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mative mineral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7초

모녀간의 골밀도 : 신체 측정치 및 체조성, 골지표, 영양소 섭취량 및 에너지 소비량과의 관계 (Bone Mineral Density of Korean Mother-daughter Pairs : Relations to Anthropometric Measurement, Body Composition, Bone Markers, Nutrient Intakes and Energy Expenditure)

  • 이희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9호
    • /
    • pp.991-1002
    • /
    • 199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obtain normative data for 45 mother-daughter pairs on spine, femur(neck, ward's triangle, trochanter) and total body BMD (bone mineral density)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anthropometric measurement, body composition, biochemical markers, nutrient intakes and energy expenditure, to determin the interrelations of these factors within each group, to measure familial resemblance for each variable. We observ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height, weight, head, hip and calf circumferences, tricep, femur and calf skinfold thickness, total lean body mass(=weight-total fat body mass-bone mineral content), protein and fat intakes, Ca index, serum total protein and albumin of monter-daughter pairs(p<.05-p<.001). Among mothers, age, osteocalcin, higher, weight, Ca and energy intakes were predictors of BMDs. Among daughters, weight and energy intake were predictors of BMDs. The BMD in lumbar spine(r=.48, p<.01), femoral neck(r=.38, p<.05), ward's triangle(r=.36, p<.05) of the mothe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ose of the daughters, after adjustment for mother's age, hight, weight, osteocalcin, Ca and energy intakes and daughter's weight, energy intake. In regression analyses, mother's BMD also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daughter's BMD in lumbar spine, femoral neck, ward's triangle. Our findings support that mothers with low BMD tended to have daughters with low BMD. In the age groups studied, as well genetic factors as environmental factors may have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BMD. This study suggests that women may successfully enhance their genetically determined BMD through adequate nutrient intakes and weight bearing exercise.

  • PDF

서울 남자 직장인의 건강행위실천별 건강식품 섭취 행동 의도 및 영향 요인 (Health Food Intake and Behavioral Intentions to Take Health Food on Male Workers by Practiced Health Behavior in Seoul)

  • 이승교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43-257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arch the health food intake behavioral intentions of male workers. The health-related behavior of 150 subjects were compared(smoke, alcohol drink, breakfast, BMI, sleep, exercise and health check).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factors health-food intake behavior were evaluated; there were normative beliefs, motivation for compliance, subjective norms, social influence factors, and barriers as perceived behavior control. The results were showed with five points by the Likert scale and Significance by t-test. The most frequently consumed health food was tea(3.40/4points) followed by healthy drinks(2.49/4). As behavioral beliefs, if consumption of 'nutritional supplements'(3.61/5) and 'fatigue recovery'(3.62/5) received the highest scores. As a result, the idea of 'nutritional supplements'(3.94/5) and 'fatigue recovery'(4.06/5) were the important aspects, but others were also positively evaluated. As a sub-factor of subjective norms on normative beliefs, The highest social groups to encourage consumption of health food were parents (3.93/5), and the lowest were doctors (3.02/5). The most influential people were doctors (3.67/5) and spouses (3.65/5). Barriers to consumption health food were side effects (1.09/5) and price (2.08/5). Taking Ginseng products and other processed foods (juice, honey, bamboo, etc.) were correlated with health concern (p<0.05). Taking traditional stamina foods was correlated with dietary habit recognition (p<0.05). Mineral intak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Healthy drinks was negative (p<0.05). Minerals and supplement consumption were correlated with the practice of healthy behavior (p<0.01).

거창화강석 품질기준 설정을 위한 광물조성 분석 (Analyses of Mineral Composition of Geochang Granitic Rocks for Stone Specification)

  • 최진범;좌용주;김건기;황길찬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63-381
    • /
    • 2006
  • 거창화강석의 품질기준 설정을 위한 정확한 광물조성을 구하기 위하여 거창지역 석산을 포함하여 포천, 익산 및 중국에서 수입된 총 39개의 화강석 시료를 대상으로 현미경 육안관찰에 의한 광물모드 분석, X-선 형광분석에 의한 CIPW 노름 계산, 그리고 X-선 회절 데이터를 이용하여 리트벨트법에 의한 광물정량분석을 각각 실시하였다. 거창화강석은 회백색 내지 암색으로 중립질의 반상조직을 가지며, 구성광물은 석영, 사장석, 알칼리장석 및 흑운모가 우세하다 광물조성을 결정하기 위해 3가지 분석방법을 비교한 결과, 노름 계산은 화강암의 광물조성을 제대로 반영한다고 보기 어려우며, 현미경 육안관찰에 의한 모드 분석보다 X-선 회절 데이터를 이용한 리트벨트 정량법이 상대적으로 정확한 광물조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Q-A-P 삼각도에 작도한 결과, 거창화강석은 전형적인 화강섬록암의 광물조성을 보여주며, 포천화강석은 몬조화강암, 익산석은 몬조화강암 내지 화강섬록암, 그리고 중국거창석은 화강섬록암의 조성을 각각 보여준다. 특히 중국거창석과 비교하여 거창화강석이 광물조성으로는 전혀 구별이 되지 않는 유사한 조성을 보여준다.

양산 칼데라에 관련되는 화산암류에서 광물함량 변화의 해석 (Interpretation for Variations in Mineral Contents in Volcanic Rocks Related to the Yangsan Caldera)

  • 황상구;김세현;정성욱
    • 암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66-178
    • /
    • 2008
  • 양산 칼데라에 관련된 화산암류의 반정광물 모드조성과 전암 노옴조성은 마그마챔버 내에서 조성누대된 마그마로부터 유래되었음을 기록하고 있다. 이 화산암류는 $SiO_2$에 대한 반정비율이 전체적으로 직선상의 연속적 조성구배를 나타낸다. 뿐만 아니라 총반정함량에 대한 반정비율이 양산응회암, 화제리층의 응회암과, 고규질 유문반암을 제외한 장석반암 등의 암석단위로 뚜렷하게 구분된다. 그리고 각 암석 단위 내에서 연속적인 직선상 조성구배를 나타내고, Q-Ab-Or 삼각도와 Q-An-(Ab-Or) 삼각도에서도 마찬가지 경향을 보인다. 또한 상부로 가면서 사장석 반정함량과 그 비율이 점진적으로 풍부해지고 석영과 K-장석의 반정함량과 그 비율은 점점 감소하는 함량변화를 나타낸다. 그리고 양산응회암과 화제리층 응회암에서 반정함량과 그 비율이 상부로 가면서 지그재그형의 파동적인 변화를 나타낸다. 이 직선상 조성구배와 점진적인 함량변화는 각각 양산응회암 분출전 뿐만 아니라, 후기 양산 칼데라 함몰전과 함몰후의 마그마챔버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성분이 누대되었음을 암시한다.

영광-김제 지역 화강암류의 암석화학적 연구 (Petrochemistry of Granitoids in the Younggwang-Kimje area, Korea)

  • 박영석;김종균;김진
    • 자원환경지질
    • /
    • 제34권1호
    • /
    • pp.55-70
    • /
    • 2001
  • 영광-김제 지역에는 두 가지 형의 화강암류가 분포한다. 하나는 NE-SW방향의 광주단층계에 연하여 발달된 정읍, 고창엽리상화강암이고, 다른 하나는 광주단층계의 서편으로 발달괸 변형 되지 않은 김제화강암과 영광화강암이다. $SiO_2$의 함량은 영광화강암은 62.8~74.0% 고창엽리상화강암은 64.5~74.4%, 정읍엽리상화강암은 64.5~70.2% 김제화강암은 63.4~72.0% 으로, 이들 화강암류는 중성암과 산성암 영역에 포함된다. 하커의 변화도에서 $SiO_2$의 증가에 따라 $Al_2O_3$, $Fe_2O_3$, MgO, CaO, $TiO_2$, $P_2O_{5}$, MnO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K_2$O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화강암류에서 보이는 정상적인 분화경향을 나타낸다. AFM 삼각도에서 보면 각 화강암류는 칼크 -알칼린계열에 속함을 알 수 있다. 화강암류들을 norm값으로 구분한 Qz-Or-Pl 삼각도와 An-Ab-Or삼각도에 도시해보면, 각각에서 화강섬록암과 화강암의 영역에 도시됨을 알 수 있다. 미량성분은 $SiO_2$의 증가에 따라 Ba, Co, Li, Nb, Zn, Rb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ACF diagram 과 $Na_2O$ vs $K_2O$ 변화도에서 연구지역의 화강암류는 I-type에 속함을 알 수 있다.

  • PDF

월출산지역에 분포하는 중생대 화강암류에 대한 암석화학적 연구 (Petrochemistry of Mesozoic Granites in Wolchulsan Area)

  • 김정빈;윤정한;김정택;박재봉;강상원;김동주
    • 자원환경지질
    • /
    • 제27권4호
    • /
    • pp.375-385
    • /
    • 1994
  • The studied area is composed of Precambrian gneiss complex, middle Jurassic biotite granite, late Cretaceour sediments, volcanics and pink feldspar granite. Characteristic minerals of the biotite granite is plagioclase and hornblende whereas the pink feldspar granite is pink feldspar (perthite) and quartz. Plagioclase compositions of the biotite granite and the pink feldspar granite are oligoclase to calcic andesine ($An_{18-44}$) and sodic albite ($An_{0.5-5.0}$), respectively. In the variation diagrams of the Harker and normative Q-Or-Pl diagram, the biotite granite belongs to the category from granodiorite to granite, the pink feldspar granite from nomal to late granite. The values of D.I. L.I. and alkalinity of the pink feldspar granite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biotite granite. While CaO is enriched in the biotite granite, $K_2O$ is enriched in the pink feldspar granite. The ratio of $K_2O/Na_2O$ which indicates the relative ratio of alkali is 1.06 in the pink feldspar granite, and 0.86 in the biotite granite. In A-M-F and N-C-K diagrams both these granites are plotted in peraluminus granite ($Al_2O_3$>$Na_2O+K_2O+CaO$) region, assigned to calc alkaline series and alkaline series respectively. Put into the form of A-C-F diagram, the biotite granite falls under I-type, and the pink feldspar granite S-type. On the base of whole rock ratios of $Fe^{+3}/Fe^{+2}+Fe^{+3}$ and $^{87}Sr/^{86}Sr$ for the granites in studied area, the biotite granite indicates ilmenite series (0.26) and S-type and/or contaminated I-type ($0.72020{\pm}0.00050$), the pink feldspar granite magnetite series (0.44) and I-type ($0.70826{\pm}0.00020$).

  • PDF

제천(提川) 화강암체(花崗岩體)에 대(對)한 암석학적(岩石學的) 연구(硏究) (Petrological Study on the Jecheon granite mass)

  • 김용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12권3호
    • /
    • pp.115-126
    • /
    • 1979
  • The Jecheon granite mass has turtle-shape exposure of about $190km^2$ at vicinity of Jecheon-eup, and is elongated in the direction of NEE-SWW. It discordantly intrudes the Bakdalryong metamorphic rocks and the great limestone series(Samtaesan and Hungwolri formation) which belong to the pre-Cambrian and Ordovician, respectively. The mass is composed of five facies of different grain size; texture and charecteristic minerals. The five facies are (1) coarse grained biotite granodiorite, (2) fine grained hornblende biotite granodiorite, (3) coarse grained pink feldspar granodiorite (4) leucogranite, and (5) porphyritic biotite granite.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ies is intrusion in (1)-(2) and (2)-(3), but unknown in (3)-(4) and (4)-(5). 22 modal analyses and and 10 chemical analyses on more than a hundred of representative samples taken from the mass are listed as tables. Triangular plot of modal and normative Q-Kf-Pl of this mass show a continuous differentiation products from certain common magma by change of chemical composition and anorthite contents in plagioclase. The metamorphic facies of contact aureole in surrounding rocks adjacent to the granite body are corresponded to hornblende hornfels facies with mineral assemblages of wollastonite-diopside-calcite in calcareous rocks, and of quartz-biotite-muscovite-cordierite in argillaceous rocks. Variation of silica versus oxides of major elements shows that the mass is similar to the trend of Daly's average basalt-andesite-dacite-rhyolite which shows the trend of the fractional crystallization of magma, and is equivalent to the calc-alkali rock series by Peacock. AMF diagram shows that Jecheon granite mass is equivalent to normal diffentiation products such as skaergaard intrusion. The above evidences suggest that the Jecohon granite mass is normal differentiation products formed by fractional crystallization under relatively slow cooling condition.

  • PDF

키르키스스탄 촌아슈 지역 화강섬록암질암 및 사질원 퇴적암의 지화학적 특징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anodiorite and Arenaceous Sedimentary Rocks in Chon-Ashuu Area, Kyrgyzstan)

  • 김수영;지세정;박성원
    • 자원환경지질
    • /
    • 제44권4호
    • /
    • pp.273-288
    • /
    • 2011
  • 연구지역의 조구조 위치는 북부 천산지괴 남단의 이식쿨 미세지각 연변부 봉합선 북부에 위치한다. 지구조적으로는 카지흐 만곡조산대에 속한다. 암층은 알타이드 조산복합대 이전의 대륙지각이나 대륙호 및 화산호에 발달되는 고 지각 (Paleo- continent) 조각들과 지각 퇴적물의 부가복합체(Accretionary complex)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대부분 후기 원생대 및 고생대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아시아 조산대의 마그마 활동은 고 생대 초부터 화강암류가 관입하기 시작하여 고기-테티스 해양(Paleo-Tethys ocean)의 소멸과 함께 시베리아 지괴 (Siberia- Kazakhstan 미세대륙)와 타림-북중국 지괴의 대륙 충돌기(期)인 후기 데본기에서 전기 석탄가까지의 기간 동안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 기간에 키르기즈스탄의 광화작용이 집중적으로 일어났는데 주로 조산운동과 관련된 금광화작용(Orogenic gold deposit)과 섭입작용과 관련된 반암 동광화작용 및 스카론 광화작용이다. 촌아슈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의 암석지화학 특징은 전술한 섭입작용과 관련된 도호(Island arc)나 화산호(Volcanic arc)의 화학적 특정을 갖는 영역에 해당한다. 이들은 대부분 과알루미나(per -aluminous) 내지 메타알루미나(metaluminous) 계열의 암체들로서 동시 혹은 후 충돌 마그마호에서 유래된 특정을 보이고 있다. 촌아슈 광구지역의 지질은 캠브리아기에서 오도뷔스기의 해양 분지에서 형성된 육성 화산퇴적물로 구성된 Sokolot suite, Ashuairyk suite 층과 석회석, 이질암 등으로 구성된 캠브리아기의 Turgenaksuu suite 및 오도뷔스기의 Tashtambektan suite로 형성되었다. Pangea 육괴와 Angarida 대륙 충돌 단계인 중기 고생대에는 내해(內海) 퇴적층인 석탄기의 투룩층군(Turuk Stratum)이 형성되었다. 사암과 이질암은 해양 도호(島弧)나 활동성 대륙 연변부 환경에서 퇴적된 층으로 분류된다. 이 지역의 동 광화대 모암이 되고 있는 관입암체로는 석영섬록암-몬조섬록암-섬록암과 토날라이트-화강섬록암 계열의 암석이 있다. 촌아슈 광구에는 주로 적철석으로 되어 있는 철산화대가 광범위하게 발달하고 있다. 이 철산화대는 타쉬탐백토르스크 섬록암 복합체와 상부 리피안기와 캠브리아기의 변성 및 퇴적암 층군의 NE와 NW의 공액구조나 산포상으로 분포한다. 동 광화작용은 철 광화작용 이후 섬록암의 카리 변질작용과 규화작용 및 탄산염화 작용을 수반하면서 전기 타쉬탐백토르스크 섬록암 복합체 및 상부 리피안기와 캠브리아기의 변성 및 퇴적암 층군에 망상 또는 산포상의 열수 세맥군으로 배태된다.

제주도의 솔리아이트 화산활동 (Tholeitic volcanism in Cheju Island, Korea)

  • 박준범;권성택
    • 암석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6-83
    • /
    • 1996
  • 이 연구는 알칼리 화산도로 특정지워진 제주도의 동부 성읍리, 서부 한림읍 이사돌 그리고 한경면고산리 지구내 해안에 분포하는 수매의 솔리아이트에 대한 암석기재, 광물화학, 주성분 및 미량성분 원소의 화학자료를 보고한다. 이들은 주로 반상조직인 알칼리암류에 비해 세립질이며, 주상 혹은 침상의 사장석 ($An_{61-46}$)과 사방휘석(브론자이트) 및 감람석($Fo_{78-67}$)이 입자간 조직을이룬다. 특징적으로 사방휘석이 반자형의 반정 혹은 미반정으로 산출되고, 두 유형의 단사휘석(피저나이트와 보통 휘석)은 석기 광물로만 산출한다. 이들 솔리아이트는 노옴 석영을 가지며, 주성분 원소의 변화 범위는 좁다(SiO2=51.0-52.5 wt%; Mg#=54-60). 주성분 원소와 전이금속 원소의 변화경향이 알칼리암ㄹ와 두드러진 것은 동일 마그마의 분화로 솔리아이트와 알칼리암의 관계를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편, $K_2O$, Rb, Ba, Nb, La들 간의 비는 솔리아이트와 알칼리암이 유사한 반면, P, Y, Yb 등 석류석과 친화적인 원소와 이 원소들 간의 비는 솔리아이트가 알칼리암보다 크다. 이러한 미량원소 특징은 제주도의 솔리아이트와 알칼리 현무암류는 동질 기원이나 부분용융정도가 다른 모마그마로부터 유래되었음을 시사한다.

  • PDF

고남산(古南山) 함(含)티탄자철광상(磁鐵鑛床)의 모암(母岩)인 알카리반려암질암의 암석화학적(岩石化學的) 연구(硏究) (Petrochemical Study on the Alkaline Gabbroic Host Rocks of Titaniferous Magnetite Deposits in Gonamsan, Yeoncheon-Gun, South Korea)

  • 장호완;염병우;박노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20권2호
    • /
    • pp.85-95
    • /
    • 1987
  • The host rocks of titaniferous magnetite deposits in Gonamsan are alkaline gabbros, which are typical of undersaturated alkaline rocks in terms of the lack of normative quartz. According to field occurrences and petrographic features, these alkaline gabbros are divided into 3 rock types: coarse-grained and pegmatitic rock, medium-grained rock with equigranular texture, and layered cumulate rock. All these rocks mainly contain clinopyroxene(salite), plagioclase(An 43-66), pargasite, and ilmenite. The accessory minerals are apatite, sphene, quartz, and sometimes titaniferous magnetite. Pargasite, sphene, and quartz are considered to be secondary minerals formed by the reaction among clinopyroxene, plagioclase and Fe-Ti oxide at deuteric stage. Fe-Ti oxides generally occur as ilmenite in the alkaline rocks, and titaniferous magnetite in the ore deposits. Layered cumulate rocks are characterized by a recurrence of discontinuous thin mesolayer of clinopyroxene-pargasite within leucolayer mainly composed of plagioclase. Clinopyroxene is cumulus mineral whereas plagioclase, ilmenite and apatite occur as intercumulus minerals. According to the variation diagrams of oxide and trace element contents against the differentiation index, incompatible elements, such as Na, Ba and Sr, show positive correlations whereas compatible elements, such as Mg and Cr, show negative correlations. However some compatible elements, such as Co, Ni and V show irregular variations, reflecting relative cumulate status of cumulus and intercumulus minerals. On the de la Roche multicationic diagram, these alkaline gabbros are distributed along the differentiation curve of undersaturated alkaline series from alkaline basaltic composition through basanitic composition to tephritic composition. Layered cumulate rocks, which are distributed between basanitic composition and tephritic composition, reflect their cumulate character, slightly scattering away from the curve. The medium-grained rock shows higher contents in Ba, Sr and light rare earch elements than the coarse-grained and pegmatitic rock. The former shows two times higher contents of total rare earth elements than the latter, $while(La/Lu)_{cn}$ ratios maintain fairly constant values of 5.08~5.06 in these two rocks. This means that coarse-grained and pegmatitic rock, as compared with the medium-grained rock, was formed by the earlier differentiated magma but rare-earth element distribution pattern remained almost parallel during differentiation. From the data the above mentioned, these alkaline gabbros are considered to be comagmatic and to be formed by intrusions of differentiated magmas in its reservoi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