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mal Maize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9초

SSR 분자마커를 이용한 찰옥수수 및 종실용 옥수수 자식계통들의 핵심집단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 및 집단구조 분석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for Core Set of Waxy and Normal Maize Inbred Lines using SSR Markers)

  • 사규진;김진아;박기진;박종열;고병대;이주경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430-441
    • /
    • 2011
  • 본 연구는 총 50개의 SSR 마커를 이용하여, 찰옥수수 및 종실용 옥수수 핵심집단(찰옥수수 40계통, 종실용 옥수수 40계통)의 자식계통들의 유전적 다양성, 집단구조 및 계통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1. 그 결과 65bp에서 225bp 크기의 범위로 총 242개의 대립단편들을 증폭시켰다. SSR primer들에서 증폭된 대립단편의 수는 최소 2개에서부터 최대 9개까지의 범위로 나타났고, 평균 4.84개가 증폭되었다. 그리고 GD값은 0.420에서 0.854의 범위로 나타났고, 평균 0.654의 값을 나타내었다. 2. 80개의 옥수수 자식계통들의 집단구조를 분석한 결과, 13개의 찰옥수수 자식계통은 group I에 포함되었고, Group II는 7개의 찰옥수수 자식계통과 38개의 종실용 옥수수 자식계통들이 포함되었다. 나머지 22개의 자식계통들은 admixed group에 포함되었으며, 20개 찰옥수수 자식계통과 2개의 종실용 옥수수 자식계통으로 구성되어있다. 3. UPGMA법에 의한 계통유연관계 분석 결과, 80개 옥수수 자식계통들은 유전적 유사성 31.7% 수준에서 크게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Group I은 40개의 찰옥수수 자식계통과 11개의 종실용 옥수수 자식계통을 포함하고 있었고, Group II는 27개의 종실용 옥수수 자식계통을, 그리고 Group III은 단지 2개의 종실용 옥수수 자식계통을 포함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강원도 농업기술원 옥수수시험장에서 육성한 찰옥수수 및 종실용 옥수수 자식계통들에 대한 유전자원 관리 및 선발 그리고 교배조합 구성 및 예측 등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Properties of High Amylose Maize Varieties for Use in Alkaline-Cooked Foods

  • Lee, Jae-Kw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2호
    • /
    • pp.179-184
    • /
    • 2003
  • The use of high amylose maize varieties significantly affected the alkaline-cooking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alkaline-processed food products, such as masa and tortilla chips. High amylose maize varieties had softer endosperm textures with move tightly attached pericarps than normal maize. Masa prepared from high amylose mutant maize was less cohesive than that of normal maize due to insufficient dispersion of amylopectin and excessive retrogradation of starches. Tortilla chips prepared from amylose-extender dull (ae du), amylomaize V, and Ⅶ had slightly increased oil absorption, while tortilla chips from dull (du) and amylose-extender sugary-2 (ae su-2) had oil contents similar to that of control chips. Increased oil absorption of the tortilla chips was due to their increased surface area. Tortilla chips produced from high amylose mutant maize had darker color than control chips, presumably due to the pigmented pericarp tissues, higher levels of reducing sugars, and phenolic compounds present in the kernel.

국내 옥수수 품종에 따른 기능성 성분의 자연 변이 분석 (Natural variation of functional components between Korean maize types)

  • 정정원;김명지;;김은하;박수윤;오태영;고영삼;김문종;이상구;오선우;박현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484-491
    • /
    • 2023
  • 옥수수는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소비되는 3대 식량작물로, 영양성분은 대부분은 전분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다량의 기능성 성분도 포함되어 있다. 옥수수는 형태적으로 찰옥수수, 단옥수수, 종실옥수수로 나뉘는데, 각 품종마다 쓰임이 다르기 때문에, 영양성분에서도 차이가 나타난다. 본 연구는 옥수수의 기능성 성분 함량을 분석하고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자연변이 데이터를 생산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국내 3개지역(수원, 대구, 홍천)에서 재배한 옥수수 3가지 형태의(찰옥수수, 단옥수수, 종실옥수수) 시료를 수집하고, HPLC 및 GC-TOF-MS를 이용하여 성분을 분석하였다. ANOVA 및 다변량 통계분석, Pearson 상관분석을 통해, 형태별 그룹으로 비교하였을 때, 총 32개의 성분 항목 중 28개의 성분 항목이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며(p<0.05), 지역별 그룹으로 비교한 결과, 15개의 성분이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다변량 분석결과, 지역별보다 형태별로 군집 구분이 뚜렷하게 형성되었는데, 형태별 군집 형성 주요하게 기여한 성분은 α-carotene, lutein과 δ-tocopherol이었다. 본 연구에 따르면, 옥수수 기능성 성분은 환경적 요인보다 유전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자연변이 데이터는 옥수수 기능성 소재 연구분야 및 생명공학작물의 식품학적 안전성 평가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다수다얼성 옥수수의 동위효소 특성 (Isozymic Characteristics of Multiple-Ear and Tiller Maize Lines)

  • 이희봉;최봉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23
    • /
    • 1987
  • 다수다얼성 옥수수의 동위효소 특성을 구명하고 자얼성성 품종을 비교하여 생육단계에 따라 여러 조직을 6% polyaclamide gel을 사용 peroxidase와 esterase 동위효소 패턴을 관찰하였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숙한 옥수수의 엽, 간, 업소. 근 및 미숙종자의 조직에서 독특한 peroxidase의 동위효소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2. 암조건에서 7일간 자란 다수다얼성 계통의 중심주와 초엽조직은 peroxidase 도위효소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효과적이었다. 3. Esterase의 동위효소에 대한 활성은 양친의 경위가 그들의 교잡종보다. 밴드수나 활성이 높았다. 4. Esterase에 대한 밴드는 암조건인 7 일 유묘상태의 중심주, 초엽, 미숙종자에서 뚜렸한 차이가 있었다. 5. 효과적인 동위효소 관찰을 위해서는 성묘보다는 유묘조직이 유리하게 보였다. 6. 흑조위축병에 감염된 옥수수 잎은 PX나 EST 동위효소에서 모두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 PDF

Replacement of Normal Maize with Quality Protein Maize on Performance, Immune Respons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Broiler Chickens

  • Panda, A.K.;Raju, M.V.L.N.;Rao, S.V. Rama;Lavanya, G.;Reddy, E. Pradeep Kumar;Sunder, G. Shya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12호
    • /
    • pp.1626-1631
    • /
    • 2010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replacement of normal maize (NM) with quality protein maize (QPM) on performance, immune respons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broiler (Krishibro) chickens. Six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separately for starter and finisher phases. Diet 1 was a control diet formulated with NM and soybean meal. In diets 2-5, the NM was replaced with QPM at 25, 50, 75 and 100%, respectively. Diet 6 was the same as the control diet, but supplemented with synthetic lysine similar to the industry standard. Each test diet was fed to 8 replicates, each of 5 chicks, reared in stainless steel battery brooders. The AME content of QPM (3382 kcal/kg) was similar to that of NM (3,352 kcal/kg), but protein (9.91 vs. 8.94%), lysine (0.40 vs. 0.26%) and tryptophan (0.09 vs. 0.07%) contents of QPM were higher than NM. Dietary replacement of NM with 50% QPM significantly (p<0.05) improved body weight gain, feed conversion ratio, humoral immune response, relative bursa weight, and breast muscle yield and lowered abdominal fat content. No further improvement in these parameters was recorded by increasing the level of replacement of NM with QPM to either 75% or 100%. Further, the improvement noticed in the 50% QPM group was similar to the group fed the NM diet with lysine supplementation, and thus dietary replacement of NM with QPM at 50% did not need extra synthetic lysine supplementation. It is concluded that dietary replacement of NM with QPM at the 50% level resulted in optimum performance, higher breast muscle yield and higher immune response in broiler chickens.

종실옥수수 자식계통들에 대한 형태적 특성 연구 (Analy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for Normal Maize Inbred Lines)

  • 박종열;사규진;박기진;이주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312-318
    • /
    • 2014
  • 본 연구는 강원도농업기술원 옥수수연구소에서 종실옥수수 품종개발을 위하여 육성한 156개의 자식계통들에 대하여 총 14개의 질적 및 양적 형질들을 이용하여 형태적 변이연구를 수행하였다. 3개의 질적 형질들의 조사 결과에서 웅수색(QL1)과 자수색(QL2)은 황색을 나타내는 계통(85계통, 84계통)들이 가장 많았고, 초형(QL3)은 대부분의 계통(105 계통)이 반직립형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11개의 양적 형질들에 대한 조사 결과에서 출웅일수(QN1)는 평균 $66.7{\pm}4.2$ 일을, 출사일수(QN2)는 평균 $72.8{\pm}5.8$일을, 간경(QN3)은 $16.2{\pm}2.6mm$를, 간장(QN4)은 평균 $16.2{\pm}2.6mm$를, 착수고(QN5)는 평균 $84.3{\pm}17.3cm$를, 백립중(QN6)은 평균 $24.4{\pm}4.4g$을, 이삭장(QN7)은 평균 $47.0{\pm}17.9cm$를, 착립장(QN8)은 평균 $40.7{\pm}15.7cm$을, 이삭경(QN9)은 평균 $14.2{\pm}4.7cm$를, 종실중(QN10)은 평균 $175.6{\pm}97.6kg$을, 종자의 수분함량은 평균 $10.0{\pm}0.3%$를 각각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분석에 이용된 자식계통들 중에서 11개의 자식계통(00hf3, 00hf19, 00hf30, 00hf36, 02S8069, 02S8072, 02S8090, 02S8099, 05S10011, 06S8085-6, 07S8011)들은 조사된 5개의 수량 관련 형질들 중에서 3~4개 이상의 형질들에서 비교적 높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주성분 분석결과에서는 분석에 이용된 14개의 질적 및 양적 형질들 중에서 이삭장(QN7), 착립장(QN8), 이삭경(QN9), 종실중(QN10)은 제 1 주성분에서 양의 방향에 크게 기여하였고, 반면에 제 2 주성분에서는 출웅일수(QN1), 출사일수(QN2), 간장(QN4), 착수고(QN5)은 음의 방향에 크게 기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 1축 및 제 2축의 주성분에서 양의 방향과 음의 방향에 크게 기여한 형질들은 본 연구에서 분석에 이용한 156개의 종실 옥수수 자식계통들을 식별하는데 유용한 형질들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본 연구에서 156개의 종실옥수수 자식계통들에 대한 형태적 변이 및 주성분 분석의 결과는 앞으로 강원도농업기술원 옥수수연구소에서 종실옥수수 품종개발을 위한 계통 육성 및 교배조합 구성 등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약산처리 옥수수전분으로 호소저항전분의 생성 (Enzyme-Resistant Starch Formation from Mild Acid-Treated Maize Starches)

  • 이신경;문세훈;신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309-1315
    • /
    • 1997
  • 아밀로오스 함량이 다른 옥수수 전분을 1 N HCl로 산처리하여 약산처리 전분의 특성과 효소저항전분의 수율 및 특성을 비교한 결과 아밀로오스 함량이 증가할수록 산가수분해율은 감소하였고 산처리가 진행됨에 따라 최대흡수파장$({\lambda}_{max})$와 요드친화력이 각각 감소하였다. 산처리 기간에 따른 효소저항전분 수율은 12시간 산처리했을 때까지 모든 시료에서 증가하였으나, 24시간 처리시켰을 때는 오히려 감소하였으며, 찰전분의 수율 증가정도는 12시간 처리시 8배로 다른 전분에 비해 높은 증가를 나타내었다. 약산처리된 효소저항전분 생성전분의 형태는 그물망과 같은 형태를 보였으며, 분리된 효소저항전분은 작은 알갱이와 막대모양의 입자를 관찰할 수 있었다. 효소저항전분 생성전분의 X-선 회절도는 Amioca의 경우 무정형이었으며, 다른 전분은 $20{\theta}=17^{\circ}$, $20^{\circ}$, $23^{\circ}$, 근처의 피크가 나타났고, 분리된 효소저항전분은 형성전분과는 다른 경향을 보여 완전한 결정구조를 나타내었다.

  • PDF

Opaque-2 인자를 이용한 고라이신 옥수수의 육종 (Some Aspects of High Lysine Maize Breeding using Opaque-2 Gene)

  • 최봉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7-64
    • /
    • 1969
  • 1. 단백질: 오페이크-2 옥수수에서 비록 적은 단백질함량이 분석되었지만 정상적인 옥수수와 오페이크-2 옥수수 사이에 있어서 유의적인 상관관계는 없었다. 2. 라이신: 라이신 함량역시 품종에 따라 다르며 오페이크-2 옥수수에 있어서의 라이신 함량은 품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정상적인 옥수수와 오페이크-2 옥수수 사이에 있어서 라이신 함량간에는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었다. 3. 분리비율: 오페이크-2 옥수수는 열성단일 인자로서 대개 나타났다. 표현형에 있어서는 사용한 품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오페이크-2 옥수수는 이병성이 약한 듯 하였으며 종실중이 가벼웠다. 4. 오페이크-2 인자와 후라워리-2 인자는 대립유전인자가 아니다. 5. 배우자적 불화합성과 웅성 불임이 오페이크 교배 조합에서 나타났다.

  • PDF

Cloning, Characterization, and Functional Analysis of Maize DEHYDRIN2

  • Paek, Nam-Chon;Jung, Hun-Ki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16-122
    • /
    • 2002
  • Dehydrins (LEA Dll proteins) are one of the typical families of plant proteins that accumulate in response to dehydration, cold stress, abscisic acid, or during seed maturation. A 1.3-kb cDNA was cloned from a cDNA expression library of 5-day-old germinating maize scutellums under drought stress. The deduced protein sequence indicated a dehydrin gene encoding SK$_3$ LEA protein typically expressed during cold acclimation, but not by drought stress in barley and wheat. Thus, it was named maize DEHYDRIN2 (ZmDhn2). It accumulates rapidly and highly in drought-stressed scutellum and leaf tissues at any stage, but not under cold stress. ZmDhn2 gene was transformed into Arabidopsis thaliana for functional analysis under drought condition. From electrolyte leakage test, no significant difference showed between wild type and transformants under normal growth condition, but the leakage level of electrolyte in wild type plants was about 3 times as high as that in the transformed plants under drought stress. It suggests that ZmDHN2 playa role in increasing drought tolerance.

Detoxification of Aflatoxin B1 Contaminated Maize Using Human CYP3A4

  • Yamada, Marie;Hatsuta, Koji;Niikawa, Mayuko;Imaishi, Hiromas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8호
    • /
    • pp.1207-1213
    • /
    • 2020
  • Aflatoxin B1 (AFB1) is a mycotoxin produced by Aspergillus flavus (A. flavus). AFB1 is reported to have high thermal stability and is not decomposed by heat treatment during food processing. Therefore, in this study, knowing that AFB1 is metabolized by cytochrome P450 (CYP), our aim was to develop a method to detoxify A. flavus-contaminated maize, under normal temperature and pressure, using Escherichia coli expressing human CYP3A4. First, the metabolic activity of AFB1 by recombinant human CYP3A4 was evaluated.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recombinant human CYP3A4 metabolizes 98% of AFB1. Next, we found that aflatoxin Q1, a metabolite of AFB1 was no longer mutagenic. Furthermore, we revealed that about 50% of the AFB1 metabolic activity can be maintained for 3 months when E. coli expressing human CYP3A4 is freeze-dried in the presence of trehalose. Finally, we found that 80% of AFB1 in A. flavus-contaminated maize was metabolized by E. coli expressing human CYP3A4 in the presence of surfactant triton X-405 at a final concentration of 10% (v/v).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AFB1 in A. flavus-contaminated maize can be detoxified under normal temperature and pressure by using E. coli expressing human CYP3A4.