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mal Predictive Values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2초

우리 나라 노인의 영양부족위험 진단을 위해 개발된 간이조사표의 타당성 평가 (Evaluation of the Validity of a Simple Screening Test Developed for Identifying Korean Elderly at Risk of Undernutrition)

  • 이정원;김경은;김기남;현태선;현화진;박영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3권8호
    • /
    • pp.864-872
    • /
    • 2000
  • This study intend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simple nutrition screening test that had been developed with the elderly living in Cheongju as a subject. Nutrition screening score(NSS) and reference standards for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nutrient intakes, mean adequacy ratio, perceive health, and serum albumin, hematocrit, and hemoglobin) were estimated by using the date obtained in 1996 from the 174 elderly living in Taejon, Statistical analysi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ean adequacy ratio(MAR) and NSS(r=0.341) and also between NSS and biological indices such as albumin and hematocrit, Around 65-75% of the elderly with perceive health and low level of serum albumin, hemoglobin and hematocrit had NSS$\leq$ll. Sensitivity, specificity,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s(PPV) were calculated from the crosstabulation of the three categories of NSS(high, moderate, and low nutritional risk) and low categories MAR(< 0.75, undernutrition;$\geq$0.75, normal) to validate the cut-off point for high or low nutritional risk by NSS. It was suggested that point l1 was appropriate as a criterion to determine high risk of undernutrition, but point 16 was better than 17 as criterion to determine low nutritional risk in the Taejon elderly. When point ll was used as a criterion of high nutritional risk, sensitivity, specificity, and PPV are 59.5, 60.5 and 82.1 respectively. When point 16 was used as a criterion of low nutritional risk, sensitivity, specificity, and PPV are 25.6, 95.4, and 64.7%, respectively. In conclusion, nutrition screening test that had been developed can be a simple, easy, and proper instrument to classify the high risk group of undernutrition. A further validation study seems to be required among other groups of individuals for the screening test to the finalized as a more valid instrument identifying Korean elderly at nutrition and health risk(Korean J Nutrition 33(8) : 864-872, 2000)

  • PDF

한방병원에 입원한 환자군에서 간기능 검사 이상자의 빈도 조사 (Incidence of Liver Function Test Abnormality among Patients Hospitalized in an Oriental Hospital)

  • 한창우;김수영;민관식;이진혁;이상호;윤유석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09-113
    • /
    • 2010
  • Objectives: Liver function tests are used as screening tests for liver injuries, but their inaccuracy on positive predictive values can result in numerous false positive results.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of liver function test abnormalities of patients who came to an oriental medicine hospital, in order to present a practical way to rule out false positive results for other studie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afety of Korean herb medicine. Methods: We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and liver function test results proceeded at admission of all in-patients admitted to Jaseng Oriental Medicine Hospital, from July 2008 to June 2009. Results: Among 1,117 inpatients, 941 executed liver function tests on admission, and 40 were excluded due to their diagnosed liver disease. 747 (82.9%) of 901 enrolled patient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of all liver function tests, and 140 (15.5%) and 14 (1.6%) were classified as "abnormalities of liver tests" and "liver injury"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CIOMS (Council f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f Medical Sciences) criteria.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among the outcomes of liver function tests proceeded among the patients admitted to the oriental medicine hospital, excluding who were diagnosed with liver disease, 17.1% showed abnormality. This means simple liver function test results are not sufficient in determining liver toxicity of Korean herb medicine (KHM).

TT Mutant Homozygote of Kruppel-like Factor 5 Is a Key Factor for Increasing Basal Metabolic Rate and Resting Metabolic Rate in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Choi, Jung Ran;Kwon, In-Su;Kwon, Dae Young;Kim, Myung-Sunny;Lee, Myoungsook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1권4호
    • /
    • pp.263-271
    • /
    • 2013
  • We investigated the contribution of genetic variations of KLF5 to basal metabolic rate (BMR) and resting metabolic rate (RMR) and the inhibition of obesity in Korean children. A variation of KLF5 (rs3782933) was genotyped in 62 Korean children.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 developed a model to predict BMR in children. We divided them into several groups; normal versus overweight by body mass index (BMI) and low BMR versus high BMR by BM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s of alleles and genotypes between each group. The genetic variation of KLF5 gen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veral clinical factors, such as BMR, muscle,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insulin. Children with the TT had significantly higher BMR than those with CC (p=0.030). The highest muscle was observed in the children with TT compared with CC (p=0.032). The insulin and C-peptide values were higher in children with TT than those with CC (p=0.029 vs. p=0.004, respectively). In linear regression analysis, BMI and muscle mass were correlated with BMR, whereas insulin and C-peptide were not associated with BMR. In the high-BMR group, we observed that higher muscle, fat mass, and C-peptide affect the increase of BMR in children with TT (p < 0.001, p < 0.001, and p=0.018, respectively), while Rohrer's index could explain the usual decrease in BMR (adjust $r^2$=1.000, p < 0.001, respectively). We identified a novel association between TT of KLF5 rs3782933 and BMR in Korean children. We could make better use of the variation within KLF5 in a future clinical intervention study of obesity.

3개월 미만 요로감염 영아에서 중증 방광 요관 역류의 예측인자 (Prediction of High Grade Vesicoureteral Reflux in Infants Less than 3 Months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 이대용;김나연;조희연;김지은;심소연;손동우;전인상;차한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2권2호
    • /
    • pp.178-185
    • /
    • 2008
  • 목 적 : 최근 I, II 등급 방광 요관 역류의 임상적 중요성이 적어지면서 요로감염 영아 모두에게 침습적인 VCUG를 시행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어 있다. 요로감염이 있는 3개월 미만의 영아를 대상으로 III 등급 이상의 중증 방광 요관 역류에 대한 예측인자를 알아보고 VCUG의 시행 여부에 대한 임상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9월까지 가천의과대학교 병원에 입원해서 요로감염으로 치료받은 3개월 미만의 환아 중 초음파 검사와 VCUG를 시행받은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후향적인 의무기록의 검토를 통하여 I 군(III-V 등급의 방광 요관 역류)과 II 군 (정상 혹은 I, II 등급의 방광 요관 역류) 간의 임상적 지표와 영상 검사 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초음파의 민감도와 특이도 및 양성예측도와 음성예측도, 그리고 위험도와 우도비를 구하여 중증 방광 요관 역류에 대한 진단적 가치를 알아보았다. 결 과: 총 54명(남아 41명, 여아 13명) 의 대상아 중에서 I군이 14명, II군이 40명이였다. I 군에서 CRP가 높았고(6.11$\pm$5.18와 3.27$\pm$3.45, P=0.025) 비정상적인 초음파 소견이 많았지만(71.4%와 22.5%, P=0.002) 관련 인자를 보정한 후에는 초음파만이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P=0.002). 원인균, 균혈증 및 DMSA 이상소견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중증 방광 요관 역류에 대한 초음파의 민감도는 71.4%(41.9-91.4), 특이도는 77.5%(61.5-89.1), 위험도는 6.9(1.58-30.41)이었고 음성예측도는 88.6%(73.2-96.7), 음성우도비는 0.37(0.16-0.86)을 나타내었으나($\alpha$=0.05, 검정력 94%) III 등급의 방광 요관 역류4명은(28.6%)은 정상적인 초음파 소견을 보였다. 결 론 : 3개월 미만의 요로감염이 있는 영아에서 중증 방광 요관 역류 에 대해 VCUG를 대체할만한 예측인자를 규명하지 못했다. 따라서 모든 요로감염 영아(3개월 미만)에서 VCUG의 시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생애 첫 발열성 요로 감염 환아에 대한 평가에서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을 대체하기 위한 검사로서 $^{99m}technetium$ dimercaptosuccinic acid(DMSA) scan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99m}Technetium$ Dimercaptosuccinic Acid(DMSA) Scan as a Substitute for Voiding Cystourethrography(VCUG) in Evaluating Children with first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 한승범;고용민;이수영;정대철;강진한;이경연;엄미령;김웅흠;김정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1권2호
    • /
    • pp.220-228
    • /
    • 2007
  • 목 적: 환아의 임상 양상과 검사실 소견 및 DMSA scan 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방광 요관 역류에 대한 예측성을 연구하였다. 방 법 : 생애 첫 요로 감염이 진단되어 입원 치료를 받았던 환아 중, 요로 감염 급성기에 DMSA scan 및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을 모두 시행한 84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환아들은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 결과에 따라 역류가 없는 집단, 경증 역류가 있는 집단(grade I-II), 중증 역류가 있는 집단(grade III-V)으로 분류되었고, 환아의 성별, 나이, 발열 기간, 혈중백혈구 수치, 혈장 CRP수치, 원인 균주 및 DMSA scan 결과와 방광 요관 역류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84명의 환아 중, 6명은 경증, 17명은 중증 역류를 보였다. DMSA scan 결과 급성 신장손상 소견은 38명에서 관찰되었다. 방광 요관 역류를 갖는 환아는 역류가 없는 환아에 비해 유의하게 나이가 많은 결과를 보였다(P<0.01). 요로감염 원인균주로서의 E. coli 감염의 빈도는 중증역류 환아에서 나머지 두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1). DMSA scan에서의 급성 신장손상 소견은 역류 현상 및 역류의 중증도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P<0.05). DMSA scan에서 정상 소견을 보였던 환아 중 10.9%는 중증의 방광요관 역류를 보였다. 방광 요관 역류를 진단하는데 있어서 DMSA scan은 민감도 69.6%, 특이도 63.9%, 양성예측도 42.1%, 음성예측도 84.8%의 결과를 보였다. 결 론 : 방광 요관 역류 및 그 중증도는 DMSA scan에서의 급성 신장 손상 소견과 연관성이 있으나 낮은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도를 볼 때, 급성기 DMSA scan에서 이상 소견을 보인 환아에서는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을 시행하여 방광 요관 역류의 정도를 진단하여야 하며, DMSA scan에서 이상 소견이 없더라도 10.9%에서 중증의 방광 요관 역류가 동반되므로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을 시행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디피리다몰 부하 심근관류 SPECT의 장기예후 예측능 (Long-term Prognostic Value of Dipyridamole Stress Myocardial SPECT)

  • 이동수;천기정;장명진;강원준;정준기;이명묵;이명철;강위창;이영조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9-54
    • /
    • 2000
  • 목적: 디피리다몰 부하 심근 관류 SPECT 를 관동맥질환 환자의 예후 예측에 이용하여 장기간 추적하였을 때 정상 심근 SPECT 소견의 비례위험도가 달라지는지를 조사하여 정상 SPECT로 언제까지 예후가 양호하다고 예측할 수 있는지 보았다. 대상 및 방법: 관동맥질환이 의심되어 심근 관류 SPECT를 시행한 환자 1,169명을 대상으로 심장원인 사망이나 심근 경색이 발생한 중한 사건과 관동맥우회로술이나 관동맥성형술을 시행한 경한 사건을 합한 전체 심장사건의 발생률과 예측성능을 분석하였다. 비례위험도의 시간의존성을 분석하는 통계적 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추적기간에 따른 예측도 차이를 조사하였다. 결과: 다변량 Cox 비례위험도 모델에서 전체 심장 사건을 예측하는데 심근 관류 SPECT의 가역성관류 감소가 독립적인 예후 예측 성능을 보였으며 관동맥조영술 소견에 더하여 부가효용을 나타냈다. 심근 SPECT의 가역성관류감소는 중한 사건을 예측하는 독립적 예측성능을 보였으나 관동맥조영술에 더하여 부가효용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SPECT 소견의 비례위험도는 추적기간이 경과하면서 증가하였다. 전체 심장사건을 예측하는 비례위험도가 심근 SPECT 정상군에서 추적기간 말기에 유의하게 달라졌으며(p<0.001) 정상심근 SPECT의 위험률의 변이점은 4.4년이었다. 결론: 심근 SPECT에 나타난 가역성 관류 감소는 전체심장 사건을 예측하는 독립적이고 부가적인 성능을 보였다. 심근 관류 SPECT에서 정상일 때 장기추적 중 4.4년 후에는 예후 예측 위험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 PDF

공복혈당장애의 기준 하한치에 관한 코호트연구 - 일개병원 종합건강자료를 중심으로 - (What will be the Proper Criteria for Impaired Fasting Glucose for Korean Men? - Based on Medical Screening Data from a General Hospital -)

  • 류승호;김동일;서병성;김원술;장유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8권2호
    • /
    • pp.203-207
    • /
    • 2005
  • Objectives: Recently,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 redefined the criteria of prediabetes, which has lowered the diagnostic level of fasting plasma glucose (FPG) from 110 to 125 mg/dl, down to levels between 100 to 125mg/d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dictive cutoff level of FPG as a risk for the development of diabetes mellitus in Korean men. Method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conducted on 11,423 (64.5%) out of 17,696 males $\leq$30 years of age, and who met the FPG of $\leq$125 mg/dl and hemoglobin A1c of $\leq$ 6.4% criteria, without a history of diabetes, and who were enrolled at the screening center of a certain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1999. The subjects were followed from January 1999 to December 2002 (mean follow-up duration; 2.3(${\pm}0.7$) years). They were classified as normal (FPG <100mg/dl), high glucose (FPG $\geq$100mg/dl and <110mg/dl)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FPG $\geq$110mg/dl and $\leq$125mg/dl) on the basis of their fasting plasma glucose level measured in 1999. We compared the incidence of diabetes between the 3 groups by performing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and used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es of the FPG level, in order to estimate the optimal cut-off values as predictors of incident diabetes. Results: At the baseline, most of the study subjects were in age in their 30s to 40s (mean age, 41.8(${\pm}7.1$) year). The incidence of diabetes mellitus in this study was 1.19 per 1,000 person-years (95% CI=0.68-1.79), which was much lower than the results of a community-based study that was 5.01 per 1,000 person-years. The relative risks of incident diabetes in the high glucose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groups, compared with the normal glucose group, were 10.3 (95% CI=2.58-41.2) and 95.2 (95% CI= 29.3-309.1), respectively. After adjustment for age, body mass index, and log triglyceride, a FPG greater than 100mg/dl remained significant predictors of incident diabetes. Using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the optimal cutoff level of FPG as a predictor of incident diabetes was 97.5 mg/dl, with a sensitivity and a specificity of 81.0% and 86.0%, respectivel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wering the criteria of impaired fasting glucose is needed in Korean male adults. Future studies on community-based populations, including women, will be required to determine the optimal cutoff level of FPG as a predictor of incident diabetes.

제한성 환기장애의 진단에서 폐활량검사의 정확성 (Accuracy of Spirometry at Predicting Restrictive Pulmonary Impairment)

  • 안영미;고원중;김철홍;임성용;안창혁;서지영;정만표;김호중;권오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4권3호
    • /
    • pp.330-337
    • /
    • 2003
  • 연구배경 : 폐활량검사에서 노력성 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이 감소되었을 때 제한성 환기장애가 있다고 일반적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제한성 환기장애 판정의 정확한 기준은 총폐용량(total lung capacity, TLC)의 감소이다. 본 연구는 폐활량검사 결과에서 FVC가 감소되었을 때 TLC가 감소된 제한성 환기장애를 얼마나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9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2년간 폐기능검사실에서 폐활량검사와 폐용적검사를 동일한 날 시행한 성인 환자 1,371명의 폐기능검사 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FVC, $FEV_1$, TLC는 측정값이 정상 예측값의 80% 미만일 때 감소하였다고 판정하였고, 1초간 노력호기폐활량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비($FEV_1$/FVC%)는 측정값이 70% 미만일 때 감소하였다고 판정하였다. 결 과 : 1,371례 중 FVC가 감소한 환자는 353례였으며 이 중 TLC가 감소된 경우는 186례로 양성예측률은 52.7%이었다. FVC가 정상인 1,018례 중 TLC가 감소한 경우는 45례로 음성예측률은 96.6%이었다. 폐활량검사에서 제한성 환기장애($FEV_1$/FVC 정상, FVC 감소)를 보인 196례 중 TLC가 감소된 경우는 148례로 양성예측률은 75.5%이었다. 폐활량검사에서 혼합성 환기장애($FEV_1$/FVC 감소, FVC 감소)를 보인 157례 중 TLC가 감소된 경우는 38례로 양성예측률은 24.2%이었다. 혼합성 환기장애를 보인 196례 중 FVC와 $FEV_1$의 예측값에 대한 비율이 15% 미만의 차이를 보인 60례에서 TLC의 감소를 보인 경우는 34례(56.7%)였다. 결 론 : 제한성 환기장애를 배제하는 데는 폐활량검사가 유용하다. 하지만 폐활량검사에서 FVC가 감소된 환자에서 제한성 환기장애의 유무는 TLC의 측정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과배란유도 시 혈중 AMH와 난소 반응성과의 상관관계; 예측 인자로서의 효용성 (Correlation of Basal AMH & Ovarian Response in IVF Cycles; Predictive Value of AMH)

  • 안영선;김진영;조연진;김민지;김혜옥;박찬우;송인옥;궁미경;강인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5권4호
    • /
    • pp.309-317
    • /
    • 2008
  • 목 적: 체외수정을 위한 과배란유도 시 난소 반응성의 예측 인자로서 항뮬러리안 호르몬 (AMH)의 효용성을 FSH와 비교하여 알아보고, 체외수정 결과와의 관계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7년 1월부터 2007년 8월까지 단기 요법이나 GnRH antagonist 요법을 이용하여 체외수정을 시행하는 111명을 대상으로, 생리주기 3일째 혈중 AMH 및 FSH를 전향적으로 측정하였다. 과배란유도 후 채취된 난자 개수와 AMH 또는 FSH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채취된 난자 수 및 AMH 수치에 따라 과배란유도 결과와 체외수정 결과를 비교하였다. 저반응군 및 과반응군의 예측을 위한 AMH의 임계치를 알아보기 위해 ROC curve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AMH는 채취된 성숙 난자 수와 밀접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r=0.792, p<0.001), FSH (r=-0.477, p<0.001) 보다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난소 반응성에 따라 저반응군 (성숙난자수 ${\leq}2$), 정상반응군 ($3{\sim}16$), 과반응군 (${\geq}17$)으로 나누어 AMH와 FSH 수치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저반응군 (채취된 성숙 난자 수${\leq}2$) 및 과반응군 (채취된 성숙 난자 수${\geq}17$)을 예측하는데 ROC curve 상 AMH의 임계치는 각각 <0.50 ng/ml (sensitivity 88.9%, specificity 89.5%), 및 ${\geq}2.60\;ng/ml$ ((sensitivity 85.7%, specificity 87.0%)였다. AMH level에 따라 low AMH group (${\leq}0.60\;ng/ml$), normal AMH group ($0.60{\sim}2.60\;ng/ml$), high AMH group으로 구분하여, 각 군간 채취된 성숙 난자 수와 ($2.7{\pm}2.2$, $8.1{\pm}4.8$, $16.5{\pm}5.7$, p<0.001), 투여된 성선자극호르몬제의 용량에 ($3530.5{\pm}1251.0$, $2957.1{\pm}1057.6$, $2219.2{\pm}751.9\;IU$, p<0.001)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숙 난자의 비율과 수정율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임신율도 23.8%, 34.0%, 37.5%로 각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혈중 기저 AMH는 과배란유도 시 채취되는 성숙 난자 수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어 난소 반응성의 예측 인자로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AMH 수치에 따라 체외수정 결과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저반응군 및 과반응군의 예측에 유용하여 체외수정 시 주기의 취소나, 환자별 적정 용량의 결정 및 난소과자극 증후군의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Mini-Array of Multiple Tumor-associated Antigens (TAAs) in the Immunodiagnosis of Esophageal Cancer

  • Qin, Jie-Jie;Wang, Xiao-Rui;Wang, Peng;Ren, Peng-Fei;Shi, Jian-Xiang;Zhang, Hong-Fei;Xia, Jun-Fen;Wang, Kai-Juan;Song, Chun-Hua;Dai, Li-Ping;Zhang, Jian-Y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6호
    • /
    • pp.2635-2640
    • /
    • 2014
  • Sera of cancer patients may contain antibodies that react with a unique group of autologous cellular antigens called tumor-associated antigens (TAAs).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a mini-array of multiple TAAs would enhance antibody detection and be a useful approach in esophageal cancer detection and diagnosis. Our mini-array of multiple TAAs consisted of eleven antigens, p53, pl6, Impl, CyclinB1, C-myc, RalA, p62, Survivin, Koc, CyclinD1 and CyclinE full-length recombinant proteins.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ELISA) were used to detect autoantibodies against eleven selected TAAs in 174 sera from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as well as 242 sera from normal individuals. In addition, positive results of ELISA were confirmed by Western blotting. In a parallel screening trial, with the successive addition of antigen to a final total of eleven TAAs, there was a stepwise increase in positive antibody reactions. The eleven TAAs were the best parallel combination, an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in diagnosing esophageal cancer was 75.3% and 81.0%, respectively. The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were 74.0% and 82.0%,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parallel assay of eleven TAAs raised the diagnostic precision significantly. In addition, the levels of antibodies to seven antigens, comprising p53, Impl, C-myc, RalA, p62, Survivin, and CyclinD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various stages of esophageal cancer, which showed that autoantibodies may b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and progression of esophageal cancer. All in all, this study further supports our previous hypothesis that a combination of antibodies might acquire higher sensitivity for the diagnosis of certain types of cancer. A customized mini-array of multiple carefully-selected TAAs is able to enhance autoantibody detection in the immunodiagnosis of esophageal cancer and autoantibodies to TAAs might be reference indicators of clinical s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