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ignificance of $^{99m}Technetium$ Dimercaptosuccinic Acid(DMSA) Scan as a Substitute for Voiding Cystourethrography(VCUG) in Evaluating Children with first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생애 첫 발열성 요로 감염 환아에 대한 평가에서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을 대체하기 위한 검사로서 $^{99m}technetium$ dimercaptosuccinic acid(DMSA) scan의 의의

  • Han, Seung-Beom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o, Yong-Mi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Sue-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Jeong, Dae-Chul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ang, Jin-Ha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Kyung-Yeon (Department of pediatrics, Cheongju St. Marys Hospital) ;
  • Uhm, Mee-Ry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heongju St. Marys Hospital) ;
  • Kim, Woong-Heum (Department of pediatrics, Cheongju St. Marys Hospital) ;
  • Kim, Jung-Sue (Department of pediatrics, Cheongju St. Marys Hospital)
  • 한승범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고용민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수영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정대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강진한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경연 (청주성모병원 소아과학교실) ;
  • 엄미령 (청주성모병원 소아과학교실) ;
  • 김웅흠 (청주성모병원 소아과학교실) ;
  • 김정수 (청주성모병원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2007.10.31

Abstract

Purpose : We studied the value of clinical signs, laboratory findings and $^{99m}technetium$ dime-rcaptosuccinic acid(DMSA) scan in predicting the presence of vesicoureteral reflux(VUR) in children with first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UTI). Methods : A retrospective analysis of 84 hospitalized children with first febrile UTI was performed. They underwent DMSA scan and voiding cystourethrography(VCUG) during the acute phase, and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VCUG: absence of VUR, mild(grade I-II) and severe VUR(grade III-V). We studied the relation of VUR to age, gender, fever duration, causative organism, white blood cell count, serum C-reactive protein and result of DMSA scan. Results : Among 84 patients, 6 had mild and 17 had severe VUR. Thirty-eight had abnormal DMSA scan. results Patients with VUR were older than those without VUR(P<0.01). There was a lower probability of infection with Escherichia coli in patients with severe VUR than in those with mild and absent VUR(P<0.01). An abnormal DMSA scan correlated with the presence and severity of VUR(P<0.05). Severe VUR was present in 10.9% of patients with normal DMSA scan.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of the DMSA scan in predicting the presence of VUR were 69.6%, 63.9%, 42.1%, and 84.8%, respectively. Conclusion : An abnormal DMSA scan correlated to the presence and severity of VUR, but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the DMSA scan were low. There-fore, patient with an abnormal DMSA scan requires a VCUG. In order to prevent missing the 10.9% of patients with severe VUR but normal DMSA scans, a VCUG should be performed in patient with normal DMSA scan.

목 적: 환아의 임상 양상과 검사실 소견 및 DMSA scan 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방광 요관 역류에 대한 예측성을 연구하였다. 방 법 : 생애 첫 요로 감염이 진단되어 입원 치료를 받았던 환아 중, 요로 감염 급성기에 DMSA scan 및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을 모두 시행한 84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환아들은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 결과에 따라 역류가 없는 집단, 경증 역류가 있는 집단(grade I-II), 중증 역류가 있는 집단(grade III-V)으로 분류되었고, 환아의 성별, 나이, 발열 기간, 혈중백혈구 수치, 혈장 CRP수치, 원인 균주 및 DMSA scan 결과와 방광 요관 역류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84명의 환아 중, 6명은 경증, 17명은 중증 역류를 보였다. DMSA scan 결과 급성 신장손상 소견은 38명에서 관찰되었다. 방광 요관 역류를 갖는 환아는 역류가 없는 환아에 비해 유의하게 나이가 많은 결과를 보였다(P<0.01). 요로감염 원인균주로서의 E. coli 감염의 빈도는 중증역류 환아에서 나머지 두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1). DMSA scan에서의 급성 신장손상 소견은 역류 현상 및 역류의 중증도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P<0.05). DMSA scan에서 정상 소견을 보였던 환아 중 10.9%는 중증의 방광요관 역류를 보였다. 방광 요관 역류를 진단하는데 있어서 DMSA scan은 민감도 69.6%, 특이도 63.9%, 양성예측도 42.1%, 음성예측도 84.8%의 결과를 보였다. 결 론 : 방광 요관 역류 및 그 중증도는 DMSA scan에서의 급성 신장 손상 소견과 연관성이 있으나 낮은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도를 볼 때, 급성기 DMSA scan에서 이상 소견을 보인 환아에서는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을 시행하여 방광 요관 역류의 정도를 진단하여야 하며, DMSA scan에서 이상 소견이 없더라도 10.9%에서 중증의 방광 요관 역류가 동반되므로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을 시행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