 다양도 및 균등도는 대인호가 가장 높았으며 종의 우점도는 현금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산 긴꼬리흰가오리과 (Plesiobatididae) 어류 1미기록종, Plesiobatis daviesi (New Record of the Deepwater Stingray Plesiobatis daviesi from Korea)

  • 김병엽;김맹진;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2-56
    • /
    • 2016
  • 매가오리목, 긴꼬리흰가오리과 (신칭)에 속하는 Plesiobatis daviesi 1개체 (체반장 700 mm)가 2010년 10월 11일 제주도 동북쪽 연안 (해구번호 110)에서 저인망에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5쌍의 아가미 구멍이 있는 점, 꼬리에 1~3개의 가시가 있는 점, 주둥이가 긴 점, 꼬리지느러미가 긴 점, 그리고 코 끝에 커튼 모양의 주름이 있는 점이 특징이다. 그리고 형태적으로 흰가오리와 유사하지만, 흰가오리보다 꼬리지느러미 길이와 주둥이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특징을 갖는다. 이 미기록종의 과명과 속명 그리고 종명은 "긴꼬리흰가오리과", "긴꼬리흰가오리속" 그리고 "긴꼬리흰가오리"로 각각 제안한다.

한국산 색가오리과(Dasyatidae) 어류 1미기록종, Pteroplatytrygon violacea (First Record of the Pelagic Stingray, Pteroplatytrygon violacea (Dasyatidae, Myliobatiformes) from Korea)

  • 김병엽;김맹진;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4-118
    • /
    • 2018
  • 매가오리목, 색가오리과에 속하는 Pteroplatytrygon violacea 1개체(전장 1,058 mm)가 2017년 7월 6일 제주도 북서쪽 연안에서 처음으로 유자망에 의해 채집되었다. 이 종은 넓은 주둥이를 갖는 점, 5쌍의 아가미구멍이 있는 점, 꼬리에 1개의 가시가 있는 점, 꼬리의 배쪽에 있는 피습이 꼬리끝까지 이르지 않는 점, 꼬리의 등쪽에는 피습이 없는 점, 그리고 배의 표면은 전체적으로 어두운 자주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형태적 특징에 따라서 이 종을 P. violacea로 동정하였으며, 표본의 COI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종동정을 확인하였다. 이 미기록종은 배 표면의 체색으로 인해 기존에 붙여진 이름에 따라 종명과 속명을 각각 "보라색가오리"와 "보라색가오리속"으로 제안한다.

비공의 형태적 특징으로 재검토한 한국산 종개속 어류의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the Korean Barbatula Species Reviewed by the Morphological Traits of Nostrils)

  • 안정현;김병직;배양섭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7-125
    • /
    • 2021
  • 우리나라 주요 수계에서 채집된 총 1,366개체의 표본을 이용하여 비공(nostrils)의 상태에 따라서 우리나라 종개속 어류 2종의 분포 양상을 재검토하였다. 비공과 관련된 분류형질은 매우 안정적으로 전비공(anterior nostril)과 후비공 (posterior nostril)이 분리된 상태와 서로 연접된 상태의 두 가지 형질상태가 관찰되었다. 양 비공이 서로 분리된 종개(Barbatula toni)는 강원도 속초 이북의 동해로 유입되는 하천과 남한강 지류인 어곡천 및 경기도 안성천에 분포하는 반면, 양 비공이 서로 연접하는 대륙종개 (B. nuda)는 서·남해로 유입하는 임진강, 한강, 낙동강과 양양남대천에서 경북 울진군의 방율천에 이르는 동해 독립하천에 분포하였다. 특히, 어곡천과 강릉 연곡천의 경우 동일 수계 내에서 종개와 대륙종개가 함께 출현하여 주목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산 종개속 어류의 분류학적 위치 규명 연구뿐 아니라 지역 어류상이나 어류 군집 분석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